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3 - 왜 쫓아냈어요 ㅠㅠ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29 - 그래서 저는 처음 한학기는 잡일 뺑뺑이 시킴요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18 - 과거에 천문학계에서 계산을 담당하던 계산원, 즉 컴퓨터라 불리던 사람들은 기계로 된 컴퓨터가 나오면서 직업의 이름을 물려주고 물러나야 했습니다. 그들 중 상위 1%는 커녕 지금은 누구도 컴퓨터라는 이름으로 일을 하지 않지요. 그러나 컴퓨터로서 일을 할 수 없게 되었다고 해서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생겨난 건 아니었습니다. 그때라면 계산원을 수행했을지도 모를 사람들이 지금은 다른 일을 하고 있지요. 이를테면 대학원의 학생이 되어서 컴퓨터에게 계산을 시키는 일을 한다든지 말이죠. 즉, 기술의 발전이 무작정 일자리를 빼앗는다기 보다는, 일자리의 질을 향상시켜 주는 부분도 있다는 겁니다.
인공지능이 박사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을 정도의 능력을 가지게 된다면 기존의 박사들은 그 인공지능을 가지고 다른 일을 하게 될 겁니다. 기술의 발전이 일자리를 빼앗는 일은 결코 하루아침에 일어나는 게 아닙니다. 일자리를 빼앗긴 사람들을 탓 하거나 비난할 생각은 없지만 보통 그런 비극은 나날이 발전하는 기술에 전혀 관심을 주지 않았기 때문에 다가오는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서 일어나는 겁니다. 노인이나 저임금 노동자, 기술지식 접근성이 취약한 사람들이라면 그런 기술 변화에서 생기는 비인간적인 비극으로부터 일정부분 보호해야 할 도리가 있겠지만, 적어도 대학원생이 만약 그런 일을 겪는다면 그건 그저 학계의 움직임에 둔감했을 본인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그러니 잠못이루고 걱정하기보다는 많이 보고 듣고 준비하시는데 시간을 쓰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사람은 누구나 언젠가 죽을텐데 그게 걱정되어서 아무것도 못하는 게 아니듯이 말입니다.
AI가 근미래에 웬만한 박사를 대체할 수 있을까요?
21 - 집착이 없는거죠 이거 안해도 다른거 할일 많다 마인드 참 쓰레기 같은 마인드 같아요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16 - 현명한 학생 아닐까요 아닌 랩 오래 다니다가 그만두는 것보다 훨씬 서로에게 좋음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16 - 어그로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진짜 세탁하려면 하버드 mit 이런데를 가세요..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K대학원은 잡대 학부도 다오는데 무슨 세탁?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1 - 1.인정. 서울대 학석박인데 실적없는 물박사들 너무 많음. 그냥 서울대 쩌리들이 갈 곳 없어서 대학원 가는 느낌. 실적좋은 비서울대 학부 선호.
2.인정. 테뉴어 받으시고 꾸준하게 연구지도 하는 교수님들은 그냥 무조건 리스펙. 보통일이 아닌데 열정이상의 노력이 필요.
3.다 인정하는데 마지막문장만 인정X. 과탑했으니 SKP에 가는것은 본인만의 특권입니다. SKP에서 만나는 인맥과 연구시스템은 매우 훌륭합니다. 교수님때문에 자퇴를 한다면 어쩔수 없지만 SKP는 충분히 도전할만한 학교이고 경험해볼만한 학교입니다.
4.인정. 한국학생들의 고질적인 병이 수동적인 태도입니다. 무조건 떠먹여주실 바라는건 대학원생이 아니죠. 실패하더라도 하나씩 부딪쳐보고 해결해나가고 배우는 과정의 연속이라 생각.
5.최근에 임용되신 조교수님들 찾아가서 상담을 받는것은 무조건 추천. 엄청난 실력자임과 동시에 제가 본 대부분의 분들도 매우 훌륭한 트레이닝을 받고 인성도 좋으신분들임 (물론 나중에 테뉴어를 받으면 착취형 교수로 돌변하겠지만 ㅋ)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3
지사대(학부), ssh(석사) 출신입니다. -ist 박사 붙었는데 아쉬운 마음이 듭니다.
2021.06.17

고민이 생겨 글을 씁니다.
제목처럼 저는 지사대(학부) 졸업 후에 이번에 ssh에서 석사 졸업예정이며, -ist 계열 배터리 분야에 지원해서 합격하였습니다.
(원래 전공은 신소재입니다.)
그런데 아쉬운 마음이 생깁니다.
분명 -ist 붙기만 해도 감사하다고 생각했는데..
더 높은 학교에 지원 자체를 안한게 아쉽습니다.
아쉬워 하는 중에 P 대학원 친구가 저에게 확답은 못하지만 지원했을 때 가능성이 조금은 있을 것 같은데
아쉽다며 박사를 더 높은 곳에 써보면 좋겠다고 다음학기에 지원해보라고 합니다.
(본인 학교가 아니여도 YK로요. YK로라도 가라는 건 친구의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제가 충분히 만족하고 자존감이 있었다면 그냥 넘어갔겠지만,
저도 뭔가 아쉬움이 남아 마음이 흔들립니다.
친구가 제 기를 살려주기 위한 말인지 진짜 가능성이 있는지 마음이 싱숭생숭해서 판단이 안됩니다ㅜ
제 스펙으로 합격 가능성이 있을지가 궁금합니다.
학부(지사대)
학점: 3.92/4.5 (석차 8/87)
교내 3회, 국내학회 1회 수상(다 규모가 작음)
석사(ssh)
학점: 4.43/4.5
국내학회 포스터 최우수상 수상
1저자 2편(IF는 둘다 3~4이고 배터리 분야가 아닙니다ㅜ)
토익: 820..
현재
대기업 배터리 연구소
초빙연구원(올해말까지 계약)
만약에 가능하다면 내년 봄학기에
P 대학원에 지원해보고 싶은데 가능할까요?
혹은 YK로 지원하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그냥 지금에 만족해야할까요?
객관적인 조언 혹은 비판 부탁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22 25 9125 -
23 23 14294 -
2 16 7722 -
3 33 8478 -
2 24 6327 -
9 22 4075
지잡대 학부 ssh 석사 취업 김GPT 2 9 3720
지사립이 yk나 ssh에서 석사 김GPT 2 4 5110
ssh 석사 후,, spk 김GPT 0 9 5115
저는 연구실 생활이 너무 행복합니다.. 명예의전당 245 40 61122-
120 46 27527
교수대신 미국 빅테크에서 일하는 이유 명예의전당 131 104 7664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2021.06.17
대댓글 9개
2021.06.17
2021.06.17
대댓글 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