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박사하기 vs 바로 회사가기 경제적 비교

Claude Debussy*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0.11.03

17

10430

1. 박사갈 경우: 석박사 7년 (도중 전문연으로 군대 해결) 

    학비면제 + 월급 풀로 주는 상위 1% 부자랩이라면 7년간 총 2억 정도 수령 가능

    현실적인 경우 7년간 인건비-학비 하면 1억 정도 받는다고 가정할 수 있고

    대학원때 저금하는 사람은 거의 없고 대부분 생활비로 다 나가서 모은돈은 제로가 됨

   

2. 바로 회사갈 경우: 군대 1.5년 + 회사 5.5년 

    영끌초봉 6천정도의 상위권 대기업의 경우 총 수령액은 4억 정도

    월 100 생활비로 쓰고 나머지 모으면 3.5억 정도를 모을 수 있음 



여기까지만 보면 박사의 경제적 마이너스는 3억 정도라고 추정할 수 있는데

박사신입이라고 비슷한 나이 학부출신보다 딱히 연봉이 높지 않기 때문에 영원히 못 따라잡음

더 무서운건 사회생활 일찍한 사람은 종자돈 일찍 모아서 재태크가 가능하다는거임 

회사원이 영끌 대출받아 서울에 7억짜리 집을 사뒀다면 자산차이는 두배 이상으로 늘어남

30대 중반정도에 자산이 거의 없는것과 대출낀 집이 있는건 엄청난 차이임


결론은 박사는 학문이 좋고 집 경제력 걱정이 없는 사람만 하는 게 맞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0.11.03

돈 잘 벌려고 박사하는 사람은 거의 없지 않아요..? 너무 단기적인 시선인것 같습니다
또한 석박 후에는 연구원 등의 다른 직장이 더 열려있지만 학부졸은 기업에 국한된다는 차이점도 있을 것 같습니다.
지금 하시는 비교는 더 원점으로 돌아가면 고졸 공무원이 대졸 회사원보다 돈을 더 많이 버니까 대학을 가지말고 모두 공무원 준비를 해야한다랑 차이가 거의 없는 것 같아요
Claude Debussy*

2020.11.03

정출연 교수 TO는 무시할 정도로 극소수고 절대다수는 기업에 가는게 현실이고
어정쩡한 대학나와 몇년 낭비하고 공시 시작하느니 고등학교떄 바로 공시 시작하는게 맞음

2020.11.03

본인이 연구직 말고 생산관리나 품질관리 이런거 하고 싶으면 학사졸 취업하면 되는거고 연구직 무조건 해야겠다하면 석박사따는거죠.

2020.11.03

그럼 좋아서 하지 싫은데 하겠냐 학부때까지 취업위주의 학과 및 전공 골라가면서 회사들어가서도 그 회사에 맞게 배우고 그렇게 살면서 내가 하고 싶은 일 내가 하고 싶은 공부에 대한 정체성을 잃어가며 살고 싶지 않다. 나같은 사람입장에선 일에 경제논리가 주를 이루는 게 젤 하기싫어.
John C. Slater*

2020.11.03

그냥 고졸하고 기술배워서 노가다뛰지 그래?
일당 2,30씩 받고 일하면 30살기준으로 돈 젤 잘벌건데
John C. Slater*

2020.11.03

근데 님 그건 암?
학사출신이 4+4+7 해서 15년만에 부장다는거랑,
박졸자가 7년걸려 부장다는거랑 확률이 많이 다르다는거?
박졸자는 부장까지는 본인이 의지만 있으면 어케 되는데, 학사출신은 대리찍고 과장찍고 부장까지 다는사람은 박졸자보다 적음
Charles Sanders Peirce*

2020.11.03

가성비 코스 알려준다
석사하고 연구직으로 석전연
기업이나 정출연 연구소 입사하고 파트타임 박사 취득
교수 쪽 제외하면 풀타임박사랑 파트타임박사랑 차이 1도 없음
Claude Debussy*

2020.11.03

경제논리가 싫으면 회사따위 가면 안되지. 회사에선 회사에 이익되는거 시키는건데

그리고 노가다는 위험하고 직업안정성이 극히 낮으니 꺼려지는거다. 박사 직장인이나 학사 직장인이나 정년에 별 차이 없음... 오히려 박사하느라 실무 잘 모르는 박사 직장인이 일반적으로 평이 더 안좋지
John C. Slater*

2020.11.03

그래, 돈버는거 말고도 직업안정성이나 위험성도 보고 직업판단하는것처럼 박사도 그런 조건으로 선택할수 있지
John C. Slater*

2020.11.03

근데 어제도 이글싼거 같은데 왜 씀?
본인이 박사하고 회사갔는데 학졸자들한테 실력없다고 무시당하고 돈도 많이 못모았고, 앞으로도 뒤집을만한 실력도 없어보여서 열폭하는거야?
Claude Debussy*

2020.11.03

문제는 박사따고 늦게 회사오면 직업안정성이 더 낮음
회사에선 젊은박사 뽑아서 빼먹을 생각하지 박사딴지 20년된 늙은박사 데리고 있기 싫어함.
Matthew Fontaine Maury*

2020.11.03

ㄴ 직업안정성은 학사나 박사나 비슷합니다. 박사 8년 걸린다 쳤을때 기업 입장에서 28년된 학사출신은 20년된 박사 출신이랑 뭐 다른가요?

IF : 5

2020.11.03

저 비슷한 나이의 학사출신보다 월 100정도 많이 받는 박졸자입니다;
학졸이신 분은 대리급 전 과장급

2020.11.03

난 박사를 했지만 이런 생각 못해봤었는데... 이분들 최적화 관련 연구하면 잘 하겠네 ㅎㅎ

2020.11.03

돈 더 벌려고 박사한다는거면 그것 자체가 모순이고 하고싶은 공부를 더 하고, 최소한 그 영역에서 돈을 벌 수 있다는게 참 좋은 부분이지 돈돈 거릴거면 사업을 하시고

2020.11.03

석박사 평균 6년이고
애초부터 기업갈생각으로 산학장학생 신청해서 돈받으면 군대로 2년 날리는 시간도 없고 박사가는게 금전적으로도 이득임

2020.11.03

응 그래서 교수 테크탈거야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올해 마지막 김박사넷 밋업! 지금 신청하고 합격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지세요.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