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코스웍 - 일단 영어로 진행되고 과제가 많다, 퀴즈도 매주 친다 [평소 공부량의 2-3배]
2) 연구 - 교수님께서 논문 주시고 프로젝트에 바로 투입이 되어서, 추가 시뮬레이션 진행해보라 하심 [미팅 1주차]
3) 미팅 (매주 1시간씩 3번 진행)
1- 연구실 전체 미팅 : 논문 2개 peer-review 혹은 돌아가면서 PPT 발표 [진행중인 연구 주제에 대해]
2 - 개별 교수님 미팅 : 논문 6개 주시고, 시뮬레이션 진행 및 추가적인 연구 지시
3 - 프로젝트 미팅 : 매우 큰 프로젝트라, P.I 10명 앞에서 줌으로 매주 연구 진행상황 간략하게 발표
코스웍이나 연구, 미팅 3가지 동시에 하려니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데, 잠을 줄이는 방법밖에 없을까요?
[그렇다고 교수님이 지시한 사항을 가능한 범위내로 해가면 되는 것인지... 참 난감합니다]
대부분 박사과정생들 보면 오전 10시 출근 오후 4-5시 퇴근하는 것을 보면, 재택근무를 하는것 같습니다.
[재택근무를 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저 시간내에 많은 업무를 처리하는지 효율성이 대단한 것 같습니다]
처음이라 아직 적응이 안되어, 원래 이렇게 많이 시키는 것이 보통인지 질문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2.08.30
당연히 연구실 마다 다른데, 저는 글쓴이님의 환경과는 좀 다르네요.
1. 코스웍은 한국 대학원보다 더 부담이 되기는 하지만, 매주 퀴즈를 치거나 그러지는 않았습니다. 오히려 학부생들이 매주 퀴즈가 있고 저희는 어느정도 배려를 해주시는것 같습니다.
2. 저는 교수님 성향이 강하게 푸시하지 않는 편이셔서 첫 몇달간 학교 적응 하면서 연구실 포닥에게 진행되는 실험들 하나씩 배웠습니다. 1년이 지난 지금이야 제 개인 연구를 하고 있죠.
3. 연구실 미팅은 없거나 한 학기에 많으면 2번정도 진행합니다. 일단 논문 발표는 시간낭비라고 생각하셔서 전혀 없고, 연구 진행에 대한 개인미팅도 주 1회 20분 내외로 진행합니다. 어차피 교수님이 연구 진행상황을 다 알고 계셔서 미팅 준비에 시간 쓰는걸 불필요하게 생각하세요.
다른 그룹과 함께 미팅을 하는 경우에는 교수님이 주도적으로 진행하시고, 그마저도 1시간 내외로 끝납니다.
연구실 출퇴근 시간은 없으나 보통 10시쯤 와서 3~4시에 퇴근합니다. 실험랩이라 집에서 논문 읽거나 공부할 수 있겠지만 '업무'라고 할 만큼 의무적으로 해야하는 것들은 연구실에서 없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8.30
제 지도교수님이 상대적으로 micro-managing하는 스타일 같긴 합니다. 잘 버텨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선량한 마르셀 프루스트*
2022.08.30
작년에 미국 CS 박사 시작했고, 비슷한 경험을 했습니다.
1. 코스웤에 너무 힘빼지 마시는거 추천... 물론 완벽하게 하는게 좋은데, 체력 안배 해가시면서 적당히 포기할건 포기하셔야 합니다.
2. 뭐 연구에 최대한 집중하시면서, 틈틈히 reimplementation도 진행하되 체력 내로 할 수 있는데까지만 하세요. 박사는 장기 마라톤 같은 것입니다. 교수도 시킨걸 1주일만에 다 해오는걸 바리지고 기대하지도 않습니다. 일주일동안 충분한 진행사항이 있다면, 교수님은 충분히 만족하실겁니다.
3. 미팅 준비는 잘 하시면 좋지요. 다만 논문에 올라갈 그림도 아닌데, 막 그림그리는데 너무 힘빼지 말고, 적당히 교수랑 동료들이 알아먹을 수 있는 레벨까지만 하시기 바랍니다. 지금은 좀 영어가 불편해서 힘들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교수가 학생분 실험 진행사항도 빠삭해지고 영어 실력도 늘면서, 적어도 1:1 주간 미팅은 굳이 PPT 준비안해도 실험 결과표 정리된 거랑, 논문 manuscript만으로 충분히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저도 첨에는 몰라서 교수님이 시킨거 일주일 내로 다 해가려고 하면서 진짜 하루에 몇시간 자지도 못하고, 업무효율은 떨어져서 오히려 교수가 실적압박을 11월 정도에 심하게 가하신 적이 있습니다. 제 사수랑 이 사항에 대해 상담을 요청하니, 그 친구가 자기 요령을 알려주더군요. 요즘은 매일 8-10시간정도 일하면서 충분히 수면도 취하고 주말에 여행다니고, 주중에 운동이나 동호회도 하면서도 교수님이 원하는 progress와 탑컨퍼런스, 저널에도 논문을 몇편 submit 하는데 큰 문제가 없었습니다.
대댓글 6개
2022.08.30
사수가 있으시군요, 저희 연구실은 각자 할일 하느라 그런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저도 첫 주라 주말에도 연구실 나오고 했는데 적응하는데 시간이 좀 걸리겠지요? 사수의 팁이 궁금합니다.
선량한 마르셀 프루스트*
2022.08.30
하하 정확히 사수라기 보단, 같은 프로젝트에 투입된 박사학생 중에 저보다 연차가 높고 논문쓸때 각자 1저자 2저자 도와주는 학생입니다만, 그게 사수랑 비슷하려나요? 아무튼, 이건 무조건 교수님 바이 교수님입니다. 저희 교수님은 논문, 성과, 실험 압박을 좀 심하게 주시고, 주말에도 아이디어 생각나면 바로 전화 때리시는 성격이라, 시키는거 전부 다 하면, 24시간 코딩하고 실험 돌려도 불가능 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1) 우선 제 아이디어 / 교수님이 시킨 업무등을 리스트화 시킨 뒤에 중요한 것 위주로 실험을 우선적으로 진행합니다.
2) 사람답게 살면서 할 수 있는데 까지만해서 교수님께 보고합니다.
3) 교수님이 새로운 아이디어나 실험을 제안하시면, 다시 중요성에 따라 업무 순서를 조정합니다.
이렇게 시간이 흐르면 자연히 교수님이 시켰지만, 생각하시기에 중요한 것이 아닐것이라고 판단되는 실험이나 아이디어는 자연스레 교수님이 까먹으십니다...
혹시 제가 업무순서를 잘못 조정했다면, 교수님이 해당 실험에 대해 언급하실 것입니다. 그럼 교수님께, 해당 업무는 제가 일단 우선순위에서 밀려서 진행못했다고 말씀드리고, 우선순위를 조정한다고 말씀드리고, 다음주에 결과 보고드린다고 솔직히 대답합니다. 다음주에 해당 실험 결과를 보고드립니다. 이렇게 진행하다보면, 프로젝트도 진행되고, 비교적 덜 중요한 실험에 시간을 덜 쓰게되고, 저는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
선량한 마르셀 프루스트*
2022.08.30
개인적으로 박사 생활에서 인간다운 삶은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사기, 분야에 대한 흥미, 아이디어가 유지되는 듯 합니다. 물론 모든건 제 기준입니다.
2022.08.30
저는 이 프로젝트가 코웍이 많은 편인데, 처음 시작하는 프로젝트라 사수? 가 없는 것 같습니다. 조언해주신 내용 참고해서 적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적응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09.01
논문 실적이 어떻게 되시나요?
선량한 마르셀 프루스트*
2022.09.04
@허기진 레온하르트 오일러
진학 전 후 어느걸 말씀 하시는걸까요? 진학후에 지금 지도교수님이랑은 탑컨퍼 1저자, 2저자 하나 씩 제출, 2nd tier 1저자 하나 제출, 탑저널 하나 1저자 제출 했네요... 컨퍼런스들은 곧 최종 결과 나올 거 같아요 ㅋㅋㅋ
깐깐한 루이 파스퇴르*
2022.08.30
기본적으로 너무 완벽하게 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으신 것 같습니다. 교수님이 원하시는, 그리고 연구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하면 잠잘시간은 안줄여도 될 것 같은데 처음 입학하면 대부분 마찬가지겠죠.
대댓글 1개
2022.08.30
네 그런 것 같습니다. 차츰 잘 적응해나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08.31
코스웤 대충 하세요 전 일부러 B 받음
대댓글 3개
2022.08.3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미국서 B 받으면 졸업이 안 될텐데?
한국박사시죠? 미국 코스웍 분위기가 많이 달라요...
깐깐한 루이 파스퇴르*
2022.09.01
무슨 B가지고 졸업이 안돼 ;; 학교마다 다 다른거지 2.7 기준도 있고 3.5 기준도 있고 다양하긴 하다만
선량한 마르셀 프루스트*
2022.09.04
이건 케바케 저희 학교는 전과목 B+이상 안받으면 졸업이 안됨ㅋㅋㅋ 대신 퀄이없고
2022.08.31
특별히 더 빡쎄보이진 않네요. 코스웍 대충 B 받을 정도록하고 묻어갈 수 있는건 묻어가고 논문 읽는것도 눈치껏 대충하세요. 대신 연구에서 실적을 낼 수 있어야합니다. 연구만 진행되면 다른거는 뭐 교수가 뭐라안할껍니다.
2022.08.30
대댓글 1개
2022.08.30
2022.08.30
대댓글 6개
2022.08.30
2022.08.30
2022.08.30
2022.08.30
2022.09.01
2022.09.04
2022.08.30
대댓글 1개
2022.08.30
2022.08.31
대댓글 3개
2022.08.31
2022.09.01
2022.09.04
2022.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