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차 업체들이 배터리 자급화 한다잖아. 폭스바겐이나 포드나 테슬라나 현대차나 도요타나..
이렇게 되면 자급화 성공했을시에 배터리3사는 타격이 엄청 큰거아님?? 배터리가 전기차 땜에 붐 엄청 일어났는데 전기차 자급화가 진행된다면....
배터리는 반도체랑 뭔가 좀 달라보이는게, 진입장벽이 낮기도 하고 아직 전고체 배터리는 출발선상이라 여러기업에서 하이에나처럼 달려드는듯.
어케될지 ㄹㅇ 흥미진진하네
뭔가 완성차 업체의 승리로 갈거같은 느낌 듦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1.09.08
이노베이션이 석유화학회사였는데, 배터리 순식간에 따라오고 있는거 보면 완성차업체도 가능할거같은 느낌....
IF : 1
2021.09.08
배터리 아예 모르는 사람인데 이 글 보고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
배터리도 반도체처럼 파운더리로서의 비전이 있다고 생각함? 예컨데 현차가 자기 차에 맞게 배터리 설계하고 SK 이노에 제작 의뢰를 한다던지... 반도체처럼 scalable 한지 궁금쓰
대댓글 4개
IF : 1
2021.09.08
잘 모르는 사람 입장에서는 결국 여기도 규모의 경제가 적용 될 것 같은데 흠...
선량한 피에르 페르마*
2021.09.08
반도체랑 다르게 배터리는 리튬을 써야해서 원가가 비싸고 무게가 많이 나감.
반도체는 시스템 반도체 영역까지 들어가면서 "설계"가 들어가야하지만 배터리는 설계할만한 요소가 크게 없다고 생각됨. 모양 잡아주고 적정 전압, 방전률, 용량, 접지 맞춰주면 끝임. 고도의 설계가 필요없고, 반도체와 다르게 모듈화의 여지가 적어서 파운드리 형태로 발전이 어려울 것 같음.
IF : 1
2021.09.08
시스템 배터리라는 가능성이 있을까? 배터리의 화학공학적 역할도 있겠지만 걔를 activation 시키는 control system도 배터리의 성능에 영향을 끼칠 것 같은데...
2021.09.08
배터리 시스템 컨트롤은 배터리 회사가 주로 하는게 아님. 코나나 볼트 리콜사태에 등장하는 회사 이름들 살펴보면 됨.
2021.09.0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어제 티비 뉴스에 제 35회 과학기술분야 인촌상에
한양대 에너지 선양국 교수 수상자로 선정되었다는 보도 나오든데,,, 수상금은 1억과 메달,,, 배터리 연구열정과 성과가 대단한 교수인것 같음
2021.09.08
2021.09.08
대댓글 4개
2021.09.08
2021.09.08
2021.09.08
2021.09.08
2021.09.08
대댓글 3개
2021.09.08
2021.09.08
2021.09.08
2021.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