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재 어느 대학원으로 갈지 고민하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교수라는 직업이 쉽지 않다는 것은 당연히 알고있지만, 그래도 한번 도전해보려고 합니다. 현재는 yk 대학교 4학년으로 다니고 있습니다.
현재 랩실을 여러군데 알아보고 있는데요, 원래는 s대 랩실로 가고자 했지만, 이번에 자대 의대 랩실에 제가 매우 관심있는 주제로 연구 하시는 신임교수님이 오셔서 그쪽 랩실로 지원해야하나 고민중에 있습니다.
s대에도 관심있는 주제의 랩실이 있지만, 이미 인원이 너무 많아 학생을 뽑지 않거나, 자리가 있으면 평이 매우 안좋은....랩실이라서 s대로 간다면, 어느정도 주제를 포기하고 가야하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마음은 자대 랩실로 기울고 있지만, 자대나 s대 교수님들의 학력을 보면 거의 다 해외박사 아니면 SPK 박사학위를 가지고 계시더라구요.
교수임용이 박사, 포닥과정에서의 논문 실적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막상 교수님들의 학력을 보니 박사를 어디서 했느냐도 중요한 것인지 궁금해졌습니다.
이는 단순히 교수를 할 정도면 학생 때부터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SPK 출신이 많은 것인 걸까요 아니면, 교수임용에도 학벌이 중요한 것일까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23.03.1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해당 교수를 채용하려는 학교와 학과가 어떤 철학을 갖고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정량평가 (연구) 가 깔립니다. 서울대 학석박포닥까지 다했어도 만약 논문 어마어마하고 최소 과톱 졸업 정도 되면 우리나라 거의 모든 대학에서 교수로 갈수있습니다. 드물긴합니다만.. 그리고 지잡이라도 학석박포닥을 지잡 모교에서 마쳤어도 지도교수가 모교에 교수로 앉히겠다 (자기 편의를 위해) 작정하면 모교 교수가 됩니다..
1. SPK가 연구역량이 당연히 높다. (평균적으로 연구비나 연구실적이 우수하다.) 2. 그러기 때문에 SPK박사출신이 좋은 연구결과 논문을 많이 낸다. 3. 교수 지원할때 이공계같은 경우 논문 갯수와 우수성이 수치화 되어있어 눈에 보임. 4. 서울대에도 비 서울대 교수님 있음 (SPK 아닌) 5. 결론, 결과를 잘 내야함. 6. 여담으로 교수된다고 해서 인생 성공한거아님, 실력없는 교수되어서 학생도 별로 없고 있는 학생에게 뒷담화나 듣는 무능한 교수가 얼마나 비참할지 생각하기 바람. 실적, 실력 >>>>>>>>>>>>>학벌 그러나 학벌좋은 사람이 실적과 실력이 좋을 확률이 매우 높음
2023.03.10
거의 필수까지는 아닌데 확실히 차이는 있죠
겁먹은 아이작 뉴턴*
2023.03.10
YK면 YK출신 많을걸요. YK나와서 SKP에서 박사하면 오히려 싫어하는 경우도 많음(배신자 낙인). 차라리 해외 박사를 가시는 게
대댓글 1개
2023.03.12
ㅋㅋㅋㅋ spk내부에서 학석박 다른곳가도 배신자라고 부르는 사람 못봣습니다. 오히려 윗급학교로 가는데 누가 배신자라고 하나요. 처음들어보는 개념인데 흥미롭네요.
p는 경상도 쪽에 교수가 많이 됩니다. s나 k는 상대적으로 잘 안 받아 줍니다. 인경기 서울쪽에는 한과에 한명 정도 있거나 없는 곳도 많습니다. s는 지방에서는 요즘 크게 환영을 못 받지만 인경기 서울에서는 왕초이고.. yk는 좀 꺼립니다. (자대 선호) 그래도 skp 골고루 다 치고 들어가죠. k는 전국적으로 골고루 치고 들어갑니다.. p에서는 좀 꺼립니다.
2023.03.11
kkk 지만 인서울 교수 하고 있습니다. 포닥은 해외 기업 연구소 찍먹했어요. 논문 정량 평가는 다른 박사 졸업한 사람들에 비해 압도적이긴 합니다. 연구 주제도 프레쉬 하고 유니크한 편 입니다.
절대적인건 없어요.
대댓글 1개
2023.03.19
인서울쪽이면 안 힘드신가요...?ㄷㄷ
2023.03.12
SKP 장점: 교수 임용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아주 퀄리티 높은 논문을 쓸 수 있는 가능성이 약간은 있다. YK 장점: 현재 많은 학교의 교수들이 YK 출신이고 이들은 은연중 후배를 뽑아주고 싶다. 그러면 좋은 후배가 있는지 모교 교수에게 문의하겠지. 제대로된 교수라면 자기 새끼 교수일때 부터 동고동락한 자기 랩실 출신 박사를 강하게 추천할 것임. 물론 지원자의 실적은 경쟁자들 대비 충분히 좋아야 함. 임용 시스템이 너무나 클린해서 실적만 보는 하이레벨 학교를 가고 싶다면 SKP가서 미친듯이 논문쓰고, 아니라면 나의 든든한 후원자가 되어줄 모교 교수와 한 배를 타는 편도 충분히 메리트가 있다고 봄.
2023.03.12
좋은 논문 주저자 많으면 학벌은 지거국 이상만 되면 그닥 영향 없어요
2023.03.12
지거국 이상 학부는 필수고 이공계 기준 네이처 본지 1개 1저자 혹은 네이처 시스터즈 2개 1저자이상 기본 자격으로 보면됨. 네이처 본지나 시스터즈 논문 없으면 학부 학벌 높아도 물박사로 교수 되긴 어려움
2023.03.14
아는 지인중에 학석박 전부 ssh중 하나에서 하고 이번에 인서울 임용된 교수님 한분 계세요
2023.03.10
2023.03.10
대댓글 2개
2023.03.10
2023.03.11
2023.03.10
2023.03.10
2023.03.10
대댓글 1개
2023.03.12
2023.03.10
2023.03.11
2023.03.11
2023.03.11
2023.03.11
대댓글 1개
2023.03.19
2023.03.12
2023.03.12
2023.03.12
2023.03.14
2025.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