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사로 연구개발직 들어갈 수 있으면 입사하는게 맞을까요?

2022.04.01

13

4864

부바부겠지만 학사로 연구개발직을 들어갈 수 있다면 돈낭비 시간낭비 하면서 석사받고 입사하는거보다 낫다라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어떤 곳은 학사랑 석사가 하는 일이 0.01도 안 다르다고 2년 경력만 쳐준다 이런 소리가 있더군요

학사로 연구개발직 갈 수 있다면 입사하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포기하고 대학원을 간뒤에 석사를 따서 연구개발직 가는게 맞을까요?

일단 지금으로선 박사를 취득할 생각은 없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2.04.01

과가....

대댓글 1개

2022.04.01

화공계열입니다. 보통 화학관련기업 알앤디는 석사제한이 많이 걸려있어서 대학원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삼성이나 하닉 현차 엔솔은 학사도 연구개발직으로 가더라고요. 거기안에서도 학석사 차이가 없다는 평을 많이봐서 고민됩니다
씩씩한 소크라테스*

2022.04.02

박사 안갈거면 굳이? 근데 노박사로 연구직 굳이?

대댓글 1개

2022.04.02

보통 엔지니어쪽은 지방근무(여수 울산 서산등등)거나 교대근무를 하는경우가 많던데 연구개발직은 수도권이나 대전이면서 야근은 많을지언정 교대근무가 없는 곳이 많길래 연구개발직으로 가고싶긴하네요.(물론 연구직도 교대근무 하는곳 있다고 들었지만 없는곳으로 지원할 생각입니다)

IF : 1

2022.04.02

학사나 석사하고 연구직은 못갑니다. 연구개발은 필자님이 생각하는 그런 직군이 아닐가능성이 큽니다. (창의적인 무언가를 하는것 보다는 그냥 Try and error하는거일수도...)

대댓글 2개

2022.04.02

개발직도 일이많고 야근많고 힘들다고는 들었습니다. 그런데 일단 연고지도 수도권 or 대전이 많고 교대근무 없는것이 끌려서 그렇네요. 특히나 연구개발직에서 학석사 차이가 없다고 하시는 현직자들이 많아서 그냥 학사로 취업을 해볼까 고민이 되서요.
얌전한 존 케인즈*

2022.04.02

연구개발을 묶어서 R&D(연구개발직)으로 하는거고 학석사도 가지 않음?

박사가 R 연구에 주로 가고
학석사가 D 개발로 가는거로 앎
취준생이나 기업이 이걸 묶어서 연구개발이라 하는거 아님?
침착한 빌헬름 뢴트겐*

2022.04.02

한국은 모름. 미국대기업 재료/화공쪽 R&D 현직인데, 학/석사는 Technical ladder가 Technician/Technologist이고 박사는 Specialist/Scientist임. 박사가 매니저들과 아이디어 짜며 실험계획 작성하면 학석사분들이 열심히 실험해서 결과 가져와주심. 실험쪽으로는 도가 틔인 분들이 많으신데, 단점은 창의적인 문제해결 및 아이디어가 중요한 front end project에서 주도적인 역할은 박사가 다함. 가끔 학석사가 박사들이 하는 루트를 타는 걸 봤는데, 우리 회사 기준으로 보면, 다들 나이가 조금 있으심. 요즘 같이 박사 많은 시대엔 거의 불가능. 그리고 그 분들 promotion이 느린 편. 박사가 10년 걸려 올라갈 자리를 그 분들은 20년 정도 해서 감.

대댓글 1개

2022.04.02

답변감사합니다

IF : 5

2022.04.02

학석사도 많음. 들어가서는 하는 일 차이 별로 없는건 맞음. 근데 시간 지나고 능력 되고 직급 올라가면 비슷한 나이대 박사랑 비슷한 일을 합니다. 그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냐 회사에서 보내냐 차이가 있을 뿐
다만 그 회사만 평생 다닐지 아닐지도 모르고 인생 길게 보면 석사 따고가는걸 추천합니다.

대댓글 1개

2022.04.02

답변 감사합니다

2022.04.02

R&D해서 중요한일 해보고싶다가 아니라 글쓴이처럼 R&D의 근무지역이나 순환근무 싫어서면 빨리 들어갈수록 장땡인거 맞습니다. 요즘 직급 단순화 영향으로 승진 좀 늦다고 연봉차이도 크게안나고, 학석사가 사원선임때 배째고 워라밸 챙기고 다니기도 좋습니다.
석사가 그나마 좋은게 R&D는 학사 아예 안받는 기업들이 있다는거랑 석사는 핵심인재 인정받으면 박사파견 갈수도 있다는거 정돈데 연구에 욕심있는거 아니고 핵심인재 인정받을 수 있을 역량과 욕심이면 나중에 직무변경으로 기획 같은데 가는게 위로 올라가기에 박사보다 훨씬 유리합니다.

대댓글 1개

2022.04.02

답변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