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일반대학원 경제학과 또는 경영학과 풀타임은 수업만 듣고 졸업최소요건(학위논문, 졸업시험 등)만 충족되면 졸업이 가능한가요? 다른 이공계처럼 랩실 출근해서 연구활동해야하나요? 랩실 안가고 수업만 듣고 학위논문 작성하고 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2개
2025.11.10
BEST공공기관이나 공시면 면접이나 입사 시 서류점수 불이익을 걱정하시진 않으실거같고, 어디 가서 저 박사 받았는데 동국대입니다 라고 할때 면전에서 무시하는 사회성 박살난 사람들은 그다지 없습니다. 속으로 좀 무시하는 생각을 할 수도 있는데, 사회생활 경험 많고 성숙한 사람들은 학교 간판이야 부질없다는 걸 알기때문에.. 다만 작성자분을 싫어하는 사람이 뒷담화를 할 때 학벌을 가십거리 삼는 정도는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그리고, 이공계도 졸업 최소 요건만 채우면 졸업 가능합니다. 랩 출근해서 연구활동을 안하면 학위논문 쓰는게 불가능해서 그렇죠. 제가 아는 몇 경제학과나 경영학과 친구들은 비슷한 이유로 연구활동을 하기는 했습니다.
대댓글 1개
2025.11.10
그리고 이곳은 대부분 이공계 대학원생들이 모이는 곳이고, 많은 사람들이 수업 이외 연구활동에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끝에 학위를 수여받는 것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박사학위는 단지 수업을 잘 들었다고 수여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연구로 아무도 답하지 못한 질문에 대답하여 학문 발전에 기여했음을 인정받는 것이라 여깁니다. 그렇기 때문에 학위 자체의 의미보다는 학위과정동안 어떤 연구를 하였고, 그 연구가 기존 연구자들에게 어떻게 인정받았는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죠. 작성자분의 의도가 그렇다 생각되지는 않지만, 연구에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학위라는 장식만 받고싶다고 오해를 살 여지가 있어보이네요.
2025.11.10
공공기관이나 공시면 면접이나 입사 시 서류점수 불이익을 걱정하시진 않으실거같고, 어디 가서 저 박사 받았는데 동국대입니다 라고 할때 면전에서 무시하는 사회성 박살난 사람들은 그다지 없습니다. 속으로 좀 무시하는 생각을 할 수도 있는데, 사회생활 경험 많고 성숙한 사람들은 학교 간판이야 부질없다는 걸 알기때문에.. 다만 작성자분을 싫어하는 사람이 뒷담화를 할 때 학벌을 가십거리 삼는 정도는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그리고, 이공계도 졸업 최소 요건만 채우면 졸업 가능합니다. 랩 출근해서 연구활동을 안하면 학위논문 쓰는게 불가능해서 그렇죠. 제가 아는 몇 경제학과나 경영학과 친구들은 비슷한 이유로 연구활동을 하기는 했습니다.
대댓글 1개
2025.11.10
그리고 이곳은 대부분 이공계 대학원생들이 모이는 곳이고, 많은 사람들이 수업 이외 연구활동에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끝에 학위를 수여받는 것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박사학위는 단지 수업을 잘 들었다고 수여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연구로 아무도 답하지 못한 질문에 대답하여 학문 발전에 기여했음을 인정받는 것이라 여깁니다. 그렇기 때문에 학위 자체의 의미보다는 학위과정동안 어떤 연구를 하였고, 그 연구가 기존 연구자들에게 어떻게 인정받았는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죠. 작성자분의 의도가 그렇다 생각되지는 않지만, 연구에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학위라는 장식만 받고싶다고 오해를 살 여지가 있어보이네요.
2025.11.10
무시 당합니다. 학계는 철저히 학벌주의입니다. 저는 대놓고 왜 그 대학 나왔냐고 묻는 럼들을 매번 새로운 장소에서 만납니다. 성숙한 사람들이 대부분이더라도 미숙한 사람들이 총량 보존의 법칙에 따라 섞여 있기 때문에 무시를 안 당할 수가 없는 겁니다.
2025.11.10
동국대 학부도 삼국지 대학이라고 무시당하는데, 박사면 더 하죠..
2025.11.1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무시 당할 정도는 아니지...
대댓글 1개
2025.11.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동국대 학부면 그냥 저냥 동국대 박사면 ㅠㅠ
2025.11.11
동국대 박사를 무시한다기 보다는 독학사 출신인 거랑 실적이 없는 물박사인걸 갖고 무시하겠죠.
대댓글 2개
2025.11.11
독학사 무시당하나요? KCI 2편 쓰고 졸업하면 물박사 되나요?
2025.11.11
분야에 따라 다르겠지만, 저희 분야(이공계)에서 박사과정 동안 KCI 두편의 실적이 전부인 것은 물박사라고 칭해지기에 충분합니다. (개인적 의견)
참고로 박사과정 간의 실적은 정량적(논문)으로만 카운트되지 않습니다. 논문의 질, 특허, 참여/수주했던 과제의 수 등 정량/정성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됩니다.
마지막으로 첫댓 글쓴이께서 듣기 좋게 포장해주셨으나, 출근 및 연구참여 안하고 박사라는 허울만 받으려 하시는 마음이 혹 있으시다면 그길로 다른 방향의 미래를 그리시는 것이 본인에게 더 나아보입니다.
2025.11.11
SCI 10편 주저자면 다들 아닥할텐데... 질문이 이상하네요.
대댓글 1개
2025.11.11
10편쓸때까지 박사로 지내면 되죠.
2025.11.11
네.
2025.11.11
박사는 명함이 중요한게 아니고 저술과 사상이 중요한거죠.
서울대 나왔어도 물박사면 무시당합니다.
2025.11.11
무시하는 사람들은 인생에 어느 학교를 나왔다는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부류에게만 그러니 너무 신경쓰지 마셔요.
뭐 그것도 상대적이기에 그 사람들도 맞을 수 있지만, 절대 자신이 걸어간 길을 너무 저자세나 고자세로 보실 필요도 없으셔요.
좌우막론 및 동서고금을 불문하고 학업보다도 더 중요한 것들이 많은게 인생입니다.
경제/경영학 석박사는 물론 5급 공무원도 다 가능하니, 자신의 뜻을 굳건히 이룰 수 있는 건강 관리만 잘 하셔요.
대댓글 1개
2025.11.11
하지만 한국이란 테두리 안에서는 험난한 길이 될 가능성도 염두해두셔요.
그렇다고 불가능한 것도 아니지만요.
근현대의 역사적 인물들이나 그 들의 주변인들의 성공기와 실패기를 찾아보시면 잘 배우실 수 있으리라 봅니다.
2025.11.11
물박사나 학교 줄세우기하는겁니다. 가진게 간판뿐이라서요. 근데 문과쪽은 잘모르겠네요
2025.11.11
문과라도 연구실 생활이 엄연히 있습니다. 물리적인 랩실이 없어도 랩세미나가 있고 공동연구도 있어서 랩실 생활 안하면 물 박사 소리를 듣는 분위기라 보여지네요.
2025.11.11
KCI는 없는거랑 크게 다르지 않고... SCI 도 좋은데로 실적 가진거 아니면 물박사 소리 듣습니다. 박사들을 만날 때 어느학교 출신인지 묻는사람은 거의 없고, 뭐하는사람인지를 먼저 묻는데 내가 뭐 연구하는 사람인지 컨셉과 그를 뒷받침할 실적이 있는게 제일 중요합니다.
2025.11.11
네 무시당합니다. 졸업요건만 채우고 랩을 안 다닐 정도면 실적도 쓰레기일 확률이 99.99%니까요. 물론 이 경우 skp여도 똑같이 무시당합니다 ㅎㅎ
2025.11.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경제나 경영이면 솔직히 국내박사는 다 무시받지 않나 Sky 교수중 국내박사 있어? 난 못 봤는데
2025.11.10
대댓글 1개
2025.11.10
2025.11.10
대댓글 1개
2025.11.10
2025.11.10
2025.11.10
2025.11.10
대댓글 1개
2025.11.11
2025.11.11
대댓글 2개
2025.11.11
2025.11.11
2025.11.11
대댓글 1개
2025.11.11
2025.11.11
2025.11.11
2025.11.11
대댓글 1개
2025.11.11
2025.11.11
2025.11.11
2025.11.11
2025.11.11
2025.11.11
2025.11.11
2025.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