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뭘 붙어요 붙긴. 철학이 무슨 결투의 장이라도 되나보죠 ? 의미도 없는 말싸움에서 이기면 자신이 무슨 대단한 인물이라도 되는 줄 아나봄. 제발들 진짜 철학을 하세요. 어짜피 금방 무너질 자존감 세우는 도구로 철학을 이용하지 말구요.
진짜 철학자랑 1대1로 붙으실분?
19 - 저는 인정 못 하겠습니다.
건동홍보다 더 낮은 지방 국립대 대학원 4학기차입니다.
좋은 지도교수님 아래에서 학부연구생 포함 거의 3년간
JCR Q1 1저자 2편, 공저자 2편 작성하고 같은 연구실에서 박사 진학 예정입니다.
각자 하기 나름, 능력 나름이라고 생각합니다.
높은 대학교만 가면 좋은 주변환경에서 본인이 무조건 실적이 잘 나올 거라고 생각 하시는 거면 오만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두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38 - 그래서 전 항상 빠따를 들고 다닙니다.
선배나 교수가 모른다고 뭐라하면 넌 빠따맛을 모르냐고 내려치고,
안다고 뭐라하면 빠따치는법도 안다고 내려칩니다.
그렇게 선배들과 지도교수를 병원으로 보내고 병원비와 합의금으로 집도 잃고 차도 잃었지만 후회는 없습니다.
저에겐 아직 빠따가 남아있거든요.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29 - 피인용수 20,000회 넘는 우리 교수님도 gpt로 한번 요약하고 읽으시는데... 취향은 있지만 한심하다고 할 정도인가요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24 - 숭실대 다니시나보네요 ㅎㅎ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26 - 포연고 까지 빼야되면 사실상 대한민국 이공계 망했다 아님?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11 - 멋있으십니다!!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11 - 문과라는게 애시당초 기술이라는게 없음. 당장 제일 인기있는 로스쿨에서도 법을 공부해서 과거에 일어난 일들을 변호하고 판단하는 일이지. 과학기술 정책학? 굳이 박사학위가 있어야 정책을 세우나?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21 - 인문학 계열은 학문의 깊이가 다름..
나야 전공수업 몇 개 듣고 실험이나 좀 하면서 논문 쓰고 얼레벌레 졸업하기는 했지만
인문학이나 아니면 진짜 자연과학으로 박사하는 사람들은 진짜 리스펙임.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17 - 이건 뭔소리지..ㅋㅋ
학문적 난이도, 깊이, 공부량 모두 인문학은 이공계 상대도 안됨
공과>>자연>>>>>>>인문임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19 - 지나친 겸손은 독이 됩니다
그만한 자격이 있기 때문에 수상한 겁니다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18 - 학부생이라고 하셨으니, 글쓴이보다 경험이 많은 입장에서 쓰겠습니다.
일단 알빠노입니다. 상을 잘못 준 거였으면 기관 잘못이고, 잘 준 거였으면 본인이 잘난겁니다.
하지만 상은 과거에 내가 잘 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지 앞으로 잘 할것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일 본인이 상 받기에 부족한 실력이라 생각한다면 노력해서 그 정도 레벨로 스텝업 할 수 있게 하세요.
아직 자신이 많이 부족하다, 잘 모르는 것 같다고 얘기하는데 솔직히 현직 교수들도 그렇습니다.
상 받았으면 주변인들과 같이 즐기고, 맛있는 것 먹고 앞으로도 계속 노력하면 훌륭한 학자가 될 수 있을 거에요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18 - 자연과학 >> 공학 >>>>>>>>>>>> 문사철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15
대학원 진학하기로 했는데 교수님 몰래 입사 지원
2023.09.17

연구실 있으면서 경제적 지원도 많이 받고 논문도 국내 3편 1저자로 썼는데요
교수님과 연구 미팅 때마다 저에게 potential이 있다고 칭찬해 주시고 석사 입학 얘기도 많이 하셨습니다. 저도 취업이 목표이지만 요즘 채용 시장이 안 좋기도 하고 2년 더 준비하고자 여름 방학 때 교수님께 석사로 입학하고 싶다고 말씀드렸어요 (교수님이 매우 좋아하셨습니다)
문제는 졸업한 동기가 추천 채용으로 추천을 해줄테니 지원서를 써보라고 해서 찾아보니까 회사도 괜찮고 한번 도전해보고 싶습니다… 그런데 이걸 교수님께 솔직하게 말씀드려야 할지 고민입니다. 그렇다고 연구실을 바로 나오기에는 합격이 확실한 것도 아니라서 불안합니다..
확률이 높지는 않지만 혹시나 합격하게 된다면 11~12월에 결과가 나올텐데 그때까지 지원서 넣은 사실을 숨기고 있다가 그제서야 말씀드려도 괜찮을까요..? 떨어지면 그냥 원래대로 석사 진학하고 싶은데 제가 너무 이기적인 것 같습니다
여러분이라면 어떻게 하실건가요 ㅜㅜ
-
15 20 7506 -
1 9 1820 -
14 17 7733 -
0 9 1900 -
1 26 6863 -
0 3 1403
많은 고민이 있습니다 김GPT 1 5 520
대학원 컨택 김GPT 0 3 1183
대학원 반수 김GPT 3 5 666
학계를 떠나며 명예의전당 173 25 79157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명예의전당 82 18 11745
나의 선생님 (자랑 포함..) 명예의전당 205 19 24543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유학에서 학부 중요합니다
19 - 다들 애다 애 ㅋㅋㅋㅋㅋㅋㅋ
172 - 대학원은 학벌로 안쳐준다는말 1도 이해안감
54 - 학벌주의는 전 세계 어디에도 있음
25 -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40 - 교수님 설득으로 저널 약간 낮춰서 냈다가...
23 - 아직 학부연구생인데 박사가 아른아른거리네요
23 -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40 -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10 - 반 철학자 A 협회입니다.
5 -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50 - 김박사넷 대학원생 박사학위 수여식.jpg
14 -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19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3.09.17
2023.09.18
2023.09.19
2023.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