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거 제가 석사다닐때 그리하다가 교수님한분 감사당시 잘못걸려서 정말 큰 문제가 되었던걸로 기억하는데 ㅎㅎ 원래는 그러면 안되요
물어보시는것도*
2018.11.18
그게 옳지 않다고 생각하시니까 물어보신거겠죠?
근데, 저도 돈돌아가는걸 엿보고나니까 모자란 돈 메꾸는데 쓰는게 나빠보이지가 않더라구요. 원칙상 안되는데, 또 교수에 행정팀까지 용인하는 경우죠.
아뇨*
2018.11.19
절대 그러면 안됩니다. 연구실 물품 사고 그러는건 어차피 다 경비처리하면되는건데 그걸 인건비에서 왜 굳이 빼다가 쓰죠?
경험자*
2018.11.19
절대 그러면 안되는걸 알면서도 그렇게 하고 있는걸 봤고, 그 밑에있는 대학원생들도 똑같이 묵인하고 있는걸 봤습니다. 교수가 법인카드 주고 학생들끼리 사용하니 어떤 대학원생들이 NO하겠어요. 물론 그런 상황이 불합리하고 잘 못된 것을 인식한 학생들은 랩을 떠났구요.
Very good*
2018.11.19
실제 랩 생활하다보면 우편물이나, 연구실용품, 주차비 등 연구비로 직접 사용할 수 없거나, 연구비로 사용하려면 개인 비용 처리 먼저 한 후 서류처리 해야 하는 경우들, 미리 승인을 받아야 하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졸업생으로 소속이 없는 인턴 지원자들의 파트타임 인건비를 주는 경우에도 연구비로 인건비를 지급하려면 정말 복잡하죠. 저희 분야의 경우에는, 실험용 장비 중 소소한 것들을 맞추거나 기타 어떤 일들을 할 경우 현금만 받는 곳도 있구요. 어떤 경우는 과제가 종료된 후 그 과제 추가 실험들이 진행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A 과제에 이름이 들어간 학생이 A 과제만 하는 게 아니라, 저희들은 여러 과제들에 나누어 참여합니다. 과제마다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여러 과제에 참여하면 배우는 게 많습니다. 즉 제 이름으로 돈이 나오는 과제에만 참여하는 건 아닌데, 이건 저희 연구실 모든 멤버가 동일하고 이에 대한 불만은 별로 없습니다.
사실 연구비 항목 규정상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랩비를 모으게 되는데, 이러한 랩비를 근절하려면 정부에서 연구비 사용 규정을 좀 완화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미국 정부과제의 경우 비목별로 그렇게 엄격하게 나누어져 있지 않다고 들었습니다 (맞는 지 궁금?). 우리나라도 인건비, 장비비, 재료비, 관리비 등으로 나누지 말고, 연구자가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하며, 만약 부정이 발생될 경우 책임자 처벌을 엄격하게 하는 방식으로 전환한다면, 굳이 랩비를 모을 필요가 없게 될 겁니다. 그나마 연구재단이 가장 유연하다고 생각되지만, 기타 정부기관들의 연구비 관리 규정을 보면, 연구비목 변경을 위해 제출해야 하는 서류들이 어마 어마하죠. 이로 인해 대학원생들의 행정업무가 증가하기도 하고, 이런 행정업부 부담을 조금이나마 줄이기 위해 랩비를 모아 사용하기도 하구요.
어쨌든 좀더 효율적이면서 투명한 방향으로 개선되길 바랍니다.
um...*
2018.11.19
그게 모두의 합의하에 연구비 처리가 어려운 비용 처리나 회식이나 등등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고 교수 개인주머니로 들어가는 경우도 있죠. 다 있지는 않아요. 저희랩은 없고 인건비를 최소로 잡고 다른 비용을 늘려서 괴수가 잘 쓰고 다니죠.
그렇죠*
2018.11.20
컴퓨터 수리비, 자잘한 수리비등 때문에 돈을 모을 수 밖에 없어요. 당장 컴퓨터 고장나면 연구, 과제 전부 스탑인데 이걸 고치려면 사비로 해야하죠. 개인 랩탑쓰시는 연구실은 모르겠지만요. 제 졸업한 실험실은 에어컨과 히터도 실험실에서 자체구매한거였어요. 학교에서 지원을 안해줘서요. 아무튼 모든 것을 공정하게 처리하기에는 시스템이 따라주지 못 해요.
2018.11.18
2018.11.18
2018.11.19
2018.11.19
2018.11.19
2018.11.19
2018.11.20
2018.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