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휴학 후 학부연구생을 하는게 왜 추천하지 않는지, 휴학생은 학부연구생을 안받아주는지(타대생이고 거리, 대면수업 고려해도 그런지) 알려주실수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개
2022.08.03
대학원생이 부족해서 학부연구생 위주로 연구하는 학교들이 아니면 학부연구생은 짐이지 연구에 도움은 안 되죠. 그래도 신입생 모집을 위해서 홍보/탐색 목적으로 받는 건데요. 그럴 때 자대생도 많이 지원하면 굳이 번거롭게 타대생을 받을 필요가 없는데 게다가 휴학까지 하고 올 정도면 부담스러워서 받기 쉽지 않죠. 2주일 보고 안 맞는 것 같아서 내보내고 싶을 때 휴학까지 하고 타지역에서 온 학생을 내보내는 건 상상만해도 땀이 나는 일일겁니다. 그리고 휴학생은 연구비 지급 체계상 일반인이어서 인건비 주기가 좀 번거롭습니다. 일반인건비로 처리하면 최저임금 때문에 월 190만원 넘게 줘야 하는데, 석사재학생 최대인건비보다 더 많이 주면서 학부연구생을 맡는게 좀 이상하죠. 타지역에서 왔는데 인건비 안 주기도 그렇고.. 다른 방법으로도 주려면 줄 수는 있지만 다 좀 깔끔하지는 않아요.
대댓글 2개
2022.08.03
그렇군요ㅠ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 한가지만 더 여쭤본다면 학부연구생이나 대학원 진학 시에는 전체평점이 더 중요한게 맞을까요? 공대이면 전공평점이 더 중요시하시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가 현재 전체평점은 3.86인데 전공평점은 4.2입니다 이런 경우라면 전체평점이 낮아도 좀 가능성이 있을까요?
2023.08.19
평점또한 중요하지만 대학원 랩실은 연구 역량이 제일 중요합니다. 물론 숫자와 성과 몇개로 잠재적 연구역량을 판단하는 것은 어렵겠지만, 학생을 뽑는 교수님 입장에선 제한된 정보를 가지고 자기 랩실과 제일 잘 맞는 사람을 고를 것입니다. 당연히 학점은 높을수록 좋지만, (특히 외국) 교수님 입장에선 높은 학점 = 성실함 을 뜻합니다. 그래도 자신이 할 수 있는 최대를 하면 실망스럽지 않은 결과가 있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022.08.03
대댓글 2개
2022.08.03
2023.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