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대학원의 경우 학점이 매우 중요하고, 서울대 대학원의 경우는 학점 보다는 연구경험 및 기타스펙이 중요하다고 들었습니다.
타대 학부생 기준으로 카이스트 대학원에 입학하기 위한 학점 잘 받기 vs 서울대 대학원에 입학하기 위한 연구경험 쌓기
둘 중에 어느것이 더 어려운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0.03.11
어떤것이 더 어렵냐보단 어떤것이 더 필요하냐를 먼저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괜찮은 학부 + 그럭저럭 학점이 괜찮으면 연구경험을 쌓으시면 되고, 다소 어중간하면 학점에 더 집중하고, 학부도 솔직히 별로고 학점으로도 메리트가 없다 싶으면 연구경험이 압도적이여야 합니다.
2020.03.11
그리고 저런 말이 나오는게 카이스트는 컨택을 하는곳이더라도 서류상의 줄세우기 1차 필터가 확실한곳이고, 서울대는 그게 훨씬 유하기 때문입니다.
IF : 1
2020.03.11
대학원 입학을 위한 유의미한 연구경험 쌓는거(Sci 작성)보다 고학점 따는게 훨씬 쉬울듯요
Pär Lagerkvist*
2020.03.12
당연히 둘 다 잘 해야지.
참고로 top 10으로 유학가는 사람들은 skp에서 학점과 연구를 모두 챙긴 경우가 대부분임. 결국에는 이런 사람들과 경쟁해야 하는데 둘 다 잘 해야지.
2020.03.12
굳이 둘 중 하나만 해야하나? 둘다 충분히 할수있는데
어려운거라면 전자가 어렵겠지... 학점 잘받았다 하는 기준이 나로서는 4.5만점에 4.2이상인데
2020.03.13
학점을 챙기는 건 언제나 고고익선이지만, 논문은 관심분야가 바뀌면 그냥 스펙 한줄이 될뿐이죠. 학부생이면 학점을 포기하진 마세요..!
2020.03.11
2020.03.11
2020.03.11
2020.03.12
2020.03.12
2020.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