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도 학벌이 중요할까요?

2021.10.01

15

5703

안녕하세요, 생명관련학과 막학기 학부생입니다.

제가 두 선택지를 두고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 저희 학교 교수님께서 스타트업과 같은 기업을 설립하셨습니다.
자세히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 분야는 BT이고, 저희 학교 학생들에게 기회를 주고싶다면서 흔히들 말하는 삼바, 셀트리온 등 대기업에서 주는 연봉만큼의 이상으로 주신다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거기에 더하여, 교수님의 회사이니 만큼 회사를 다니면서 대학원 학위까지 딸 수 있는 1석 2조의 기회입니다.
사실 집안이 대학원 학비를 대줄 수 있을 만큼 부유하지 못하여 저는 석사학위만 취득 후 바로 취직을 할 생각이었습니다.
(애초에 석사학위를 따는 이유가 돈을 벌기 위해서였지만, 박사학위까지 욕심은 있었습니다. )
이 기회가 놓치기 정말 아쉬운 기회이긴 하지만 제가 고민하고 있는 점은 여기서 석박학위를 따면 현재 대학교에서 석박학위를 딴다는 것입니다. 학교는 중경외시 정도 라인의 학교입니다.

저는 현재 학점 4점 초반대로, 스카이라인의 대학원 진학에 욕심이 있습니다. (제가 지방을 안좋아해서 카포는 제외입니다,,갈 수 있다는 보장두 없지만,,ㅎ)
사실 대학원으로 학벌세탁(?) 하고싶은 마음이 컸습니다. 하지만 취업과 학위를 동시에 할 수 있다는 좋은 기회에 갈등이 됩니다.

제목 그대로, 대학원도 학벌이 많이 중요한가요? 추후 취업에서 좋은 대학에서 학위를 딴 사람을 더 선호할까요?
본인의 연구성과에 따라 다르겠지만, 저는 연구성과도 좋은 연구환경이 구축되어있어야 좋은 논문이 나올 확률이 더 크다 생각하여 연구환경이 더 좋은 타대학으로 가고싶다고 생각했었습니다.

어느 선택이 후회없는 선택이 될까요,, 선배님들의 조언을 구해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1.10.01

학사로 취직 가능하면 취직 하는게 좋고
석사 마치고 회사 다니다가 다시 박사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근데 바이오는 박사를 한다고 해도 막 연봉이 오르는게 아닙니다.

2021.10.01

보통 학벌이냐 논문 실적이냐를 질문하는데 이건 학벌+논문실적이냐 돈이냐네요. 저같으면 당연히 전자입니다. 대학원 가는 목적이 무엇인가에 따라 다를 것 같습니다. 보통 연구하고 실적내러 가기 때문에 회사 차린 교수는 오히려 기피 대상입니다. 지금 월 몇십 더 받는거 졸업 후 취직해서 오랫동안 받는 연봉 생각하면 큰 비중 없어요.
옹졸한 르네 데카르트*

2021.10.01

말에 모순이 있는거 알죠? 취업때문에 중경외시 자대 교수님 연구실들어가면 교수님 연구실 들어가서 돈받으면서 회사취직까지 이어지니까, 학벌때문에 취업못할까 걱정할 필요가 없고, 다른데로 취업하더라도 교수님 회사에서 경력직하다 넘어가는 경력직이니 학벌이라는 것이 큰 의미는 없어보임. 그리고 막학기인데 SKY 간다면 컨택은 한거임? 아니면 고민때문에 컨택도 안한거임? 그럼 이미 결정된거같은데?

대댓글 1개

2021.10.01

감사합니다. 많은 생각을 하게해주는 댓글이네요..ㅎㅎ 사실 이쪽에 마음이 기운건 맞는 것 같지만, 김박사넷 커뮤를 보면 학벌이 중요하다는 글이 많은 것 같아서요..!

2021.10.01

막학기인데 컨택 안했으면 재수하게요?

대댓글 1개

2021.10.01

사실 쉬고싶은 마음+ 바로 대학원 진학에 대한 부담이 커서, 한학기 인턴 생활 후 가을학기 입학을 생각하고 있었어요..
2학년 후 휴학 계획이었지만 코로나때문에 무산되고 4년 다이렉트 졸업이라서.. 어찌 보면 번아웃을 가장한 회피인 것 같아요.

2021.10.01

대학원은 실적, 연구 경험이 주로 중요하긴 한데 회사 같은 곳 지원했다가 다른 지원자와 비슷한 실적이면 간판으로 걸러질 수는 있는듯
취한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1.10.01

경희대 박사 vs 서울대 박사

들으면 뭐가 더 신뢰성있음?

대댓글 1개

털털한 로버트 후크*

2021.10.01

서울대요

2021.10.01

교수님이 차린 회사는 왠만하면 가지마세요. 고급 인력 싼값에 자기회사에 갈아넣는거에요.
왠만하면 좋은 학교로 대학원가세요

2021.10.01

으이그 Skp아니면 걍 취업해 대학원가봤자 본인이 뭐하고 있는지도 모르고 가방만 매고 왔다갔다 하다가 물박사될 확률 99퍼임ㅋㅋ

대댓글 1개

2021.10.02

-고졸-

2021.10.01

학교 상관없이 창업한 교수님연구실은 가는게 아닙니다...
투자자들이 교수가 대표인 회사에 투자를 많이 하는 이유가 인력수급에 문제가 없기때문에 어떻게든 굴러가기때문입니다.
그리고 교수 입장에서도 학교는 안정적인 직장이지만 회사는 아니거든요... 특히 상장까지가야 큰 돈을 쥘 수 있기때문에 상장에 다들 눈이 멀어있어요... 학생들 연구니 지도같은건 관심도 없습니다.

2021.10.02

대학원 어디 나왔든 실적 좋으면 알아서 모셔감

2021.10.03

SPK 아니면 보통 지도교수님 영향력과 연구실이 중요한데 좋은 연구실과 힘있는 교수님이 보통 학벌이 좋은 대학원에 더 많다는 게 함정이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