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학/석/박 서울 SSH 공대 나왔고 전공은 공대에서 메인분야는 아닙니다.
나이는 곧 30대에 접어들고, 국내 정출연에서 1년 미만의 짧은 기간의 포닥 생활을 마치고 대기업 연구소 입사해서 연구를 지속해 나가고 있습니다.
해외 포닥 경험이 없는게 흠이라 생각되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해 회사에서도 꾸준히 논문 관리를 했습니다.
현재는 최근 3년간 약 19편의 SCI 주저자 (상위 10% 이내 12편) 논문을 작성하였습니다.
평소에도 글 쓰는 걸 좋아하다보니, 퇴근하고 저녁이나 주말 때 논문을 쓰는게 크게 어렵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당연히 해외 박사/포닥 등 해외 경험이 있으면서도 논문 실적을 충분히 달성하신 훌륭한 박사님들이 많은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제가 교수 임용을 위해서 어떤 부분들을 더 준비하고 채워나가면 될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2개
2022.07.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여성분이신가요 어떻게 30에 박사지
대댓글 2개
2022.07.20
남자입니다.
2022.07.20
전문연하면 박사졸업을 다들 29정도에 하지않나요..? 제가 31에 학위받앗는데 저는 일반고출신에 학부 5년이라 늦어서 그런거였고, 연구실 선후배는 대다수가 학위를 29-30에 받았습니다. 석사+박사 6-7년 감안해도요.
2022.07.20
30도 전에 포닥까지 ㄷㄷ ㄹㅇ 엘리트네
2022.07.20
회사 계속 다니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나중에 부사장 되면 학교에서 모셔갑니다.
대댓글 1개
2022.07.20
그 연세에 갈수 있는 직책은 산학협력교수같은거 밖에 없습니다.
2022.07.20
우와 대단하시네요. 전 연구하는거까지만 즐겁고 논문 쓰는건 진짜 죽을만큼 싫던데.
2022.07.20
논문을 쓸수 있는 환경이시라면 계속 논문 쓰시면서 지속적으로 지원하시면 됩니다. 임용이라는게 본인 스펙 외에도 운이 아주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많이 지원하지 않으면 절대 임용이 불가능하니 자리 날때마다 지원하시는게 중요합니다.
대댓글 1개
2022.07.20
네 감사합니다! 지금처럼 논문 실적 꾸준하게 관리하면서 지원해보겠습니다. ㅎㅎ
멍때리는 알베르 카뮈*
2022.07.21
논문실적이 지리네요
선량한 프랜시스 크릭*
2022.07.21
자대 이상의 연구 중심대학을 가실거면, 그 과정상에서 JCR에 구애받지 않는 큰논문 한 편 작성하는게 좋아보이고, 현재 상황에서 지원하셔도 자대이하의 연구실은 매력적인 지원자로 고려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나 3년간 20편에 가까운 실적은 한 연구실에서 소위 '몰아주기'에 의한 것임을 모르는 교수님은 없습니다. 해외포닥을 나가서도 연구실에서 만큼의 실적을 유지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것 외에는 추가할 게 없어 보입니다.
웃는 레오나르도 다빈치*
2022.07.21
2개월당 한편씩 나오는 논문의 퀄러티는 어느 정도인가요?
대댓글 1개
2022.07.21
음.. 퀄리티는 주변에서 좋은 논문이라고 평가주는 수준은 되는 것 같습니다.
3편 정도는 해당 분야 1위 저널이기도 하구요.
행복한 게오르크 헤겔*
2022.07.21
무슨과이시길래 논문편수가... 저처럼 실험위주는 1년에 한편도 빡센데
대댓글 1개
2022.07.21
과제비가 좀 넉넉한 편이라 실험 설계를 여러개 하고, 단기 아르바이트 학생들을 여러명 뽑아서 동시에 여러 연구를 수행하다보니 데이터가 좀 많이 쌓였습니다.
졸업한지 1년이 넘었는데 지금도 정리 못한 데이터들이 좀 있네요..
명석한 아인슈타인*
2022.07.21
일단 지방대라도 가시면
2022.07.21
님처럼 연구랑 논문 쓰는 거 좋아하고 실적도 꾸준히 나오는 사람이 딱 교수 될 사람인 것 같아요. 연구야 엄청 잘 하시는 것 같고... 잘 되신 뷴들 얘기 들어보면 teaching statement나 과제 수주 계획(정출연, 기업 경험 있으셔서 협업 관련해서 얘기해보시면 강점이 될 것 같네요)같은 것도 중요하게 보는 것 같다 하더라고요. 그리고 기회 있을 때마다 지원해보라고 합니다. 해볼수록 감이 생긴다고.
대댓글 1개
2022.07.21
오히려 회사 경험을 강점으로 어필해볼수도 있겠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2022.07.21
우왕
2022.07.21
연구도 중요하지만 강의도 중요합니다. 학교는 일단 학부 학생들에게 흥미를 느끼게 해주는 게 중요하거든요. 시간강사라도 해보시는 게 어떨까요? 요즘 수업을 싫어하시는 교수님들이 많아서요.
실적은 부럽네요. 저희 분야는 1년에 1편씩만 써도 연구 열심히 한다고 칭찬하는데,,,,,,
실적이 많으신데 만약 그게 다 박사 지도교수와 수행한 연구라면 평가자 입장에선 보통 그걸 완전히 지원자의 실력이라고 보지 않습니다. 지도교수와 독립하고 나서 수행한 연구들로 독립적인 연구자라는걸 증명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정량평가로 서류 통과는 해도 정성평가에서 낮은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 3년 실적을 얘기하셨는데. 포닥기간에 수행한 연구로 나온 실적은 어떻게 되나요? (포닥 기간에 나온 논문 말고 포닥 기간에 수행한 연구로 출판한 논문의 수)
대댓글 2개
2022.07.22
교수님, 안녕하세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포닥은 8개월 정도하고 대기업으로 넘어온지 2개월 차입니다.
순수하게 포닥 때 수행한 연구로 작성한 논문은 2편으로 심사 대응(2차 Under review)중에 있습니다.
현재는 대기업에 근무하면서 포닥 기간 수행한 연구로 1편의 논문을 더 작성하고 있습니다.
비관적인 소크라테스*
2022.07.22
3년에 20개라면 분야 상관없이 상당히 경쟁력이 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포닥 때 수행한 연구의 출판물에는 박사 지도교수의 이름이 들어가있지 않나요? 그렇다면 포닥 기간에 수행한 연구 결과가 3개정도 추가된 상황 부터는 충분히 임용 시도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후보자가 박사 지도교수한테 독립한 이후 연구 결과가 5-10개 정도 되면 이 사람은 독립적인 연구자라는 확신이 들긴 하는데 일단 임용 지원은 시작하시고 논문은 지속적으로 쓰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해외 경험, 네트워크의 부재는 답변을 잘 생각해놓으셔야 할듯 하네요.
2022.07.22
최근 3년 논문실적이 19갠데, 최근 10개월간 논문 실적이 없으니 박사 마지막 2년간 1년에 10개씩 논문을 쓴 셈이네요. 논문 한편을 약 한달만에 쓸 수 있는 분야도 있다는게 놀랍네요. 포닥 8개월 만에 논문 3개 쓸 데이터를 뽑을 수 있다는 것도 놀랍구요.
그런데 교수는 결국 지원자 중에 뛰어난 사람이 되는 거라 절대적인 논문 실적은 별로 안 중요한 것 같습니다. 내 연구 실적이 분야에서 어느 정도 수준인지는 알 수 있지 않나요?
대댓글 2개
취한 윌리엄 켈빈*
2022.07.23
잘 하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 몇년 걸릴걸 몇달만에 알차게 뽑아서 최상위 저널에 잘 보내더라구요. 제 지도교수님 포닥시절과 제 친구가 그렇습니다. 그저 존경 ㅎㅎ
2022.07.23
최근 10개월에도 논문 실적이 있는데, 위에서 질문 주실때 포닥 연구만으로 쓴 논문개수를 물어보셔서 ㅠㅜ 따로 말씀을 안드렸습니다.
웃는 레오나르도 다빈치*
2022.07.22
근데 학문 선진국일수록 논문 갯수를 전면에 내세우는 사람은 없습니다. 이유는 아실거라 생각됩니다. 정말 좋은 논문은 모든 결과가 준비된 상태에서 순수하게 논문 쓰고 다듬는데만 한 달 이상 걸립니다. 우리나라 연구문화도 바뀌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2022.07.23
"비관적인 소크라테스" 님의 말씀을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완전히 새로운 환경에서도 말씀하신 결과와 비슷한 정도에 실적을 낼 수 있는 그래서 독립된 연구자로서 역량이 충분하다는 것을 증명하시는게 좋습니다. 만약 글쓴님이 해외 포닥을 가서 1~2년내에 포닥 기관에서 말씀하신 실적과 필적한 정도의 실적을 낸다면 어디 지원하셔도 괜찮을 것입니다.
2022.07.23
주위 선배들 얘기들어보니까 포닥이 정말 중요한 요소인거 같습니다. 특히 추천하는게 미국쪽에 그분야 탑인 연구실에서 1~2년만 포닥 다녀오라고 하더라고요.
2024.09.25
중위권 대학인데 신임교수 지원에 네이쳐3편으로도 탈락하는경우도 봤어요. 글쎄요. 몇편 썼냐보다 해당 지원학과에 전공분야에 맞는 네이처 사이언스 논문 기본으로 가지고 있어야 할텐데요. 요즘은 편수도 중요하지만 임팩트 큰 논문 한편도 필수인 것 같아요. 그렇게 해도 성공할까말까. 지도교수 정치력은 덤이죠. 그게 아니라면 하위대학 노려봐야죠.
대댓글 1개
2025.02.01
네이쳐 3편 탈락은 혹시 분야가 어딘가요.. SKP 요즘 임용되시는 분들 봐도 그 정도는 잘 없으시던데
2022.07.20
대댓글 2개
2022.07.20
2022.07.20
2022.07.20
2022.07.20
대댓글 1개
2022.07.20
2022.07.20
2022.07.20
대댓글 1개
2022.07.20
2022.07.21
2022.07.21
2022.07.21
대댓글 1개
2022.07.21
2022.07.21
대댓글 1개
2022.07.21
2022.07.21
2022.07.21
대댓글 1개
2022.07.21
2022.07.21
2022.07.21
대댓글 1개
2022.07.21
2022.07.22
대댓글 2개
2022.07.22
2022.07.22
2022.07.22
대댓글 2개
2022.07.23
2022.07.23
2022.07.22
2022.07.23
2022.07.23
2024.09.25
대댓글 1개
2025.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