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정도 스펙일때 삼성이 맥스 1.3-1.4정도 찍힘
보통 다른회사는 삼성보다 더 주기 때문에 1.5는 가능
물론 계약연봉은 훨씬 아래지
영끌말하는거임
재치있는 카를 가우스*
2021.07.18
열심히 해봐야겠네요.
2021.07.18
대부분 국내 대기업은 그냥 테이블 맞추어서 줌..~. S전 기준으로 그냥 취직 되면 기본급 0.7 억 OPI TAI 각종 수당 다 받으면 대략 최대 1.15억 정도 가능하지 않을까 함.. 우수 인재면 사이닝을 조금 더 주는데 그건 그냥 one-time.. 1.15억 해 봤자 10만 달러인데, 해외 기업은 1군 기업 (G, F) 는 대략 25 ~ 30만달러 초봉을 받으므로 거의 3배 차이남.. 연차가 오르면 차이가 줄어드는게 아니라 점점 더 남.. 그리고 기업에서 지금 Vision한 사람 회사에서 필요한 인력보다 너무 많아서 문제임..
대댓글 12개
다정한 박경리작성자*
2021.07.18
같은분야로 비교하면 당연히 상대도 안되구
cs아닌 미박들은 보통 초봉 10-12만불 받는다고 하던데
2021.07.18
S전 기준으로 수석 최고참 (50대) 되면 기본급 대략 1.1 ~ 1.2 억해서 최대 OPI ATI해서 1.8 ~ 1.9억 가능할거임.. G, F에 비슷하다고 봐야할 레벨 6이 되면 보통 줄때 기준으론 50만 달러인데 RSU 주가 상승으로 실제론 요즘 60 ~ 70만 달러 수준으로 받고 있다고 알고 있음..
다정한 박경리작성자*
2021.07.18
너 내 댓글 읽고는 있니?
2021.07.18
// 다정한 박경리
저는 S사 팀원 연봉및 구조등은 모두 알수 밖에 없는 위치입니다. 미국 F, G 사 연봉도요~. CS가 미국에선 초봉이 더 높고, EE가 그 다음, 그리고 ME나 Civil Engineering등은 많이 그것보다 적습니다만 어차피 AI얘기가 나왔기 때문에 CS로 가정했습니다~
다정한 박경리작성자*
2021.07.18
ㅇㅇ 타분야 미박이랑 AI분야 국박이 받는 돈이 비슷하다는 말을 하고 싶었음
2021.07.18
혹시 Computer vision이 현재 포화 상태인가요?
2021.07.18
// 바보같은 노암 촘스키
우선 저는 제가 다녀왔단 회사 중심으로만 이야기 할 수 밖에 없어서 전체 그림은 아닐 수도 있습니다. 회사의 Vision관련 프로젝트 수에 비해서 박사 전공자가 많습니다. 저희 회사 해외 AI센터도 마찬가지고요. 유명한 교수님들을 겸임으로 해서 일을 하게 하고 연구원들도 있는데 가시적 성과는 부족하고 논문만 주로 씁니다. 따라서 저희로만 보면 비전 분야로만 한정하면 고급 인력 많이 충원하기가 힘듭니다.
2021.07.18
지금 대학원 생활을 해당 분야로 시작하려고 하는데 그 중에서 어떤 점을 강점으로 가져야지 채용에 유리할지 궁금합니다.
2021.07.18
// 바보 같은 노암 촘스키
사실 그건 어려운 질문입니다. 몇 년 뒤를 내다 보기가 어려우니깐요. 저희는 몇 년전 AI 붐이어서 해외 AI센터에 AI인력을 많이 뽑자고 해서 뽑았더니 거의 70프로가 비전 관련자여서 좀 과잉이었지만 다른 분야는 인력이 부족한 곳들도 있습니다. 앞으로 로봇이나 자율 주행이 얼마나 빠르게 시장이 커지는 지에 따라 다르겠네요. 그리고 영역간의 장벽은 낮아져서 지금은 한 분야에사 다른 분야로 비교적 쉽게 옮길 수 있습니다. 단 전통적 비전은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2021.07.18
그러면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어떤 능력을 기르는게 중요할지 궁금합니다
2021.07.18
// 바보 같은 노암 촘스키
우선 새로운 프로젝트에도 잘 적응 할 수 있도록 T자형 인재가 되는 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하나 주 특기는 있되 기초는 튼튼하고 자기 분야 외의 AI 트렌드에도 관심을 가지고요 Tensorflow Pytorch나 Python 구현도 잘하고 그 외에 AI랑 관련 없는 SW deaign pattern이나 개발 방법론 등도 잘 알고요. 그리고 우수 최우수 학회 1저자 논문을 다수 만들어 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상황이 어떻게 되든 CV에 어려운 것을 해낸 게 보이면 당연히 매우 많이 도움이 됩니다. 대학원 때 지도 교수님이 정해지면 분야 바꾸기는 힘드니 사실 이것이 가장 증요하겠네요.
2021.07.18
감사합니다
2021.07.18
뭔가 잘못알고 계신듯요...?
대댓글 2개
다정한 박경리작성자*
2021.07.18
나보다 잘아는사람이 있을까싶은데
더받았으면 더받았지 저거보다 못받진않을거임
2021.07.18
어디에 계셔서 더 잘 아는사람이 없는 위치인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아는 선상에서 작성자님이 갖고 계신 정보랑은 매칭이 안되는 부분이 좀 있네요.
2021.07.18
5편내외 있는데 베이스 2억가능?
대댓글 4개
다정한 박경리작성자*
2021.07.18
노우,, 베이스 2억은 불가능
영끌 2억은 될지도
2021.07.18
그러면 탑컨퍼 3편이면 미국가면 되는데 한국 남아있을 사람이 있으려나
2021.07.18
근무환경도 차이나고 동료 수준도 차이나고 돈도 차이나고 한국 기업은 별로 AI 전공자 잡을 의지가 없는듯
2021.07.18
탑컨퍼 5편이면 해외포닥간다음 해외기업으로 가야지
2021.07.18
컴퓨터 비전은 회사에서 잘 안뽑아가나요..? Spk학사에서 자대 컴퓨터비전랩 지원하려고 했는데, 고민되네요 갑자기..
대댓글 1개
2021.07.18
위에 적었듯이 비전이 다른 분야에 비해서 전공자가 이미 많은 이슈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까진 SPK 학석박 하면 국내 대기업이야 당연히 수월히 갑니다.~ 우수, 최우수 논문 1저자 2편 이상이라고 할 경우에요. 그런데 대부분 이정도는 되니깐요 . SPK 학석박하고 국내 대기업가는 경우는 가장 그래도 마지노선으로 안 좋은 경우 아닌가요? academy로 가거나 아니면 해외 기업으로 가는게 훨씬 나으니깐요..
2021.07.18
대댓글 4개
2021.07.18
2021.07.18
2021.07.18
2021.07.18
2021.07.18
대댓글 12개
2021.07.18
2021.07.18
2021.07.18
2021.07.18
2021.07.18
2021.07.18
2021.07.18
2021.07.18
2021.07.18
2021.07.18
2021.07.18
2021.07.18
2021.07.18
대댓글 2개
2021.07.18
2021.07.18
2021.07.18
대댓글 4개
2021.07.18
2021.07.18
2021.07.18
2021.07.18
2021.07.18
대댓글 1개
2021.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