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교수의 본분은? 중요도?

Walther Bothe*

2020.12.03

9

6136

교수라는 직책을 놓고 봤을 때,

학부생들을 잘 가르치는 것이 더 중요한지?

연구를 잘 하는 것이 더 중요한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0.12.03

당연히 둘 다 중요하지만, 학교 입장에서는 후자가 더 중요.
대학원생 입장에서도 후자가 더 중요

2020.12.03

대학이 학부생들 등록금으로 유지되고, 엄연히 교육기관으로 분류된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강의가 중요하다고 생각함.
그렇다고 연구보다 강의에 신경쓰는건 좀 아닌것 같고 그냥 강의에 최소한의 준비와 성의만 보이면 된다고 봄

2020.12.03

소위 학교에서 잘 나간다 하는 교수들을 보면 금방 알 수 있습니다.
강의 평가에 쩔쩔 매는건 시간 강사들 뿐입니다.
연구실을 잘 이끌어서 많은 실적을 내는 교수가 훨씬 많은 인정을 받습니다.
요즘 말하는 연구중심 대학이라는 단어가 트렌트를 반영하신다고 보면 됩니다.
John Steinbeck*

2020.12.03

전임교원은 강의평가 무시해도 사는데 지장없음
강사들은 강의평가 나쁘면 짤림

2020.12.03

전임교원 평가할 때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간접비 기여입니다.
John Steinbeck*

2020.12.03

논문을 잘쓴다->과제를 잘딴다->간접비를 많이낸다

2020.12.03

소위 상위권 대학들은 학부생 등록금보다 간접비 금액이 더 큼. 그래서 연구가 중요하고, 과제를 잘 따서 간접비를 많이 내는게 짱임.

2020.12.03

그리고 학부생 등록금이 비싸지 않은 상황이고, 대학원생 등록금이 더 비싸고 특수대학원 등까지 하면 학부생 등록금 수입은 아주 큰 포션이 아님. 학부생들의 착각이지
Carl Spitteler

IF : 1

2020.12.03

이거 대학마다 선호하는 성향이 다름.

과제 많이 따서 간접비 많이주면 수업? 학과잡일? 그딴거 땡인 곳도 있고 부총장 하나가 학과 하나 장악한 어디대학 모 과는 아래 교수들이 학과 수업 자료 만들고 평가받느라 대학원 못 돌리고 연구를 못하고 있음.

요즘은 근데 연구중심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점점 가는듯함.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