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막상 석사때 CVPR내는 사람 거의 없는데 왤케 난리임?

2023.04.11

14

2992

SPK ML랩 학생인데, 여기서도 석사때 CVPR/NIPS .. 내는사람 극히 적은데 대체 누구랑들 싸우시는건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성실한 하인리히 헤르츠*

2023.04.11

https://ielts.gohackers.com/?m=bbs&bid=go_gradu&iframe=Y&print=Y&uid=103895

대댓글 9개

성실한 하인리히 헤르츠*

2023.04.11

https://phdkim.net/board/usadmission/686
대댓

https://phdkim.net/board/free/35723
학부연구생 억셉

https://phdkim.net/board/free/39482
석사 억셉

https://phdkim.net/board/free/34074
어렵다

https://phdkim.net/board/free/18374
요즘 애들 석사 때만 3개 씀(댓글: 나 석산데 4개 씀)

등등

성실한 하인리히 헤르츠*

2023.04.11

https://phdkim.net/board/free/8780
댓글


출근이나 해야지...
후회하는 노엄 촘스키*

2023.04.11

해당 분야 미국 박산데 장담하는데 3~4편은 아웃라이어임. 1편만 써도 10위권 미국 유학 가능. 탑스쿨 보통 중국애들이 2개 정도 들고감. 3~4개면 미국 탑스쿨 가능 수준
후회하는 노엄 촘스키*

2023.04.11

아 탑스쿨 가능이 아니라 탑스쿨 박사 졸업 가능
건강한 블레즈 파스칼

IF : 1

2023.04.11

누적신고 20 또왔네 ㅋㅋㅋㅋㅋ
이정도면 어디 아픈거 아닌가.... 건강도 좀 챙겨
성실한 하인리히 헤르츠*

2023.04.11

ㄴ 메시지를 깔 수 없으면 메신저를 깐다는 말을 어디서 많이 들어봤을 것 같은데 말이죠? ㅎㅎ

2023.04.11

누적신고 50개랑 20개랑 같은 사람으로 추정됨.
이란 글만 쓰고 있음.
빨리 병원 가봐야 됨.

2023.04.11

근데 왜 이사람들은 본인들이 석사때 탑티어 낸사람 없다고해서
증거를 누군가가 들고오면
신고수로 비난하는거임?
자기가 한 말에 책임은 져야지ㅋㅋ
괜히 할말없고 인정하기 싫으니 그냥 신고수로 시비트는 찌질한 모습 보이지말고 인정을 해.
저번에는 ai쪽은 시비튼적 없다고하더니 그때도 증거 산더미처럼 나왔잖아.

2023.04.12

이런 익명글들 말고 실제 연구실 홈페이지들 가서 cvpr 1저자 몇년차 학생인지 보거나, cvpr accepted list가서 한국인 이름들 검색해보는게 정확하지 않을까요? …
용감한 로버트 보일*

2023.04.11

석사때 네이처 쓰는 사람들보다 수십배는 많을듯

대댓글 1개

2023.04.17

수백배 수천배 까지도 됩니다.
칠칠맞은 박경리*

2023.04.11

AI 분야 석사 중입니다.
대학원에서 잘한다는 것은 논문을 잘 쓴다 (연구력이 뛰어나다.) 를 증명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연구를 열심히 하고 또 잘하는 것이 이치에 맞고 향후 진로에도 유리한건 사실이죠.

근처에, 혹은 아는 사람들 중 정말 뛰어난 애들이 많습니다.
Top-tier 학회에 (CVPR, ECCV, ICCV, ICLR, ICML, 뉴립스, EMNLP 등등) 논문을 submit, accept 시키는 학생들이 많고,
탑이 아니어도 하다못해 2티어나 각 응용 컨퍼에도 많이들 내더라고요.

from

https://www.jobkorea.co.kr/User/Qstn/AnswerWrite?qstnNo=61794

2023.04.29

흠... 탑컨퍼 내는 석사 많지않죠. 하지만 교수님이 거의 대신써주다 싶은 연구실(초임 교수님)은 나올 수 있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시리즈 첫 번째 강연: UCLA 김영서 교수 무료 세미나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