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2025 이공계 대학원 순위 라인별 정리 수정본

IF : 2

2025.10.03

53

46909

최근에 논란이 되었던 2025 이공계 대학원 순위에 대해 제기된 논란점들을 해소하고

"라인별로 정리"하여 보는 사람들이 대학원을 선택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했다.


라인별로 정리한 가장 큰 이유는 동라인에 대해서는 어디 간판이 좀 더 높고 낮네를 따지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lab-by-lab이 훨씬 더 중요하며 연구분야와 논문 실적이 훨씬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애초에 난 라인 내에서 누가 조금 더 높네낮네를 따지는 건 무의미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임)


이게, 대학원 진학 예정자에게 더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보임은 확실하다.

* 참고로, 출신별로 자기 학교를 높게 보는 우려가 있을 수 있기에, 나는 skp출신 현직임을 우선 밝혀둔다.



아래는 라인별로 특히 주안점을 둔 부분들을 정리한 것이다

1. skp라인에서 p가 최근 떨어지고... 이 추세는 크게 변하지는 않을 것 같다.

하지만 아까 라인 언급에서 말한 바와 같이, p에 마음에 드는 lab있고 연구분야 좋고 실적 잘 나오면 거기로 가라.

어짜피 같은 라인이고, "현직에 있는 사람은 sk나왔다고 간판 자체로 p보다 절대 높게 생각하지 않는다"


2. 다음 두번째 라인에서 unist가 최근 치고올라온 건 사실이나,
앞으로도 이를 유지할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하기에 (교수 이탈 이슈) 아직 ky와 완전히 같이 놓기는 어렵다.

마찬가지로 sh도 ky와 완전히 같이 놓기는 어려우며,
특히 sh는 인기랩과 그렇지 않은 랩의 대학원생들 규모 차이 편중이 너무 심하다 (그러기에 sh에 대한 의견이 크게 갈림)

서강은 학부에 비해 대학원에 힘이 다소 약한 건 인정할 수 밖에 없으며, dgist는 아직 시간이 필요하다

* 켄텍은 중경시라인이 아니라 에너지 분야에 대해서는 이 라인에 있어야 하나, 종합대학이 아니기에 비교가 어려워 빼는 게 맞다고 본다.


3. 중경시 라인부터는 연구 중심대학이라기보다는 teaching위주 대학으로 보는 시발점이 되는 라인이나 (학부와 대학원의 격차가 큰)

이공계 대학원 쪽에서는 중앙대가 조금 더 최근 치고나오는 건 맞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중경시 라인 간 편차가 크다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4. 부경 같은 경우는... 서울에 있는 사람들은 잘 몰라서 큰 착각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쪽에 있는 사람들 중에 지역에서 대학원 가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대학원생들 수준의 스펙트럼이 생각보다 꽤 다양하다.

게다가 연구환경 자체가... 원래 중경시 보다 좋았고, 지금도 각종 지원으로 좋기에... 현재 학부 입결 느낌으로 여기 대학원 수준을 너무 낮게 생각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5. 건동홍과 과기대 라인에 대해서는... 사실 여기서부터는 확실히 대학원이 강한 대학들이라 보기 어려워서 논의가 어렵다.

하지만 과기대가 최근 많이 올라왔기에 같은 라인에 포함시켰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3개

2025.10.03

BEST 솔직히 최근에 봤던 글 중에 여기 써있는 글들이 제일 도움됨
줄세우는 건 너무 재밌고, 랩바랩이라는 게 식상한 멘트같지만... 솔직히 졸업하고 보면 랩바랩과 연구분야가 진리임

2025.10.03

솔직히 최근에 봤던 글 중에 여기 써있는 글들이 제일 도움됨
줄세우는 건 너무 재밌고, 랩바랩이라는 게 식상한 멘트같지만... 솔직히 졸업하고 보면 랩바랩과 연구분야가 진리임

2025.10.03


뻘짓하네...

2025.10.03

부경 위아래로 늘린 거ㅋㅋㅋ

웃기지만 저게 맞긴 함
경은 잘 모르지만, 부산대 같은 경우는 아직도 논문 많이 쓰더라

2025.10.03

그래서 글쓴이는 논문 머씀?

대댓글 1개

IF : 2

2025.10.03

나? 박사 졸업할 때, 저널 논문 5개 썼었음. 기계쪽임
(2년동안은 버벅이며 논문 못 쓰다가, 3년후부터 감잡고 연구에 좀 익숙해지니 논문 진도 나가지더라)

2025.10.03

이딴 짓 좀 그만해라.

2025.10.03

유니 훌리?

2025.10.03

유니 홀리 ㅎㅇ

대댓글 5개

2025.10.03

유니를 낮췄는데 훌리 ㅇㅈㄹ ㅋㅋㅋㅋ

2025.10.03

성균 한양 보다 유니가 높다고요? 그래서 유니 훌리라고 한건데요 그리고 YK 보다 당연히 아래인데 뭘 낮춰요? 아직 유니는 성균 한양 아래가 맞아요

2025.10.03

유니 훌리들 애쓰는 거 정말 안쓰러워요 그리고 이런 대학도 아니고 대학원 서열 글 올리는 이유가 궁금하네요 뭔 대학원 지망하는 분들 도움을 준다고요? 이게요?

2025.10.03

유니가 성한보다 위라는 것도 좀 그렇지만, 성한 과대평가도 좀 심하다.
솔직히 같다고 보는 게 맞을 듯

2025.10.04

이 정도면 님은 유니와 애증관계가 분명함.. ㅋㅋ

2025.10.03

이런 유치한 줄세우기 글을 지성인집단사이트라고 걸어놓은 곳에서 보는게 유치함

대댓글 1개

2025.10.0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지성인집단 사이트? 여기가요? 그냥 재미로 보셔요. 뭘 그렇게 진지글이라고 진지하게 받아들일 필요는 없잖아요. 줄세우기해서 세뇌당하는 80%쩌리들이 바닥을 깔아주는게 세상이고. 저런 줄세우기에 면역인 능력자들이 20%차지하면서 세상을 이끄는게 정상입ㄴ디ㅏ.

2025.10.0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흔히 착각하는게 인서울 대학교는 저렇게 짧다고 생각하지. 입결은 그럴 수 있는데 아웃풋도 아래로 하방 매우 길다. 직접 겪어보지 않으면 절대로 못 느낄걸? 부경을 저렇게 길게하는걸 보고 적어봄.

2025.10.04

첫줄부터 문체가 무슨 논문 초록보는것 같아서 개웃기네 ㅋㅋㅋㅋ

2025.10.04

갠적으로 설포카 다음은 과기원이라고 봄. 연고는 대학원에서 연구한다고 하기가 참..

2025.10.0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과기대 빼라고 왜 맨날 껴넣냐

2025.10.04

학부생이 끄적거려 쓴 수준아니냐
니들은 연구실에서 이런 수준의 논문 양산하고 있냐?

2025.10.04

까려는 의도는 아닌데. 내가 아는 분들이 시립대에 많은데. 시립대는 제대로 운영되는 IT계열 대학원랩이 별로 없던데. 내가 아는 사람들만 그런가?

대댓글 1개

2025.10.04

여긴 첨단학과랑 일부 유명학과 올거 아니면 별로라 생각함 ㅇㅇ

2025.10.04

아주대 인라대 같은 곳도 대학원은 좀 하지 않나.

대댓글 3개

2025.10.04

그런라인은 이제 동남아애들만있는거같던데? (건동홍 포함)

2025.10.0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주대 이번에 사이언스 표지 썼다고 광고하더라

2025.10.07

그 밑에 급도 있어서 이야기 한것인데. 사실 외국인 많은건 서성한 부터도 그러함.

2025.10.04

아이가 한양대 교수님(자율주행) 컨택하고 연구분야 땜에 고민 중이다 자대 과기대 석사(로봇 강화학습 학부연구생 중) 진학하려는데 과기대가 언급되는거 보니 그렇게 낮은 학교는 아니구나라는 생각 드네요^^. 저는 반도체 쪽이라 아이가 하려는 분야 잘 몰라서 고민은 하되 최선의 결정을하고 열심히 해보라고만 했어요.

2025.10.04

유훌 어서오고~ IST모두 SSH밑으로~

2025.10.04

카이가 서울대 앞에 있는거 상당히 불편하네요 계엄령 선포해본 대통령 없으면 뒤로 가라고 전해주세요

대댓글 4개

2025.10.04

AI에게도 못된사람 판정받는 너란 댓글...

2025.10.0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븅신같은 댓글이네요
민주당 찍고 경기도에서 출퇴근하며
김어준 방송들을듯

2025.10.05

아니 카이가 서울대 앞에 있는 이 어처구니 없는 부조리보다 윤석열에 집중하는 당신은 머리가 얼마나 깨져 있는 겁니까..

2025.10.07

자연대는 몰라도 공대쪽은 연구실적은 카이가 대부분 앞서지 않나?

2025.10.04

김박사넷이 아니라 김오르비넷 이라고 해야할듯... 대학원생이 논문이라도 하나 더 볼 시간에 이딴 줄세우기하고 있나...

2025.10.04

또 지랄이네 또

2025.10.04

초딩이냐 ㅋㅋ

2025.10.04

미국에서 보면 다 같은 변방대학인데 서열질해서 뭐함ㅋㅋ

2025.10.04

skp이신데 중경시부경 어떻게 다 아시죠 대학을 한 4개다니셨나

2025.10.04

내 연구실 학생이면 난 이놈 털었다. 연구해라 넌 아웃풋 뻔하다.

2025.10.04

글쓴이 부산대 출신이라는게 정설임

2025.10.04

뭔 쓰잘데기 없는 줄세우기를 하고있네
혓바닥 길게 설명하면서 부경 길게 표현해놨지만 좀만 생각이 있다면 그게 부경에만 해당하는게 아니라 저기 있는 모든 대학에 해당되는 이야기를 알텐데
그냥 니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너의 아웃풋은 크게 달라진다
이럴 시간에 논문 한 자 라도 더 봐라

2025.10.04

진짜 쓸데 없는 짓 ㅋㅋㅋ 미국에 있는 사람은 폭소 중일 듯 ㅋㅋㅋㅋㅋ

2025.10.04

현직이 이 짓거리를 한다는게 개웃긴 포인트 ㅋㅋㅋ

2025.10.05

이직 준비하는 unist 교수가 최고죠 ㅋㅋ yk sh 교수는 열심히 안합니다. 이직 준비하는 unist 교수는 박사처럼 연구합니다. 코드 짜주고 논문 라이팅 다해주고 학생이 주저자 ㅋㅋ 사기죠.

2025.10.05

spk밑은 그냥 랩바이랩이에요.

2025.10.05

다필요없고 대학원은 논문 많이 쓰는 랩이 최고임
자기분야에 논문 많이 나오는 랩 조사하고 그 다음에 그 다음에 자신이 갈수 있는 최고 학벌의 학교로 가면됨
skp에도 논문 안나오는 랩 많음
이런 랩가서 학벌 높여도 본인이 원하는 곳에 취업 못함.
학벌만보고 채용하는 회사는 아마도 본인이 가고 싶지않은, 수준낮은 회사들임

2025.10.05

대학원 간판으로 이득보려면 솔직히 서카 정도고
나머지는 그냥 랩바랩임

2025.10.05

댓글 주류의견과는 다른 의견이라 댓글 달아봄. Unist 와는 접점이 전혀없어서 내부 사정은 모르지만 에너지 관련 학과는 아웃풋을 보면서 대단하다고 생각했고, 특히 페로브스카이트나 배터리 관련해서는 spk 도 경각심을 가져야 하는 수준이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음.. 개인적인 체감으로는 연구실적면에서 u > yk=sh > 소규모ist 정도의 인식을 갖고 있음.

2025.10.05

팩트는 부경 같은 지거국은 저기 들지도 못하는 현실..

2025.10.05

한심하다

2025.10.06

엉망진창이네. 과기원 >>>>>>>>>>> 고연대

2025.10.10

그냥 집에서 가까운데 어떤 조건이든 자기 맘에 드는데 가는 게 제일로 좋은 듯

2025.10.12

과기대 ㄹㅇ 구린데 과기대는 저기다가 왜 넣었냐ㅋㅋㅋㅋ
수만휘도 아니고 나이 헛먹었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