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물리학 전공자가 반도체 분야 어느쪽으로 알아봐야 취업에 도움이 될지 궁금합니다.

2021.08.09

16

8702

물리학이 좋아서 열심히 공부했는데요,,, 막상 취업하려하니 하등 쓸모가 없습니다.


반도체쪽 석사 알아보니, 연구분야가 너무 방대하고, 새롭게 공부할것도 많네요.

소자,공정,설계 등등요...

물리 전공자가 취업후에도 빛을 발하려면 어느쪽으로 알아보는것이 좋을까요??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성실한 헤르만 헤세*

2021.08.09

工程

대댓글 1개

2021.08.09

공정말고는 물리전공자가 할만한거 없나요?

2021.08.0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양자랑 통계 적당히 공부했으면 소자 쪽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지 않나요? 회로 이용해서 실험하는 쪽 자신있으시면 디지털이나 전자회로 쪽도 공부하기엔 어렵지 않을텐데… 물리랑 전자과가 커리큘럼도 가장 겹치지 않나요

대댓글 8개

2021.08.0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주위에 학사취업은 삼성이나 하닉가서 잘 적응하고 대학원도 분야 바꿔도 그럭저럭 해내던데 막상 해보시면 물리 공부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에요. 물론 공학적인 감각이 부족해서 그 부분은 좀 익혀야겠지만 이론 공부는 어려울 게 없을 겁니다.

2021.08.09

감사합니다.

그런데, 소자전공하면 갈수있는 기업이 적다는데, 맞는건가요?

그리고.. 소자는 물리과에서 말하는 반도체고체물리물성과 비슷한건지 궁금합니다.

2021.08.09

그건 소재고 소자는 물리과 과목에선 전자물리가 소자+회로 요약본입니다.

2021.08.0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렇게 많이 파고 들어갈 수도 있겠지만 연구자들도 응집물리를 많이 사용하시는 것 같지 않아요. 학사 소자 수업에서는 간단한 페르미 준위나 페르미 통계, 약간의 전자기학, 양자 정도로 FET 같은 소자의 전류 특성 간단한 해석을 다뤘습니다. 박사까지 하실 생각은 아니신 것 같은데, 학사와 석사는 전자 쪽에서는 취업 시장에서 동일하게 취급받습니다. 어차피 박사 아니면 주어진 일 새로 배워서 하는 것 같아요. 간단한 회로 해석 등 기본적인 내용만 알면 충분합니다. 전공에 따라서 기업이 다르다는 말은 처음 듣는데… 적어도 삼전 하닉에서 석사 세부 전공은 전혀 상관 없는 것 같습니다. 어차피 큰 틀의 부서만 정해서 지원하고 들어가고 물리-전자 전공이면 전공으로 지원하지 못하는 부서는 거의 없습니다.

2021.08.0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반대로 말하면 전자 쪽 대기업에서 석사한테 바라는게 없고, 학부 학벌 + 성적을 같이 본다는 것이기 때문에 혹시 이 부분이 부족하신 것 같으시면 석사 분야와 거의 비슷한 팀을 찝어서 자소서와 면접에서 어필하실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2021.08.0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도 모든 부서를 알지는 못 하지만 삼전 같은 경우에 박사들은 세부 분야에 따라서 기흥 평택 어디로 갈지 정해지전데, 학석사는 지원시에 희망 부서로 가게 됩니다. 반연, 메모리, 생기연 등 여러 부서가 있는데 어디가 편하고 좋은지는 마법의 부바부기도 하고 블라인드? 같은 커뮤니티나 지인한테 물어보시는게 좋을 것 같네요.

2021.08.12

아르키메데스님 감사합니다.
사실 박사도 고려중에 있습니다. 집이 지방이라, 평택 삼성 메모리단지에서 일 하고싶은 소망이 있습니다.
박사마치고 평택에서 일하려면 어떤 세부 전공을 하는것이 좋을지 여쭤보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2021.08.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이건 그 쪽 연구실이 더 잘 아실 것 같긴 한데… 제 주위에서는 메모리사업부나 반도체연구소(이전 예정)이면 평택 갈 것으로 예상하던 것 같네요. 전공은 소자 쪽, 공정 쪽입니다.
약삭빠른 갈릴레오 갈릴레이*

2021.08.09

그냥 물리학 학사, 석사 만으로도 취업 잘 됩니다. 전자공학을 따로 찾아 공부할 필요가 없어요

대댓글 1개

2021.08.09

반도체 세부전공을 말씀드린것입니다.
공정쪽은 교대근무필수+비전x 라는 말을 들어서,..
어느 세부루트로 나가는게 좋을까용

2021.08.09

취업은 공정쪽이 잘 될겁니다
물리학과나 전자전기나 학부에서 배운거 다 거기서 거기라 석사를 공정으로 진학한다 해도 같은 출발선에서 시작하는 거에요
그리고 공정은 이론 하나도 필요하지 않아 보이는데, 은근 많습니다.

2021.08.09

물리과 박사과정임
반도체쪽 석사취업할거면 고체물리하는 랩 가던가 플라즈마하는 랩 가던가 하면 됨
꼭 반도체가 아니라면 광학쪽 하는 랩 가도 쓸모는 많고, 삼전에서도 광학랩 사람 꽤 뽑음

대댓글 1개

2021.08.10

러셀님 감사드립니다.

혹시 물리학사출신으로서
물리과 대학원에서 광학쪽으로 박사하거나
전자과 대학원에서 공정쪽으로 박사 할 경우

박사로서 취업은 잘 되는 루트일까요??

부탁드립니다 ㅠ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