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리면 서울대도 엄청 상위권에 있어야 하는거 아냐? 그렇게 학연이 강한 서울대에서 전전 나온 분인데, 정작 서울대는 밑바닥 치는디?
2024.11.22
자랑스런 포스텍
대댓글 2개
2024.11.22
https://phdkim.net/board/free/64077/ 국제순위는 한국 6위
2024.11.22
나의 모교인데 저 결과를 가지고 홍보 많이 하자.
2024.11.22
어떻게 평가하길래 서울대가 저리낮음?ㅋㅋ 역대로 신빙성없는 결과네
대댓글 2개
2024.11.22
뭐가 신뢰성이 낮나? 근거를 대봐라. 논문 수 등 객관적인 자료로 평가하는데 뭐가 신뢰성이 낮나? 설문조사가 많이 반영되면 좋겠냐?
2024.11.22
논문수로 하면 무조건 서울대가 1등이지 뭘 알고 얘기를 해라.
2024.11.22
이게 맞는 결과이지. 포스텍 최고 야호.
2024.11.22
자 순위 낮은 대학들 위기론 한 번 펼쳐 봐라. 어서 해!!!
2024.11.22
내가 이 게시판에서 뭐 남의 대학을 위기로 몰아 넣는 뭐 거지 같은 이상한 소리를 하도 많이 들었는데 자 이제 한 번 너희들 대학 예기 한 번 해보자.
2024.11.22
어떤 대학인지 말 안하겠지만 유니스트부터 이기고 와라.
대댓글 1개
2024.11.23
ㄷㄷㅇㄷ?
2024.11.22
오르비?
2024.11.22
수험생 한테 물어 보세요 ㆍ서울대 갈래 포항공대 갈래 ? 카이스트 갈래 포항공대 갈래 ?
대댓글 7개
2024.11.22
더 좋은 대학으로 가겠지.
2024.11.22
중앙일보 대학평가는 매년 발표되는데 볼때마다 웃음을 주네요 그냥 논문 발표 순위를 발표하던지 교수 수 순위를 발표하는 게 더 신뢰가 갈 듯하네요 어떤 지표에 얼마의 가중치인지도 모르고 정량 못지 않게 정성적인 것도 중요한데 저렇게 순위를 매년 이상하게 발표하니 너무 좋아할 것도 없고 너무 싫어 할 필요도 없는 그냥 웃고 보면 되는 정도 같아요
2024.11.22
도대체 중앙일보 대학평가 어느 부분이 그렇게 이상한가요? 사실 비판을 할 수는 있지만 그냥 느낌으로 비판하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 살펴보아야 합니다.
2024.11.22
내가 볼 때는 객관적인 평가로 역사도 오래되었고 설문조사 비중도 적당합니다.
2024.11.22
공학에서 서울대가 7위 자연과학에서 서울대가 4위 이게 맞다는 능지에 웃고가요ㅋㅋ 서울대가 논문 수 1등이고, 질높은 논문 수도 1~2등인데 대체 뭘로 평가했길래 저렇게 낮은것이며 저걸 누가 믿겠음ㅋㅋㅋ 개도 웃고 가겠다
2024.11.22
평가 기준은 교수당 연구비, 논문 수 그리고 논문 당 인용지수로 평가한 것 같은데요. 뭐가 불합리하단 말입니까? 좋은 논문을 썼다면 인용지수가 높아야 하는데 그게 안되니까 순위가 낮은 곳을 뭐 어쩌라는 것인가요?
2024.11.23
서울대는 몇몇랩빼면 장비도 서성한보다 못한고 카르텔심함. 몇 인기랩 빼면 카이스트보다 한참 뒤떨어짐. 특히 자연계는 월급도 못주는 곳 널렸는데
2024.11.22
중앙일보 평가를 누가 믿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4.11.22
여기서 논쟁 해봐야 아무소용 없어요 ㆍ 수험생 한테 물어 보면 답 바로 나오는데 ᆢ 아니 수험생 한테 물어볼 필요도 없고 친구들 에게 물어 봐도 답 바로 나옵니다ㆍ 서울대 갈래 포항공대 갈래 ?
대댓글 3개
2024.11.22
포항공대는 의대도 버리고 오는 학생도 있다는데. 물론 서울대도 있겠지. 그런데 솔직히 평균적으로 보면 둘다 의대 밑이잖아. 거기서 입결로 경쟁은 더 이상 의미 없다. 패러다임의 체인지.
2024.11.22
내가 수험생한테 물어봤는데 두 대학 모두 안가고 연대 간다고함.
2024.11.22
예를 들어 영어를 배우러 학원에 갔는데 어느 학원에서 배웠는지 중요한 시대는 갔다. 대신 그 사람이 얼마나 영어를 잘하는지가 더 중요한 세상이 된 것이지. 공대에서 졸업하여 돈을 잘 벌고 잘 살면 되는 것이다. 이 간단한 진리를 아직도 깨닫지 못하면 그 사람은 조선시대 사고 방식으로 현대를 사는 사람임.
2024.11.22
저는 서울대 저 순위가 이해 되는데요... 설공 교수님들 열정이 부족하심.. 학계 계시면 아시는 사실.. 공대는 포카서
대댓글 3개
2024.11.23
ㄹㅇ 포카서인지는모르고 카 같은 실력경쟁주의도 아니고. 서울대는 학연지연 카르텔은 정치인, 문과만 없으면 진작 유니스트수준으로 밀려남. 애초에 입결이랑 연구수준은 관계적고, 관계있어도 엘리트는 다 해외로 떠나기마련임
2024.11.23
대한민국에서만 서카포 연고..... 이러지 해외나가면 아시아에 있는 그냥 대학들입니다 단 정말 임팩트 있는 논문을 쓴 님들은 그냥 네이밍이 브랜드 같고요
깔끔한 쇠렌 키르케고르*
2024.11.23
카서포 서카포 논쟁은 있을수 있어도 어디 포 따위가 ㅋㅋ
2024.11.23
고등학생 시절의 입결이랑 중앙일보 평가를 나란히 보는 것도 말 안되지ㅋㅋ 그 놈의 서연고 서성한 중경외시 건동홍 광명상가는 15년 지나도 바뀌지를 않아ㅋㅋ
대댓글 2개
2024.11.23
UNIST가 뭐 어쨌다고 까시는지ㅎㅎ?
2024.11.23
깐적없는데요ㅋㅋ
2024.11.23
앗, 슈뢰딩거님 글에 댓글 달았는데 마키아벨리님 글에 달렸네요ㅠㅠ
대댓글 1개
2024.11.23
아하 넹~~~
2024.11.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중앙일보는 매번 볼 때마다 뭔가 의구심을 지울 수가 없음. 저는 공신력 측면에서, 해외 대학랭킹을 조금 더 선호합니다.
대댓글 2개
2024.11.25
사실 해외 대학랭킹도 똑같은 이슈가 있습니다.
2024.11.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해외 대학 랭킹이야말로 공신력 문제가 있는데요..? 애초에 하나의 기준으로 세계 모든 국가의 대학을 평가한다는거 자체가 신뢰도가 높을 수가 없죠. 한국어도, 영어도 못하는 중국인 유학생 왕창 받는 학교들이 (외국인 비율 높다고) 랭킹 높게나오는게 공신력이 높은 랭킹인지 심히 의문스럽습니다.
2024.11.22
대댓글 1개
2025.01.03
2024.11.22
대댓글 2개
2024.11.22
2024.11.22
2024.11.22
대댓글 2개
2024.11.22
2024.11.22
2024.11.22
2024.11.22
2024.11.22
2024.11.22
대댓글 1개
2024.11.23
2024.11.22
2024.11.22
대댓글 7개
2024.11.22
2024.11.22
2024.11.22
2024.11.22
2024.11.22
2024.11.22
2024.11.23
2024.11.22
2024.11.22
대댓글 3개
2024.11.22
2024.11.22
2024.11.22
2024.11.22
대댓글 3개
2024.11.23
2024.11.23
2024.11.23
2024.11.23
대댓글 2개
2024.11.23
2024.11.23
2024.11.23
대댓글 1개
2024.11.23
2024.11.23
대댓글 2개
2024.11.25
2024.11.25
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