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과정 2학기차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기존 9-20이었던 근무시간이 9-22으로 변경되어 점심뿐만 아니라 저녁또한 사먹어야할 환경이 되었습니다. 근무 시간이 늘어난건 괜찮으나, 안그래도 밖에서 사먹는 식대가 저녁까지 모두 밖에서 사먹으면 너무 늘어날까 걱정이네요.
이 경우에 교수님께 저녁 식대 관련 요청을 드리는건 합리적일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5개
2025.09.17
BESTMZ라고 하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9-22를 근무시간으로 정한 랩 자체도 이해가 안되긴 합니다. 저도 학위는 한국에서받았지만 이후에 제가 미국생활을 오래해서 그런걸수도 있겠지만요. 한국에 있던랩도 자유출퇴근이였고, 전문연 친구들만 정해진 시간이있었습니다. 하지만 한국 문화에서 식대요청을 하는건 조금 무리가 있습니다. 교수가 느낄때 눈에띄는 행동을 하는게 좋지만은 않은게 한국문화죠. 개인적으로 9-22 근무시간을 무조건하라고 하면, 식대요청을 할수있는게 당연하다고 지금은 생각하지만, 저도 한국에 있을때는 'MZ는 다르네?' 라고 생각했을것 같습니다. 물론 미국또한 애초에 9-22를 요청하는곳은 말도안되는 중국인/한국인 PI랩 제외하고는 거의없지만, 그렇다해도 다들 본인이 싸와서 먹는편입니다. 여튼.. 9-22를 강제로 하는 랩은 조금 충격이네요.. ㅎㅎㅎ
2025.09.16
mz다르네..
2025.09.16
네 해보세요. 전 그 이후의 이야기가 궁금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9.16
악마다 ㅋㅋ
2025.09.16
먼저 주신다고 하는거 아니면 식대 요청은 안하는게 좋을거 같아요... 9-22에 저녁 왜 먹냐는 교수님도 있거든요...
2025.09.17
MZ라고 하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9-22를 근무시간으로 정한 랩 자체도 이해가 안되긴 합니다. 저도 학위는 한국에서받았지만 이후에 제가 미국생활을 오래해서 그런걸수도 있겠지만요. 한국에 있던랩도 자유출퇴근이였고, 전문연 친구들만 정해진 시간이있었습니다. 하지만 한국 문화에서 식대요청을 하는건 조금 무리가 있습니다. 교수가 느낄때 눈에띄는 행동을 하는게 좋지만은 않은게 한국문화죠. 개인적으로 9-22 근무시간을 무조건하라고 하면, 식대요청을 할수있는게 당연하다고 지금은 생각하지만, 저도 한국에 있을때는 'MZ는 다르네?' 라고 생각했을것 같습니다. 물론 미국또한 애초에 9-22를 요청하는곳은 말도안되는 중국인/한국인 PI랩 제외하고는 거의없지만, 그렇다해도 다들 본인이 싸와서 먹는편입니다. 여튼.. 9-22를 강제로 하는 랩은 조금 충격이네요.. ㅎㅎㅎ
2025.09.17
출퇴근 교통비도 요청해보세요
2025.09.17
하는김에 아침점심저녁 뿐만 아니라 월세하고 전기세하고 기름값도 달라고 하세욥!! 아, 야근수당하고 주말수당도 챙겨달라고 꼭 하시구여
2025.09.17
무상급식 신청하셈
2025.09.17
근무시간을 9-22로 정하는 게 가능함? 랩 분위기상 10시에 퇴근하는게 아니라 9-22 지키라고 명시했다고??
2025.09.17
당연히 요청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실제로 요청할 수 있냐 없냐를 떠냐서) 대학원생들 노예 마인드 오지네요.
대댓글 1개
2025.09.17
연구비 야근식대 쓰면 안되나요?
2025.09.17
위에 좀 이상한 분들이 많으시네요. 본인들 연구비는 악착같이 찾아드시려하면서, 학생들은 그러면 안되는 식으로 이야기하다뇨. 아귀들이 자기 먹을것은 탐하면서 남들은 못먹게 방해하는 모습같아 씁슬하네요.
그거와 별개로 연구실에서도 예산이 한정되어 있기에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들이 있을겁니다. 대학의 또다른 목적은 위에분들처럼 꼬인분들을 사회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함이라는 말이 있는만큼, 본인 연구실 혹은 대학에서 위댓같은 분들이 많을 수 있으니 조심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2025.09.18
연구비 안받음? 그 돈으로 밥도 먹는거지
얼마나 성과 안나오면 시갘을 늘리겠노 요즘 시대엨ㅋㅋㅋㅋ
대댓글 1개
2025.09.18
그리고 요즘 애들 개념이 참 대학원 공부하러 오는 곳에서 식비랑 집값 좀 보태라고 연구비 주는데 그건 그냥 일해서 받는다고 생각하나보네
2025.09.18
이건 지도교수가 어떤 사람이냐에 따라 다를 것 같은데 애초에 9-22를 필수 근무로 박아놓은 교수라면 당연히 안 되고 미운털 박힐게 뻔함
2025.09.18
위에 글 다 무시하세요 정당한 권리입니다! 당당하게 교수님한테 가서 부당 노동이라고 석식 비용 청구하세요! 그리고 후기 한번만 부탁드려요
2025.09.18
ㅎㅎㅎ 귀요미네요
2025.09.18
아 혹시 대학원 행정실 직원이시라면, 실장님과 상의하세요.
2025.09.18
저는 도시락싸가든지 햇반 컵라면등 먹어요.식대요구 못 하죠 가끔 교수님이 저녁사주세요
2025.09.18
기존에 점심 식대는 지급되고 있었음?
2025.09.18
한쪽만의 문제는 아닌 것 같네요... 근무시간 늘린다고 생산성이 늘어나는 것이 아닐텐데... 어떤 상황이길래 시간 정해놓고 옭아맬까요?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연구에 매진하는 스타일이 아니어서 그런 걸수도? 이렇게 스파르타 식으로라도 해야 좀더 아웃풋이 나올것 같아서?
대댓글 2개
2025.09.18
교수님들마다 다르겠지만 석사, 박사 다른 랩에서 9--22로 일했는데, 석사는 분위기상, 박사는 강제였고요 (안지키면 급여 근태 문제로 참고하여 삭감했습니다). 석사때 교수님은 아웃풋 + 학생들 공부량 늘리기로 교수님이 일 있는거 아니시면 논문 봐주신다고 같이 남으셨고, 학생들도 병원이나 집에 일이 있거나 하면 자발적으로 남아서 연구하고, 연구비로 식대도 주셨고요. 박사때 교수님은 그냥 학생이 자기보다 먼저 출근 안하고, 자기보다 먼저 퇴근하는게 싫다고 하셨어요. 전 인원 근태 기록지 찍었고, 참고로 위에도 적었는데 점심을 먹는데 저녁은 퇴근해서 먹지 왜 저녁을 근무중에 먹으러 하냐 했습니다... 학생들의 자율적으로 안하는것도 문제겠지만 박사때 직접 들은 이유가 좀 충격이었어서 적어보네요...
2025.09.18
아, 석사때 9-9, 박사 9-10이네요
2025.09.18
아니... 태클 걸 곳이 한 두 가지가 아닌 듯 한데.
1. 9-22 의무? 오히려 결과가 더 안 나올 것 같네요. 2. "노동"의 환경이라면 식대 요청이 권리일 수 있죠. 그런데 대부분의 랩에서 대학원생은 연구 혹은 학습하는 입장일 겁니다. 노동과는 차이가 있죠. (별개로 완전한 노동의 환경이라면, 식대 요청보다는 랩 탈출이 우선이겠네요?) 3. 랩에서 월급(연구비) 안 주나요? 모든 생활비를 포함한 식대가 그에 포함되어 있을텐데요... 근무 시간이고 자시고, 애초에 그쪽 365일 24시간 식대를 전부 제공받고 있다고 생각해야죠? 4. 외식으로 인한 식비 상승... 해당 관점이 전혀 타당성이 없는 이야기는 아닙니다만, 이는 예산과 엮일 문제겠죠. 아마 이미 최대한으로 월급을 주고 계실 겁니다. 거기서 확장은 현실적으로 어렵겠죠.
2025.09.18
당연히 저녁 지원해줘야죠 이건 뭐 신안 염전노예도 아니고 그 노예들도 밥은 먹입니다
2025.09.18
아니 댓글들 왜이라 애초에 9ㅡ22시 근무 시간 자체가 말이 안되는거고 연구비 준다고는 하지만 말도 안되는 적은 금액 주는 곳 많음 (나 석사 때 3개월 매일 7시ㅡ24시 시켰으면서 14,210원 줬음). 말이안된다고 할 수 있겠지만 실제로 교수들이 실참여인력 아닌사람 여럿 포함시켜서 그사람들한테 돈 다 몰아주고 실질참여인력한테는 돈 거의안줌. 연구비 집행할때 법인카드로 본인 점심저녁 긁어본적 있음? 난 한번도 없음ㅋㅋ 교수 가족 롯데타워 외식비 25만6천원 긁으면 그거 나도 먹었다는 서명하라고 할때 그때서야 프로젝트 당 법인카드 주어진다는걸 알았음. 서울권이고 삼국대 중 하나임. 그리고 지금도 만연함.
대댓글 2개
2025.09.19
와,,,, 차라리 서명을 하라고 하지말던가,,, ㅁl ㅊ 잭스미스 버금가노
2025.09.20
안그러면 1인당 30,000원으로 책정된 금액 못채우니까. 프로젝트 따올 때 저녁 접대비용으로 90만원 넘어가면 다른 과 대학원생까지 서명하라고 함. 30명이 서명 최대인원이라 그 이상 오버되는 금액은 우리한테 준 돈에서 깠음. 참고로 저 14,210원이 한 달에 준 돈이 아닌 3개월 전체 기간동안 준 돈임. 얼마전 한국 들어갔을 때 후배들한테 물어보니까 아직도 똑같이 그러고 있던데 ㅋㅋ
2025.09.18
왜 공감을 못받는지 한번 생각해보길요. 본인 인건비가 얼마인지를 먼저 알려주셔야죠. 보통 학생식당 식대 6~7천원 사이일거고, 5일하면 3~3.5만원, 4주 하면 대략 12~14만원이네요. 인건비에서 등록금 다 까고 가용 생활비가 30만원 수준이면 그냥 저녁 식대 달라고 하지 마시길요. 웬만한 대학원생들이 인건비 30만원대 받으며 다들 늦게까지 연구합니다. 교수가 늦게까지 시키지 않아도 다들 늦어도 오전 10~11시 정도에는 오고요. 그정도 해야 뭐 연구 실적 나오지 않나요?
2025.09.18
혹시 실험실에서 배우시는 모든 지식에 대하여 수강료 드리나요? 엄연한 지적 재산인데. 이렇게 따지면 끝이 없습니다.
2025.09.18
아니 9-22 나도 학생 시절에 자발적으로 꽤 많이 했긴 했다만, 자율야근이 아니라 교수가 18시 이후에 남도록 강제하는 거면 당연히 저녁식대도 요청 정도는 해볼 만 한 것 아닌가? 뭐 안 되면 안 되는 거지만 요청만 갖고 그게 왜 MZ인지 모르겠네.
대댓글 1개
2025.09.18
그리고 진짜 하루종일 뭐 만들어야 하는 개빡센 합성랩이나 바이오랩 이런데 아니면 저렇게 오래 앉아있는다고 뭐 안 될게 잘 되진 않음. 어차피 문제는 고민하다가 어느 순간에 풀리는 거지 오래 앉아있는다고 없던 답이 생기는 개 아닌데, 오히려 칼퇴하고 쉬어야 아이디어도 생기는 거지..
2025.09.20
노예들이 너무 많아 시간을 정했으면 근무고 돈을 줘야되는게 당연한거 그냥 알아서 연구하고 공부하는 거면 교수가 학생 출퇴근을 왜 정함? “근“이라는 문자를 붙일꺼면 돈을 줘야지 출“근“ “근“무 는 노동자에게 사용하는 단어임 노동자 처럼 시간을 정하면 돈을 줘야지 당연히 줘야되는 거임
2025.09.20
88학번 아재 입니다. 31년째 대기업 연구소에 재직 중이고요.저는 석사 과정 중 자유롭게 출퇴근 했었습니다.통상10시 출근, 5시 퇴근 했고요.비교적 자유로운 분위기 였고요. 2025년 인데, 9시 출근, 22시 퇴근이면, 13시간을 연구실에 있는건데, 고시 공부하는 것도 아니고.젊은이들 현실이 안타깝네요.아들래미 석사 진학 계획 중 인데, 자유로운 분위기 미국 백인 교수있는 곳으로 유학 진지하게 생각해 봐야 겠넹ᆢㄷ
대댓글 1개
2025.09.20
자유로운 미국 백인 교수 말씀하셔서, 해외에서 대학원 다닌 경험으로 말씀드리면, 미국은 자유에 따른 책임이 분명합니다. 한국처럼 노동자에 대한 권리가 잘 보장되지 않아서, 교수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아마 교수가 RA 그만하고 연구실 나가라고 할꺼에요. 우리나라는 그렇게 하지 못하지요. 미국은 자유로운 해고가 가능한 노동시장의 분위기가 학교에 그대로 있습니다.
2025.09.17
2025.09.16
2025.09.16
대댓글 1개
2025.09.16
2025.09.16
2025.09.17
2025.09.17
2025.09.17
2025.09.17
2025.09.17
2025.09.17
대댓글 1개
2025.09.17
2025.09.17
2025.09.18
대댓글 1개
2025.09.18
2025.09.18
2025.09.18
2025.09.18
2025.09.18
2025.09.18
2025.09.18
2025.09.18
대댓글 2개
2025.09.18
2025.09.18
2025.09.18
2025.09.18
2025.09.18
대댓글 2개
2025.09.19
2025.09.20
2025.09.18
2025.09.18
2025.09.18
대댓글 1개
2025.09.18
2025.09.20
2025.09.20
대댓글 1개
2025.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