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석사 졸업 후 취업 관련

2022.03.24

10

2876

안녕하세요. 석사 과정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 물어보니 석사 졸업 후 취업할 때 무엇이 가장 중요한 지에 대해
다양한 답이 나와서 김박사넷에 계시는 여러분께도 물어보고 싶어 글 남깁니다.

석사 졸업 후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아래 요소 중 가중치를 부여한다면 어디에 얼마 정도를 두고 싶은가요?

1) 졸업한 분야와 직무의 관련 정도
2) (지원한 기관이나 기업이 준) 수행 프로젝트 수
3) 질 좋은 게재 논문 수
4) 학벌

기타 등등...

저는 후에 취업하고 싶은 기관에 가기 위해서는
1번(분야 관련 정도)과 2번(관련 프로젝트 수행 수) 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면 가고 싶은 기관 및 직무가 학부 때는 거의 배우지 못하고 비교적 특수한 과라서 이 쪽을 전공하면 좀 더 경쟁력이 있지 않을까 해서요.

지금 있는 연구실이 제가 가고 싶은 기관과 분야가 밀접하지만 4번(학벌)은 비SPK 최하위권 인서울로 좋지 않아 걱정입니다.

저는 취업할 때 1번(35%), 2번(30%), 3번(25%), 4번(10%) 정도로 가중치가 들어가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IF : 2

2022.03.24

제일 중요한건 직무적합성이고, 거기에 실력과 인성이 뒷받침 되어야죠.

근데 문제가 실력은 서류로 보여주기 힘들잖아요.
그래서 논문 실적, 출신 학부학교와 학부학점 등으로 간접적으로 실력을 봅니다.
이후 면접에서 좀 더 걸러지구요.

참여프로젝트의 경우 인건비 할당 문제로 이름만 올리고 참여 제대로 안하는 것도 많아서 증명이 잘 안되요... 제일 우선순위가 낮아보이네요.
다만 산학과제는 좀 다를 수 있습니다. 산학과제에서 일을 잘 했다면 그 기업으로 갈 때 크게 도움이 됩니다.

대댓글 3개

2022.03.24

감사합니다 패러데이님. 공감하는 의견입니다. 저도 참여 프로젝트만으로 증명이 힘들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프로젝트가 끝나고 간단하게 KCI 논문을 제출하거나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등으로 그나마 증명할까 생각 중입니다.

그리고 지금 수행하는 과제가 산학과제인데, 혹시 산학과제가 왜 크게 도움이 되는 지 여쭈어봐도 될까요?
답변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IF : 2

2022.03.24

일단 정치적으로 만들어진 과제가 아니어야 되고, 산학과제 하면서 실무자에게 좋은 인상을 줘야한다는 전제가 필요합니다.
- 산학과제는 보통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업무에 해당되니 그쪽으로 잘한다고 하면 큰 강점이되죠.
- 또 일을 하면서 실무자와 만나기 때문에 서로에 대해서 잘 알게 되고 검증받는 과정이 되기도 합니다.
- 산학과제로 양성한 인력을 고용하는게 회사입장에서 가점을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2022.03.24

감사합니다 패러데이님. 제가 수행하는 과제를 생각하니 첫번째와 두번째가 공감이 됩니다.
덕분에 진로 걱정이 좀 덜어졌고 다시 한번 답변 감사드립니다.

좋은 하루 보내십쇼!

2022.03.24

김박사넷에 유사한 글이 있었네요. 궁금하신 분들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phdkim.net/board/free/25803/

조금 어리석은 질문이긴 하지만 해당 분야가 좋아서 왔다고 해도 아무래도 취업을 생각해야 해서 고민이 되었습니다.
다들 좋은 연구하시고 좋은 결과 얻으시길 바랍니다.

IF : 5

2022.03.24

주변에 많은 석졸 취업생들을 봤는데 현실적으로 4123 순입니다. 특수한 직렬이거나 분야라면 1이 4에 좀 가까이 붙을수도 있겠네요. 논문 실적은 박사뽑을때도 많이 안봐요.

대댓글 4개

2022.03.25

네 코페르니쿠스님 의견 감사합니다. 혹시 말씀하신 학벌은 학부 학벌인가요 대학원 학벌인가요?

2022.03.25

현재 대학원 학벌이 대학부 학벌보다 낮은곳으로 온 상태입니다.

IF : 5

2022.03.25

둘다 보는데 굳이 하나 고르자면 전자요
근데 보통 대학원은 자대가거나 위로 가는 경우가 많으니 왜 그 대학원에 갔는지 자소서에 좀 녹이실 필요는 있어보이네요. 대기업 인사는 예외적인 것에 많이 민감한 편입니다.

2022.03.25

네 감사합니다 코페르니쿠스님. 좋은 하루 되십쇼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