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전기화학 촉매 전공 박사가 삼성전자 입사

2021.11.16

6

6441

궁금증이 있어 글을 올립니다.

전기화학 촉매 전공한 박사 (연료전지, 수전해 등 나노촉매) 연구자가 삼성전자에 입사하는 경우를 봤는데

이 경우는 어떤 연구가 필요해서 삼성전자로 뽑힌걸까요? 삼성전자는 거의 반도체 기반 회사인데 전기화학 촉매 전공 박사가 뽑힌걸 보고 놀랐습니다. 이유는 반도체에 대해 제가 아는게 없어서 그런지 전기화학 나노촉매 연구와 반도체는 서로 연관이 거의 무관한거 같다고 생각해서 입니다.

저도 삼성전자 박사로 관심이 많은데 어떤 연구핏이 맞길래 데려가는지 혹시 관련해서 아시는 분 있으면 정보공유 부탁드리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얌전한 게오르크 헤겔*

2021.11.16

회사가 사람을 뽑는건 크게 2가지입니다.

첫번째로, 연구핏이 맞는 사람이어서.

두번째로, 연구핏이 맞든 말든 뛰어난 사람이어서.

여기서 두번째 경우일 수 있는데 삼전(뿐 아니라 여러 대기업)에서 관리하는 연구실 목록이 있습니다. 연구핏이고 뭐고 그쪽 연구실(혹은 대학) 졸업하면 처음부터 가르쳐도 전문가 뽑는거보다 낫다는 거죠. 뽑힌 분 스펙이 좋거나, 지도교수님 이름이 워낙 크면 그럴 수 있습니다.

대댓글 1개

얌전한 게오르크 헤겔*

2021.11.16

이런 부류에 속하는 분들의 경우엔 삼성전자에서 수시 채용 이메일이 매학기 날아옵니다.

2021.11.16

네 무지해서 그런게 맞으십니다. 삼성같은 대기업에 안 필요한 기술이 있을까요. 그리고 redox reaction 키워드로만 ieee 논문 한트럭 찾을것 같네요
웃는 카를 마르크스*

2021.11.16

엮으면 다 엮이죠

2021.11.17

제가 본 삼성전자 박사 입사자는 전공이 환경공학이였습니다. 과가 달라도 입사하는게 이상한건 아니에요

2021.11.17

공대에서 박사따면 왜 이 분야를 전공했는데 삼성전자에서 데려가지? 싶을 정도로 분야 안가리고 뽑아가더라구요. 아마 반도체 산업이 기술집약적인 분야라 각 분야 인력들을 알게 모르게 필요로 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삼전 없었으면 박사 취업 퀄리티도 많이 떨어졌을 껄 새삼 느꼈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