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의 순위 및 평가는 chat GPT를 포함한 생성형AI의 평가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므로, 작성자의 견해를 최소화하였음을 밝힘.
표에서 각 대학은 다음과 같은 요소로 표현되었음. - 가로축 : 대학 (이공계열 일반대학원 기준) - 세로축 : 상대점수 - 박스 : Q1-Q3 - O 포인트 : 평균
평가기준 공학 및 기술 분야의 국제 주제별 순위, 아시아 지역 종합 퍼포먼스 및 자연과학 고품질 논문 비중등을 통한 각 기관별 거시지표 파악. 특정 분야(소재·반도체·에너지·EE/ME/CE 등)에서의 강한 연구실 클러스터 존재 여부와 대형 국책·산학 프로젝트의 빈도등을 통한 각 기관별 미시지표 파악. 상·하위 5%(지나치게 뛰어난 톱랩 등)는 분포에서 제외해 꼬리의 왜곡을 줄임.
평가결과 KAIST·서울대·POSTECH: 상위 연구실의 하한선이 1.2에 근접하고,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편으로 상층부의 밀집도가 높게 나타남. UNIST: 상위 코어 분야(반도체·에너지·소재·화학 등)에서 강력한 클러스터가 관찰. 1.4 이상의 상위 구간에 의미 있게 포진하며, 분포 폭은 전통 톱3보다 약간 넓게 형성됨. 연세·고려·성균관·한양: 상층 클러스터+중·상위 연구실의 두터운 저변이 공존. 분야별 강약차로 인해 분포 폭은 다소 넓게 형성됨. GIST·DGIST: 특화 분야의 고성능 랩이 존재하되, 전체 표본 규모와 영역 확장도에서 분포 폭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됨. GIST는 소재·광학·에너지, DGIST는 컴퓨팅·로봇·신소재 축의 강점을 반영.
주의: 실제 연구실 선택에서는 세부 전공·지도교수·최근 3-5년 성과·졸업생 진로·장비 인프라·공동연구 네트워크를 반드시 함께 보시길 권장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9개
2025.10.06
BESTunist가 연고보다 네임벨류가 떨어져서 그렇지 연구환경이나 실적은 떨어지지 않는다고 보는데 뭐만 하면 유니훌리 드립ㅋㅋㅋ 왜 지방대가 좋은 지표 나오는게 아니꼬운가봐?
2025.10.06
대학원서열질 의미 1도없다고 봅니다.
누구제자인지.
그래서 좋은 논문은 썼는지를 봐야죠.
학계는 그걸 너무나 잘 알지만,
학계를 전혀모르는 기업 관계자들이 SPK SPK거리니 진학문화가 망가진 건 같습니다.
서울대를 나왔어도 연구가 잘 맞고 집근처인 UNIST를 가는 학생이 있을 수도 있고,
연고대를 나왔어도 하고싶은 연구의 독보적 석학이 부산대에 있으면 거길 갈 수도 있다는게 당연해졌으면 합니다.
대댓글 1개
2025.10.06
본문에 제 의견은 작성하지 않았지만,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이 좁은 나라에서 서로 서열질 하면서 갈라치기 해서 좋을 것 하나 없고, 해외 유수의 대학들과 경쟁해야죠.
2025.10.06
유니 훌리 정말 애쓴다
대댓글 1개
2025.10.06
우선 저는 유니스트 이해관계인이 아닙니다만, 결과를 보았을 때 유니스트 훌리로 보일 수 있음을 양지하고 있습니다.
본문에 작성해놓은 바와 같이, 위 결과는 오롯이 생성형 AI의 견해이며 평가는 자유입니다.
2025.10.06
노벨상 하나 없는 대학끼리 도토리 키재기좀 그만합시다
대댓글 2개
2025.10.06
캬 이게 맞다
2025.10.0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물타기ㅋㅋ. 노벨상 받은 국가내에서도 대학끼리 경쟁인데, 다만 저런 평균치로 비교하는것부터 말이 안된다.
2025.10.06
어차피 미국에서 보면 다 같은 변방 지잡대인데 왜 서열을 나눠야 하나요?
대댓글 1개
2025.10.0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원래 평균에 가까운 키 174 부근에서 1cm로 목숨을 걸잖아요. 깔창깔고.
2025.10.06
unist가 연고보다 네임벨류가 떨어져서 그렇지 연구환경이나 실적은 떨어지지 않는다고 보는데 뭐만 하면 유니훌리 드립ㅋㅋㅋ 왜 지방대가 좋은 지표 나오는게 아니꼬운가봐?
2025.10.06
연휴에 할일 없으니까 뭔지랄이여 이건 또 ㅋㅋ
2025.10.06
유니스트인 ㅎㅇ
2025.10.06
대학원 간판은 솔직하게 서울대 카이스트 빼고는 의미없음 미국으로 간다면 서카도 의미 없어지고
대댓글 2개
2025.10.06
P는?
2025.10.06
타대생이면 P가 S보다 나을확률도 높음 국내는 종합적으로 K가 젤 나음 평균적으로
2025.10.06
일본은 또 노벨상 탔다는데 한국인들은 이러고 지들끼리 우물안 개구리 순위 싸움이나 하고 앉았으니.
2025.10.06
IST훌리 어서오고
2025.10.06
본인 고견이 없더라도 행동으로 이러고 앉았는데...
2025.10.06
하는 짓이 입시 마치고 온 대학교 신입생같네 대학원 줄세우기 + gpt로 어쩌고.. 어디서부터 씹을지 감도 안온다 ㅋㅋㅋㅋㅋㅋ
2025.10.07
조선놈들 또 비교질 ㅉㅉㅉ
2025.10.07
대학원쯤 가면 추구하는 목표도 연구분야도, 학회지 방향성도 다 다를텐데 어떻게 정량화해서 평가하나요? 당장 항공우주분야 학회지랑 의학 학회지 저널이랑 비교해봐도 각 1위분야 학회지들 if부터가 몇배씩이나 차이나는데
2025.10.07
대학원 순위 및 평가를 chat GPT를 포함한 생성형AI를 바탕으로 했다는 것이 굉장히 획기적이고 창의적이네요.
참고로, 저는 국내 박사, 해외 교수로 일하고 있습니다. 국내 대학원 순위 관심 없습니다. 그런데, 전세계적인 대학원 순위는 모두의 관심입니다. 모든 대학들이 싫어도 순위에 신경 써야만 합니다. 홍보를 위해서도 그렇고 펀딩에도 영향을 줍니다.
님이 이 방법을 이용해서 세계대학원, 대학 순위를 내면 하나의 사업 분야가 될 수 있습니다. 굉장히 좋은 사업 아이디어니까 꼭 노력해 보세요.
2025.10.07
실적보면 저리 보일수도 있긴한데 교수들 이직 사례보면 대충 서열 알긴함 Yk에서 ist나 성대 가는 사람은 없는데 역은 많은게 현실..
2025.10.07
요즘은 ist 가 연고대 보다 위지~
2025.10.07
다 비슷비슷하군요.
2025.10.07
유니스트예전에그땐 안좋았는 요새좀 좋아졌네 와아아 이미지가바꼇나보네요
2025.10.08
참 할거 없다..
2025.10.08
어차피 박사 받은 이후에는 개인 연구자로서나 사이언티스트 혹은 엔지니어로 개인 평가 받으니 부질없다고 생각되나 비지니스 모델로 생각하시고 하는 거면 건투를 빕니다.
2025.10.06
2025.10.06
대댓글 1개
2025.10.06
2025.10.06
대댓글 1개
2025.10.06
2025.10.06
대댓글 2개
2025.10.06
2025.10.06
2025.10.06
대댓글 1개
2025.10.06
2025.10.06
2025.10.06
2025.10.06
2025.10.06
대댓글 2개
2025.10.06
2025.10.06
2025.10.06
2025.10.06
2025.10.06
2025.10.06
2025.10.07
2025.10.07
2025.10.07
2025.10.07
2025.10.07
2025.10.07
2025.10.07
2025.10.08
2025.10.08
2025.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