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서울 중하위권 대학인만큼 다른 지원자분들과 다른 나만의 차별점을 좀 만들어야 겠다고 느껴서,
2년간 인턴은 물론이고, 최근에는 운좋게 4점대 저널에 논문도 냈는데도 컨택에서 크게 달라진 건 없네요
아무래도 요즘 훨씬 잘하시는 분들이 많이 가시려고 하기 때문이겠죠.. ㅎㅎ 맘을 다스려야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8개
2021.10.19
어디 컨택하심?
대댓글 1개
2021.10.19
저도 많은 분들 가고 싶어하시는.. spk 컨택했습니다 ㅎ ㅎ..
2021.10.19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not impressive.
방정맞은 데이비드 흄*
2021.10.19
낮은 학교 나왔을 때 교수들이 미심쩍어하는 점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고등학교 때까지의 퍼포먼스가 낮다 = 학습능력/응용능력 (=포텐셜) 이 낮은 것이 아닌가? 의외로 노력을 안해서 낮은 학교를 갔다고는 생각하지 않고, 그보다는 그냥 그 사람이 잠재력이 낮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잦습니다.
2. 해당 대학의 교육 시스템에 대한 의심 = 그 대학은 연구 가능한 인력을 배출할 시스템이 되나? 실제로 교수들에게서 가끔 듣는 말 중에 하나가 "~~대는 뭐 사람을 이렇게 가르쳐 놨어" 같은 말입니다.
이 두 가지 문제를 컨택 시점이나 자기소개서 등을 통하여 해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실 저 두 가지 문제는 해당 대학에서 암만 공부를 잘해도 그것만으로는 해결이 안되거든요.
대댓글 4개
2021.10.19
맞는 말씀입니다. 아무래도 학교간판이 기본적인 학업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척도이다보니 그렇게 생각하는 게 당연한거같네요.. 아쉬운 부분입니다
2021.10.20
특정 대학에 대한 편견을 가진 교수가 있다면 그자가 문제 아닌가? 무슨 명문대 있으면 다른 교수보다 우월하단 착각을 하나본데.. 나한테는 우생학을 믿는 얼빠진 자의 헛소리로 들리네. 솔직히 요새 사회면을 봐라. 죄다 범죄 혐의로 입건되는 넘들 하나같이 S대 나왔다구만. "S대는 뭐 사람을 이렇게 가르쳐 놨어" 같은 얼빠진 소리를 반복하고 싶지는 않다. 하지만 하나 확실한건 어느 대학 나왔다고해서 제대로 된 인간이 되어나온다는 보장은 없다는 점이다.
약삭빠른 게오르크 헤겔*
2021.10.20
수학능력 연구능력 이야기하는데 무슨 인간이 되고 말고 ㅋㅋㅋ 전형적 꼰대어록 ㅋㅋㅋㅋ 당연히 명문대 교수가 지방사립대 교수보다 연구능력이 뛰어나지 논점이탈 오지게하고 가르치려드는 저 태도 진짜 역겹다 역겨워~
2021.10.20
학벌은 1차 거름망이다. 모든 사람을 거를 수는 없지만 판단의 근거로 쓰기에는 충분히 튼튼함. 그리고 사람들은 이름도 생소한 대학교 졸업생이 선행을 하건 악행을 하건 별 관심이 없음. 서울대생과 둘이 똑같은 물의를 일으켜도 언론에 나오는 빈도는 비교불가겠지. 결국 학벌은 최소한의 판단기준이 될 수 있으며 좋은대학을 나오면 좋은 쪽으로든 나쁜 쪽으로든 더 많은 관심을 받게 됨. 이런 요소를 자각하지 않고 정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면 "서울대생들 그거 다 범죄자들 아니냐?"라고 하는 왜곡된 결론에 다다르게 됨. 더욱이 명문대생이 아니라는 자격지심까지 더해져서 정보를 취사선택하여 믿기 시작하면 위에 댓글단 사람같은 괴물이 탄생함. 본인은 서울대 근처도 못가본 평범한 사람이지만 저런 식으로 생각하진 않음. 무언가 대단한 것을 성취한 사람은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존중 받을 자격이 있음. 특히 그 연속성과 관련성에서 학부의 연장선상에 있는 대학원은 말할 것도 없지.
2021.10.19
원래 본인의 부족한것이 오히려 스스로를 더 채찍질할 수 있는 좋은수단이 되기도 합니다. 지금도 충분히 훌륭하니, 앞으로 더 증진하시면 좋은결과가 있을것같습니다.
우아한 존 필즈*
2021.10.19
학점이 얼마신데요?
대댓글 1개
2021.10.19
이게 좀 관건인듯
2021.10.20
학점은요? 4점대 논문에서 학생의 기여도가 높나요? SPK에 인서울도 아닌 대학 출신들이 꽤 있으니 윗댓글에 너무 상심하지 미시고, 어떤점에서 부족했을지 고민해보고 보완하려는 노력을 해보세요.
2021.10.20
분야가 어디신지 모르겠지만 논문 출판 경험 (특히 1저자라면) 확실한 차별점이 될 수 있습니다. 어차피 학부는 바꿀 수 있는 요인도 아니니 가지고 있는 차별점을 좀 더 잘 어필해 보시는게 어떤가요? 제 사례도 그렇고 주변 친구들 케이스를 봐도 의외로 가지고 있는 경험을 얼마나 잘 풀어내는가가 꽤 중요했던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CV에 논문 이름이나 인턴십 이름만 쓰는게 아니라 이 논문에 어떤 걸 기여 했는지, 그래서 이게 왜 중요한 논문인지, 또는 지원하는 연구실과 무슨 관련이 있는지 적으면 더 효과적이었네요. 아니면 지금까지 연구경험을 슬라이드로 만들어서 뿌리는 것도 교수님들께서 좋아하시는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1.10.20
이미 충분히 잘 어필하고 계셨다면 그냥 나랑 핏이 안맞았다고 생각하는게 멘탈에 좋은 것 같습니다. 지원을 한두곳만 하실것도 아닐테니까요
2021.10.20
학벌이 최상위까진 아니어도 학점, 석차로 비빌 수 있는 너그러운 기회를 주는게 대학원 입시라고 생각함
대댓글 1개
IF : 1
2021.10.20
솔직히 당연한 소리지만 학부 입시보다는 훨씬 널널하지않음? 학부로 서울대가는건 진짜 힘들겠지만 석사 박사과정을 서울대로 가는건 그에 비하면..
2021.10.20
저널 1저자? 그럼 컨택 무조건 될텐데..
2021.10.20
석차가어떻게되세요?
2021.10.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도 인서울 중상위권 수석 차석인데 자대생 2점대에 밀려서ㅋㅋㅋㅋㅋ 어떤랩 입학 못했습니다.
포텐셜? 그분이 저보다 어떤 포텐셜이 있었으려나.. 성실도도 많이 떨어지던데 어떤면을 보고 교수님이 그런선택을 하셨을까요
대댓글 5개
털털한 한나 아렌트*
2021.10.20
일반적으로 학점보단 학벌을 보죠.
학벌이 높은데 학점이 낮으면 공부를 안했구나 생각하고
학벌이 낮으면 머리가 나쁘다고 인식합니다.
학벌만 높으면 머리는 좋으니 잘 할 포텐이 있다고 보고,
학벌이 낮으면 머리가 딸리니 얘가 잘 할려나?
생각합니다.
학점이 높다면 성실하다고는 생각하겠죠.
교수들이 대부분 엘리트 코스(대입 상위 1%) 밟았기에 겉으론 대놓고 얘기안해도 이런식으로 생각하는 케이스가 대다수입니다.
2021.10.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머리 나쁘다 소리 들을 학벌은 아닌거같고.. 제분야는 머리보다 성실도가 결정하는 분야인데 불성실한 사람이 얼마나 잘할지는 모르겠네요. 첫날부터 교수님한테 깨지던데ㅋㅋ
뻔뻔한 막스 베버*
2021.10.22
인서울 중상위권이면 ky도 아닌거같고.. 머리 좋다는 얘기들을 라인은 아닌거같은데요
2021.10.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머리 나쁘단 소리 안듣는다는 말이 어떻게 머리 좋다는 얘긴가요ㅋㅋ 저런... 학벌도 별거 없나봅니다
2021.10.26
그래서 학부 어디신데요 ㅋㅋ
2021.10.20
본인도 spk갈려고하는것처럼 학벌이 중요하죠. 괜히 수능이 대한민국에서 큰이벤트일까요.고등학교 친구들중 대학원안가고 취업한거보면 대학와서 열심히 한것도 중요하지만 학벌이 미치는 영향이 큰걸 봤네요.
2021.10.20
학벌이 전부는 아니지만....어느 정도 당연히 볼 수 밖에 없죠
2021.10.20
Sci 4점대 1저자 맞나요?? Scopus 4점 아니죠?
대댓글 2개
2021.10.20
콧대높은 교수님께 들어가려했나 sci 4 정도면 충분히 어필이 될텐데...
2021.10.20
분야마다 다르겠지만 저희 쪽에서 4점대는 대학원생 수준에서는 어깨에 뽕이 잔뜩 들어갈 수준
..
IF : 2
2021.10.20
학부생 논문 경험은 컨택시 큰 점수 받기 힘듭니다.
학부생이 연구를 주도적으로 하지 않았을 거라고 생각하고, 억셉될 만큼 라이팅을 잘 하기 힘들기 때문에 지도교수가 많이 도와줫을꺼라고 보통 생각해요.
그래도 1저자면 좀 낫겠지만, 공동저자 중 한명이면 그냥 보조 조금 해줬겠거니 입니다.
만약 주도적으로 라이팅했고 1저자로 쓴거라면 컨택시 강하게 어필해보세요.
그리고 또 하나, 자세히 쓰지 않으셔서 지원한 곳과 자신의 관심분야가 얼마나 잘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만약 컨택한 연구실과 작업한 논문 연구 분야 (또는 컨택시 말씀드린 연구분야)가 잘 안맞으면 안좋게 보일수도 있습니다.
보통은 하고 싶은 분야에 대한 고집이 강해보이는 학생을 비선호 하거든요.
연구실에서 당장 해야되는 프로젝트나 연구가 있는데 자신은 이런 분야 하고 싶지 않다고 이야기하는 석사생이 있으면 교수도 피곤하고 동료들도 힘듭니다. 특히 타대생이 들어와서 그러면 더 갈등이 커지겠죠.
윗분들 말씀처럼 학점도 안쓰셨는데, 3점대 중반이라면 자대생 2점대가 낫다고 생각할겁니다.
SK의 경우 (P는 모르겠네요. 비슷하겠죠) 학점을 짜게 주기 때문에 타대 3점대 중반이나 자대생 2점 후반이나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4개
2021.10.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친구중에 S 많은데 S가 학점이 짜다는 얘긴 처음 들음 후했으면 후했지
경영대 짜단 얘긴들음
2021.10.22
노이만/ ㅋㅋㅋㅋ 님 학부 학벌이 어디세요?
2021.10.22
노이만/ ?????? ㅋㅋㅋ
2023.01.31
샤대 더준포기하고 재수강해도 에이쁠가능한데 학부학점 납을리가있나.... 진짜 모르네요 ㅋㅋㅋ
2021.10.20
일단 4점대 논문이 1저자인지부터 밝혀야 다음 이야기가 됨. 분야에 따라 다르지만 학부생이 대충 써도 4점대에서 받아주는 분야는 거의 없을듯. 물론 교수가 많이 개입했겠지만 그래도 학생이 열심히 잘 따라왔다는 거고 어필하기엔 충분함. 하지만 그걸로 무조건 받는다 이런건 아니고 여러 다른 것도 보긴 볼듯
화난 막스 베버*
2021.10.20
전 YK 나왔고 IF 4.5점대 1저자 들고갔는데도 자대생으로만 채운다고 유명한 랩실은 퇴짜던데요. 어느 랩인지도 중요한 듯
2023.03.24
워낙 다른 케이스들도 많이 봐서.... 학벌이 주는 임팩트를 잘 못느낀 편입니다. 어쩌면 다른 부문에서 나온 차이점일 수 있는데 그것을 학교로 너무 성급하게 판단하시는 것이 아닌지요. 어느정도 핸드캡은 있지만 절대 불가능한 영역은 아닙니다.
2021.10.19
대댓글 1개
2021.10.19
2021.10.19
2021.10.19
대댓글 4개
2021.10.19
2021.10.20
2021.10.20
2021.10.20
2021.10.19
2021.10.19
대댓글 1개
2021.10.19
2021.10.20
2021.10.20
대댓글 1개
2021.10.20
2021.10.20
대댓글 1개
2021.10.20
2021.10.20
2021.10.20
2021.10.20
대댓글 5개
2021.10.20
2021.10.20
2021.10.22
2021.10.23
2021.10.26
2021.10.20
2021.10.20
2021.10.20
대댓글 2개
2021.10.20
2021.10.20
2021.10.20
대댓글 4개
2021.10.20
2021.10.22
2021.10.22
2023.01.31
2021.10.20
2021.10.20
2023.03.24
2025.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