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취업은 논문 편수 관계없습니다. 오히려 많으면 금방 학계로 튈까봐 독이 돼서 안뽑기도 해요. 기본적으로 연구분야가 중요시되는데 연구분야가 살짝 동떨어지면 물론 학벌로 충분히 커버되지만 아예 동떨어지면 spk라도 안뽑죠 실무에 쓸모가 없으니깐...
IF : 2
2023.03.29
부경에서 인서울로 갈시 대학원 간판 메리트 있는 학교는 sky밖에 없어요~ 지방에서는 kp와 ist까지고요.
대댓글 1개
2023.06.30
혹시 지방이라는 것이 취업 위치 기준의 지방 지역 인가요?
2023.03.29
박사는 연봉 테이블부터 다릅니다. 학사처럼 학벌만 좋다고 뽑았다가는 기업 망하기 딱 좋습니다. 필요한 인력이 맞는지 전공도 봐야할거고요. 돈을 벌어다줄수 있는 사람인지 실적도 봐야죠. 논문 타고들어가서 지원자가 속한 연구그룹에 레퍼런스 체크도 해야할거고요. 볼게 이렇게 많은데 대학교 간판이 중요할까요? 그냥 오호 여기 출신이네 정도는 생각하죠. 근데 나머지가 별로면 본말전도입니다.
대댓글 2개
2023.03.29
입사가 책임초나 선임 말인거지 테이블 똑같습니다. 몇개기업이나 얼마안되는 박사수당 좀 더챙겨주지 테이블이 다르긴 무슨..... 대기업들 박사를 1년에 몇명씩 뽑는데 한둘 망한다고 회사 절대 안망합니다. 뽑는 PL 입장에서 제일 골아픈게 신입 런인데, 윗댓글에도 있지만 if10 짜리 4편씩 들고있으면 학계로 튈거같아서 뽑기 더 껄끄럽습니다.
IF : 5
2023.03.30
저렇게까지 체크할 수 있는 인사팀 그냥 과감히 말할게요. 최소 국내엔 없습니다. 현업부서한테 스크리닝을 시키기는 하지만, 그래도 채용담당자 한두명이 일년에 수십수백명씩 뽑는 박사 지원자 저거 보고 하나하나 다 가려내고 있을리가요. 실제로는 생각보다 단순한 지표들 가지고 채용이 이루어지고, 그 와중에 다른 분 얘기하셨듯 정말 튈거같은 사람들 거르는 제일 좋은게 과한 실적이예요. 그렇게 걸러도 많이 튑니다.
2023.03.29
2023.03.29
2023.03.29
2023.03.29
대댓글 1개
2023.06.30
2023.03.29
대댓글 2개
2023.03.29
2023.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