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능하다면 skp나 ist를 가고 싶지만, 실질적으로 어려울 것 같아 yk나 자대(h) 생각하고 있습니다.
혹시 비전공자는 ai대학원 진학 시 불이익이나 따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2.05.28
엄... 학벌도 안좋고, 학점도 안좋고, 연구실적 같은 것도 없다면 본인의 강점은 무엇인가요? AI대학원쪽과는 거리가 먼 학생이라 어떻게 조언드려야 할지는 모르겠지만 자신의 강점을 어필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학벌이 좋으면 학벌을, 학점이 좋으면 학점을, 연구 실적이 있다면 그 실적을 강조해야 할 텐데 셋 다 없다면 어떻게 해야할지 저도 잘 모르겠네요. 참고로 전 P학생인데 주변 친구들 얘기 그냥 어깨너머로 들은 바에 따르면 AI 대학원에서 컷 높은 곳은 자대에서 3.8~3.9/4.3 받아야 갈 수 있다고 들은 바 있습니다.
2022.05.28
빡셈.
덤덤한 하인리히 헤르츠*
2022.05.28
비전공자, 특히 문과 출신은 당연히 불이익이 있죠. 수능 봐서 컴공 재입학 하는게 나을 정도.
대댓글 1개
2022.05.28
전혀...
2022.05.28
근데 솔직히 난 컴공 졸업자로서 이런 사람들 좀 웃김. 지금 컴공이랑 유사 컴공 전공생들도 흘러넘치는데 무슨 자신감으로 노베이스 본인이 대학원 가서 잘 할수 있다고 자신하는지... 학부때 복전이라도 하고 오던지
대댓글 2개
2022.05.28
다중전공 했다잖어 ㅋㅋ 찾아보니까 에리카에서는 다중전공이 다른 대학의 복수전공같은 느낌이고 오히려 복수전공이 덜 빡센 제도인 것 같은데
2022.05.28
앗 그렇다면 죄송합니다
2022.05.29
저는 윗분들과 생각이 좀 다릅니다. 문과출신의 가장 큰 하들은 수학적 사고능력, 수학적 논리, 공학적 마인드 입니다. 하지만 이과전공을 졸업한 사람들도 이런 능력을 제대로 탑제한 사람은 잘 없습니다. 그래서 교수들은 단순히 유사 전공인지, 학점이 얼마인지로 판단할수밖에 없습니다. 만약 본인 의지가 있으시면 개인적으로 관심 연구실에 컨택해서 본인의 이런 역량을 포트폴리오로 구성하든 발표자료를 준비하든 해서 얼마든지 어필해볼수 있을겁니다. 대학원 입시는 본인의 적극성이 큰 영향을 줍니다. 결론적으로 쉽게 말하면 비전공자라도 본인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컨택하느냐 그리고 교수에게 얼마나 잘 어필하느냐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충분히 원하시는 분야로 대학원 진학 가능하고, 가서도 동일전공 학생들에게 안밀리고 잘 할수 있습니다. 요새는 실력이 깡패고 본인 PR의 시대입니다. 힘내시고 원하시는데 꼭 진학하시길!
IF : 1
2022.05.31
이런 경우는 지원을 진짜 많이 해보세요. (대학원 뿐만 아니라 인턴으로서도...) 취업이든 입시든 한곳만 붙으면 되는 경쟁이라, 상심하지 마시고 좋은 분을 찾을 때까지 해보세요. 생각보다 좋은 학교여도 학생들이 다 열심히 하는 것은 아니고, 교수님들 중에 진정성을 크게 보시는 분도 있습니다.
2022.05.28
2022.05.28
2022.05.28
대댓글 1개
2022.05.28
2022.05.28
대댓글 2개
2022.05.28
2022.05.28
2022.05.29
2022.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