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통계학 입장에서 컴퓨터공학(AI학과)과 산업공학의 장단점이 무엇일까요?

답답한 소크라테스*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3.05.29

7

2873

석사 진학 과정에서 둘 내지 셋 전공 사이에서 고민입니다

양쪽 다 충분히 찾아봤는데 모두 매력적이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3.05.29

저는 컴공인데 컴퓨터공학은 석사 후 기업체 취직에 유리한것 같아요

2023.05.29

셋다 기업 취직에 유리합니다. 아마 차이가 있다면 다루는 문제 차이가 있을 것 같아요. 저는 산공을 전공하는데 컴퓨터 전공보다는 통계를 조금 더 쓰는 것 같고, 컴공이나 ai 쪽보다는 조금 더 산업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다루는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답답한 소크라테스작성자*

2023.05.29

산업적인 문제를 다룬다는게 뭔가요?

2023.05.29

학부가 통계학이시면 학부 지식 자체는 산공에서 더 많이 쓸겁니다. 산공은 현실 세계 내 데이터를 이해/분석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이 더 크고 컴공은 core tech 개발에 더 치중해있지요. 결국 기술을 리드하거나 complex한 모델을 다루는건 컴공이고, 산업 내 insight을 끌어내거나 scalable solution을 적용하는게 산공이라고 생각하지만 모든게 랩바이랩.. 산공에서 ICML/ICLR 내시는 분들도 많고 컴공에서 KDD/ICDM 내시는 분들도 많구요..

대댓글 1개

답답한 소크라테스작성자*

2023.05.29

제작과 의사결정의 차이점이라고 읽히네요, 어떤 느낌인지 알겠어요!!
뉘우치는 존 케인즈*

2023.06.01

산공은 통계학과나 비슷한 방법론이나 이론에 좀더 치우친 경향이 있고 원래 컴공은 컴퓨터 기술을 전반적으로 다루는 건데 요즘 인공지능에 다들 미쳐서 모든 컴퓨터 관련 기술들에 인겅지능 걀합을 하고 있죠. 사실 컴공의 많은 연구 분야중 일부라고 볼수 있는데. 좀 기형적인 상황.

2023.10.19

네,
제가볼때는요.
저는 S대 산업공학 나왔는데요.
산업공학에서도 통계학과 같은 과목을 배웁니다.
기초통계,통계학원론,기본통계등등 비슷한 학습입니다.
결론은 통계학과 산업공학이 같은 기사 자격증도 있어요.
통계학은 간단하게 통계쪽을 배우지만,
산업공학은 전반적인 산업사회에서 일어나는 것 등을 배웁니다.
산업공학을 추천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