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Nature Index 2023, 대학원 역량 Nature가 정리해줬다

2023.06.29

88

7890

대학원 순위로 그만들 싸우고 연구하자!
Nature가 정리해줬다.
분야별 차이가 있겠지만, 불만인 사람은 Nature에 항의하길, 나한테 뭐라하지 말고~

출처: 링크된 기사( <저작권자©베리타스알파>)

서울대(55위, 206.58)
KAIST(71위, 169.98점)
연대(123위, 115.13점)
성대(148위, 100.57점)
포스텍(149위, 100.43점)
고려대(193위, 81.17점)
UNIST(253위, 61.73점)
한양대(295위, 50.35점)
부산대(451위, 28.14점)
울산대(455위, 27.57점)
중앙대(464위, 26.1점)
경북대(471위, 25.11점)
지스트(485위, 23.56점)
DGIST(21.54점)
이대(21.08점)
경희대(20.42점)
아주대(20.23점)
전남대(20.1점)
서강대(14.47점)
가톨릭대(12.71점)
강원대(11.34점)
인하대(11.26점)
경상대(11.03점)
충남대(10.83점)
전북대(10.44점)
건국대(10.34점)........
10점 이하 절삭!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8개

2023.06.29

라이덴 랭킹 2023으로 보면 상위 논문 비율로 하면 서울의 다른 S 대학이 2위임. 여기서 언급되는 y는 0위이고. 랭킹은 그냥 재미로..

대댓글 7개

청승맞은 버지니아 울프*

2023.06.29

2023 라이덴랭킹 종합순위 (상위 10% 논문수 기준)
공동저술 논문 가중치 반영 : 서 연 성 KAIST 고 한 경희 울 경북 포 UNIST
공동저술 논문 가중치 미반영 : 서 연 고 성 KAIST 한 경희 울 세 경북 포 부 UNIST

2023.06.29

그 상위 논문 비율보면 영남대(님이 말하는 지방y겠죠)가 서울대보다 높음. 영남대>서울대라는 소리?
일부러 연세대깔려고 자꾸 헛소리하나본데ㅋㅋ
비율이 뭐가 중요함? 애초에 영남대는 논문자체가 안나와서 분모가 작은데 그중에 유명교수가 몇명있어서 상위논문비율이 높은건데ㅋㅋ
상위논문편수로하면 연대가 2등아니면 3등임.
어디서 비율같은 쓸데없는 지표로 왜곡하려드냐

2023.06.29

내가 말한 비율은 10%가 아니라 5%또는1% 얘긴데
10%는 연이 어차피 압살이네.
저렇게 쓸모없는 지표 가져와서 왜곡하려는 애들이 있음.
영남대가 비율높아서 어쩌라고 애초에 논문자체가 안나오는 학교니까 좋은논문 한두편 내면 비율이 좋게 나오는거지;;

2023.06.29

라이덴 랭킹 2023년도 10% 논문 비율로 하면 랭킹은 다음과 같음.
유니스트 12.7%
세종대 10.7%
포스텍 10.6%
카이스트 10.2%
영남대 8.4%
이화여대 8.3%
디지스트 8.2%
한양대 8.1%
서울대 7.8%
연세대 7.8%

2023.06.29

랭킹으로 싸우면 한도 끝도 없으니 글쓴이도 자중하기를. 유리한 랭킹 가져다가 자랑하지말고.

2023.06.29

논문비율로 얘기하는거 부터가 특정 목적이 있다고 밖에 못하지. 논문자체가 별로 안나오는 대학에서 스타교수 한두명 있으면 올라가는데.
일례로 세종대랑 영남대 이화여대가 서울대보다 비율 높은데 그게 무슨 의미가 있나?
상위 10%든 1%든 논문 편수는 어차피 서울대가 많은데. 서울대가 비율이 안좋은건 문과 포함해서 논문 수 (분모)가 크기 때문임.
비유하자면 서울의 명문고가 정원 500명에 서울대 10명 가서 서울대 진학율 2%인데,
지방의 한 학교가 정원 40명에 서울대 1명가서 서울대 진학율 2.5%니까 지방의 학교가 더 좋다는 식이지ㅋㅋ
고등학교 순위도 서울대를 몇명갔는지 따지지 간 비율로 따지냐?ㅋㅋ
꼭 저렇게 말도 안되는 거 가져와서 억까하는 사람들이 있음.
청승맞은 버지니아 울프*

2023.06.29

기쁜 어니스트 러더퍼드가 언급한 랭킹은
상위 10% 논문수 기준이 아님
인용 상위 10% 논문 비율 기준임

구조적으로 규모 작고 논문수 적으면 랭킹이 올라가는 의아스러운 랭킹임
유니스트가 1위 세종대가 2위인 것만 봐도 일반적인 상식선과도 다르고 QS, THE 등 다른 세계랭킹들과 부조화도 큼

(기사)
비율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전체 논문 수가 적을 수록 비율 면에서는 유리하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소규모 대학까지 평가 대상으로 포함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지만, 규모가 크고 많은 논문을 내는 대형 대학일수록 불리할 수 있다는 점은 한계다. 예를 들어 서울대의 경우 상위10% 논문 수가 3601건이지만 UNIST는 718건으로 5분의1 수준이다.

상위10% 인용 논문 비율이 아닌 상위10% 논문 수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순위는 달라진다. 규모가 커 출판 논문이 많은 대학이 큰 활약을 하지 못했다면 양적인 측면에서는 대형 대학들을 높은 순위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공동저술한 논문을 N분의1건으로 반영하는 분수 계산을 통해 살펴보면 국내1위는 서울대다. 전체 논문 1만9287건 중 상위 논문이 1512건이다. 세계순위는 61위로 지난해 72위에서 상승했다. 국내2위는 연대다. 1만2542건 중 974건이 상위 논문이다. 비율은 7.8%로 서울대와 동일하지만 상위10% 논문 수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출처 :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63024

2023.06.29

오타 y는 10위이고..
재빠른 프랜시스 베이컨*

2023.06.29

흠 연구중심대학으로 지원 빵빵하게 받는 학교들이 논문쪽에서 지거국한테 따잇당하면 지원을 하는 의미가 있나

대댓글 2개

2023.06.29

올해에는 건강과학 분야를 넣었다고 그랬잖음. 2022년까지는 순위 좀 높았다가 갑자기 확 떨어진데에는 그게 영향이 있지 않을까? 포도 원래 국내 3위 유지하다가 갑자기 5위 됐는데..종합대들 순위가 전반적으로 올라간건 건강과학 분야 때문인듯

2023.06.29

존필즈님 잘못 알고계시는데 건강과학 없을때도
Y가 보통 3위하고 P가 4~5위했었어요.
예전기록 지금도 볼수있으니 직접 찾아보시구요.
최근에 P가 3위로 오른거지 3위 유지한거 전혀 아니구요.
건강과학을 자꾸 탓하지 마세요.

2023.06.29

지방의 y가 서울의 y를 훨씬 앞지름.

대댓글 1개

2023.06.29

응 니 기준으론 영남대가 서울대도 이겨
서울대랑 연세대랑 그 비율 거의 똑같애^^
헛소리는 일기장에
청승맞은 미셸 푸코 *

2023.06.29

우리 학교는 phy&sci 쪽에서 전체 점수의 반을 가져감 ㄷㄷㄷ

대댓글 1개

2023.06.29

보통 물리 화학이 점수 대다수고
생물이 조금이고
지학은 거의 의미없음
한국자체가 물리랑 화학이 셈

2023.06.29

Nature index는 Nature publishing group에서 선정한 저널들에 얼마나 많이 게재했는지를 평가하는 정량평가임. 교수 숫자가 많은 학교가 무조건 유리함.

대댓글 22개

2023.06.29

그럼 교수 숫자 적은 학교가 유리해야 하나요?
nature index에서 선정한 저널들 누가봐도 저명한 저널들인데 저명한 저널들에 논문을 많이 게재한대로 점수주는건데 무슨 문제라도?
규모작다고하는 ist나 P의 경우 메이저과의 교수 숫자는 결코 적지 않아요. 과의 종류는 적은 편이지만 어차피 저기서 평가하는 물화생 교수 숫자는 비슷하단말입니다. S는 물화생 교수 숫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구요. 자꾸 규모드립으로 덮으려하지 마시길

2023.06.29

교수 수가 많은 학교가 좋은 학교임.

그럼 칼텍은? 이럴 수도 있지만 칼텍도 한 과에 20명은 된다. 우리나라는 자연과학 쪽은 설카 제외하곤 커야 20명 내외 수준이고.

교수 해보니 대한민국에선 학과 큰게 무조건 좋은듯. 미꾸라지 있어도 모른척 할 수 있고 학과장 순번도 맥스 한 번이고.

2023.06.29

그럼 교수 숫자 적은 학교가 유리해야 하다는 게 아니고, Nature index 평가의 기준이 그렇다는 얘기임. 교수당 평균 논문 등으로 평가하는 지수와 다르다는 의미임. 그리고, POSTECH이나 ist가 학과별 교수 숫자가 명학히 적은데. 각 학과별로 가서 확인해보셈.

2023.06.29

네 화학과 기준 Y랑 별차이 없음. SK는 압도적으로 많고.
교수당 평균논문으로 왜 비교를 해야됨?
국내 고등학교순위도 서울대보낸 명수로 얘기하지 비율로 얘기안함.
대학을 평가할땐 질이 높은 논문을 얼마나 냈는지가 가장 일반적이고 공정한 기준임.

2023.06.29

고등학교에서 서울대 많이 간 숫자랑 이거랑 도대체 무슨 상관이지? 그리고 화학과 기준으로 숫자가 비슷한 것도 무슨 관계가 있는지 모르겠는데... 다른 과에서는 nature index 저널 논문 안 씀? 교원 숫자가 많은게 Nature index에서는 좋은 점수를 받는 게 유리하다는게 팩트인데 도대체 뭐가 꼬인거냐...

2023.06.29

님이 얘기한거 그대로 적어드림.
"POSTECH이나 ist가 학과별 교수 숫자가 명학히 적은데"

김박사넷 등록기준
물리학과 교수
서울대 50명
연세대 27
고려대 26
카이스트 38
포공 29
U 24
D 21
G 18

화학과 교수
서울대 37
연세대 20
고려대 23
카이스트 28
포공 28
U 28
D 21 (D는 화학물리과로 되어있어서 위랑 같은수 적음)
G 14

네이처인덱스 들어가보면 알텐데 물리랑 화학 카테고리 점수가 대다수라 두개 과만 가져온거. 이외에 재료과나 화공과나 많겠지만 일단 대표로 이 2개 과만 가져옴. 화학 카테고리에 화학과가 제일 중요하고 물리 카테고리에 물리과가 제일 중요하겠죠? 다른과 어쩌고하면서 자꾸 물타기는 하지마시고.
일단 D랑 G가 교수숫자 적은건 팩트임. 근데 실적이 그 숫자 적은거 보정해줘도 적긴 함.
서울대 카이스트는 교수수가 기본적으로 많음.
논쟁핵심인 연대 포공 U만 보자
물리과 Y27 포29 U24 비슷하네? 포가 1등
화학과 Y20 포28 U28 엥 연대가 압도적 꼴등이네

님 말이 틀렸다는 거임. 왜 거짓된 정보로 물타기를 하려고 함?

2023.06.29

D 물리화학과 교수가 21명인데 왜 물리학과 21, 화학과 21이냐 ㅋㅋㅋㅋ 물리 10 화학 11 정도 겠지 이정도면 거진 y 1/3 수준인데?

2023.06.29

화학은 연대 20명 D 10명이니까 2배차이 나네? 근데 이를어째 화학카테고리 점수는 3~4배 차이야ㅋㅋ D가 교수숫자 적지만 점수는 그거에 비해서 더 낮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지금 D깔려고 일부러 댓글달은거 맞지?ㅋㅋ

2023.06.29

물리도 Y가 D의 3배 까진 안되지만 3배라 쳐줄게.
물리 카테고리 점수는 Y가 D의 4배가 넘네?ㅋㅋㅋㅋㅋ 너 진짜 D안티 아니냐 이정도면ㅋㅋㅋㅋ 너무 웃김. 본인이 하는 말이 D에 비수가 되서 꽃히네ㅋㅋㅋ

2023.06.29

교수 숫자 가지고 계속 얘기하는데, 내가 통계를 찾아봤음. 연세대 공대, 자연대, 생명과학대 전임 교원 숫자를 합쳐보니 370명 쯤 됨. POSTECH 280명 정도이고, UNIST가 300명이 조금 넘음. GIST랑 DGIST는 200명 언더이니 패스 . 물리, 화학으로 분야가 분류되면 그 저널에 물리, 화학과 교수만 논문을 쓰는게 아니라는 걸 알꺼임. 무엇보다도, 연세대 의대, 치의대 교수 숫자의 합이 500명이 넘음. 그리고 Nature index를 찾아보니 연세대 chemistry, physics 점수가 39, 43임. POSTECH 56, 54 / UNIST 32, 39임. 그러면 어디서 연세대가 점수를 많이 얻었는지 보니, 의대에서 주로 논문이 나오는 Health Science에서 28을 얻음. 참고로 POSTECH, UNIST는 각각 4, 1임. 통계를 들고와서 통계로 답변을 해봤음.

2023.06.29

역시나 또! 바보같은 소리를 하시는군요!
연세대 교원중에 건축학과라든지 도시공학이라든지 네이처인덱스와 관련없는 과도 많겠죠?
전체 교수 숫자로 얘기하는거보다 특정 메이저과를 가지고 얘기하는게 정확하니 그렇게 얘기를 한겁니다.
화학 카테고리에 화학과 화학공학과 외에 다른 모든과들의 비중이 얼마나 될까요? 비중이 없는 모든과를 다 끌고와서 비교하는게 맞다고 보세요?
의대 치대 교원이 논문쓴다고 생각하심? 대부분은 논문 안써요. 그나마 이번에 건강카테고리 추가된건데 추가되기 전에 네이처인덱스 3년연속 Y가 P 이겼구요.
Y가 위냐 P가 위냐에서 의학쪽은 큰 비중이 없다는 얘깁니다. 의학쪽을 끼니까 역대급 큰차이로 Y가 이긴거 뿐이에요.

Y 건강이 28점이면 건강 빼면 전체점수 28점 빼야된다는 소리를 하고싶으신거겠죠?
각 점수 더해는 보셨어요?
포공기준 생17.85 화54.41 지4.14 물55.52
건강은 4.42인데 건강빼고 더해도 130이 넘는데 포공 점수는 왜 100점 정도죠? 생각은 해보셨는지?
연대가 건강이 28점이고 전체점수 포공에 15점 앞서니까 건강빼면 포공에 13점차로 진다구요?
아닙니다ㅋㅋ 건강저널 빼면 포공이 이기긴해요. 근데 한 5점차이 나겠네요. 건강에 있는 점수 일부가 생명이랑 겹치거든요. 원래 P랑 Y는 5점 이내로 엎치락뒤치락 해왔어요. 근데 건강 넣으면서 Y가 확실히 올라선거구요. U같은 곳도 자기네 강한 분야가 있는거고 거기서 점수 많이 받으면 그런가보다 하지 않나요? Y도 의대가 다른 학교들에 비해 강하니 거기서 점수 받은거긴 하죠. (이번엔 보니까 한 20점 받았네요.) 건강 빼면 P에 이어서 4등 이었겠죠. 왜 빼야되는건지는 모르겠지만ㅋㅋ
네이처인덱스 점수가 각 카테고리점수 다 더하면 나오는건지 아셨던거죠?ㅋㅋ

2023.06.29

역시나 또! 바보같은 소리를 하시는군요!
연세대 교원중에 건축학과라든지 도시공학이라든지 네이처인덱스와 관련없는 과도 많겠죠?
전체 교수 숫자로 얘기하는거보다 특정 메이저과를 가지고 얘기하는게 정확하니 그렇게 얘기를 한겁니다.
화학 카테고리에 화학과 화학공학과 외에 다른 모든과들의 비중이 얼마나 될까요? 비중이 없는 모든과를 다 끌고와서 비교하는게 맞다고 보세요?
의대 치대 교원이 논문쓴다고 생각하심? 대부분은 논문 안써요. 그나마 이번에 건강카테고리 추가된건데 추가되기 전에 네이처인덱스 3년연속 Y가 P 이겼구요.
Y가 위냐 P가 위냐에서 의학쪽은 큰 비중이 없다는 얘깁니다. 의학쪽을 끼니까 역대급 큰차이로 Y가 이긴거 뿐이에요.

Y 건강이 28점이면 건강 빼면 전체점수 28점 빼야된다는 소리를 하고싶으신거겠죠?
각 점수 더해는 보셨어요?
포공기준 생17.85 화54.41 지4.14 물55.52
건강은 4.42인데 건강빼고 더해도 130이 넘는데 포공 점수는 왜 100점 정도죠? 생각은 해보셨는지?
연대가 건강이 28점이고 마치 님 댓글보면 Y는 의대점수빨로 점수올린건 반칙이다! 이러는거 같은데 있는그대로 평가를 하도록 해야죠. 공산주의처럼 P에는 의대없으니 Y도 의대빼고 점수 내라! P는 전체교원수가 적으니 Y도 전체교원수 비례로 실적 보정해라! ㅋㅋㅋㅋㅋ 말이 되나요? 그러면서 본인들이 유리한 교수1인당 어쩌고, 인용지수 이런거 가져와서는 P가 1위다 ist가 1위다 그러고.

2023.06.29

댓글이 잘못 써졌는데 이거 바로 위에건 무시하시고

마치 님 댓글보면 Y는 의대점수빨로 점수올린건 반칙이다! 이러는거 같은데 있는그대로 평가를 하도록 해야죠. 공산주의처럼 P에는 의대없으니 Y도 의대빼고 점수 내라! P는 전체교원수가 적으니 Y도 전체교원수 비례로 실적 보정해라! ㅋㅋㅋㅋㅋ 말이 되나요? 그러면서 본인들이 유리한 교수1인당 어쩌고, 인용지수 이런거 가져와서는 P가 1위다 ist가 1위다 그러고.

2023.06.29

그리고 나는 이렇게 생각함. 네이처인덱스에서 가능한 많은 분야의 저명한 저널을 다룰수록 정확한 대학평가가 된다고 봄. 문과는 아예 다른분야니까 빼고 인공지능 쪽이라든지 아직 다루고 있지 않은 분야가 많음. 이번에 실험적으로 의학쪽을 넣은것임. (솔직히 미국이 중국에 밀리는거 보기 싫어서 넣었다는게 맞지. 미국이 바이오, 의학은 중국 압살하니까)
의대가 없는 대학은 불리하지 않냐고? 불리해야지 맞지. 다양한 과를 가지고 있고 전체 교원 숫자가 많은 대학이 실적도 잘 내면 평가가 좋아야되는거 아님? 필요한 과만 체리피커처럼 쏙 뽑아서 만들어놓고서는 그 분야 잘한다고 고평가 받아온게 문제가 있는거임. 비유하자면 수능에서 수학 영어 과학만 가지고 평가하다가 국어과목을 추가한 격이지. 의학이 그동안 없었던것도 이상하긴 함. NEJM Lancet등은 네이처를 뛰어넘는 IF를 가지고있고 인류에 엄청난 공헌을 하는 저널들인데.
네이처인덱스에서 바이오 Nat Comm등은 의학카테고리에 거의 그대로 겹치는데 대신에 겹치는 저널은 점수를 두번 더하진 않으므로 아무 문제 없음. 그렇기에 의학카테고리 점수가 뻥튀기 되어 있지.

2023.06.29

말이 길었는데 요약하면
의학쪽 빼면 이번통계에서 포공이 연대 5점차로 이김
의학쪽 빼도 연대가 포공에 이어 4위임
근데 왜 의학을 걸고 넘어지는건지는 이해가 안됨
각 대학마다 강한 분야가 있고 거기서 상대적으로 점수를 더 받는건 공정한 것임.
의학 카테고리를 분리한것이긴 한데 생각해보면 단순히 타겟저널을 늘린것이랑 다를 바가 없음.
추가된 저널은 NEJM Lancet을 비롯한 저명한 저널들임 (nature index에서 타겟저널 선정하는건 믿을 만함. 저명한 곳만 신중하게 고르는게 사실임.)
NEJM Lancet 등이 지금까지 nature index에서 0점 이었다는게 오히려 이상함.
그런 저널에 잘 못내는 대학이 당연히 있을텐데 그건 어쩔 수 없는것임.
내가 그동안 누누히 얘기하는데 규모차이 같은 소리는 필요없고 대학은 지금 현재 상태로 평가받아야 함.
규모가 큰것도 교수 숫자가 많은것도 과의 종류가 많은것도 의대를 보유하고 있는것도 학생수가 많은것도 모든게 해당 대학의 특징이고 그대로 평가를 받아야함.
왜 유독 Y가 특정 지표에서 점수가 좋으면 아 그거? Y는 종합대라 그래. Y는 교수 숫자가 많잖아. Y는 학생이 많잖아. Y는 의대가 있잖아.
그런 소리를 해가면서까지 Y를 억까하는지 모르겠음ㅋㅋ S는 Y보다 교수숫자 등 모든면에서 위인데 Y는 S한테 그런 얘기하는걸 본적이 없다.
Y에 열등감이 있는지 어떻게든 이악물고 트집잡는거 보기에 안쓰러움ㅋㅋ

2023.06.29

연세대는 참고로 기원이 세브란스 병원이구요. 애초에 바이오 및 의학으로 출발한 곳이에요. 그래서 물리나 화학은 교원수도 적은 편이구요. 바이오는 생화학 생물학 생명공학 3개의 과가 있어서 합치면 교원수가 적지 않구요. 의학쪽도 연구하는 교수가 타대학에 비하면 많은 편이구요. ist나 P는 사실 의학은 없는거나 마찬가지고 바이오가 중점이 아니죠. 연대는 바이오 및 의학이 강점인 대학인데 그동안 의학은 평가대상이 아니었는데도 nature index에서 최근 5개년 중 4년 S, K에 이어 3위를 했구요. 이제 의학이 추가됬으니 당분간은 고정 3위를 하겠죠.
님은 왜 순위를 보고나서 이러쿵저러쿵 Y를 까내리지못해 안달인지 이해를 못하겠어요.

2023.06.29

님 기준에서는 실적으로 Y가 P를 이기면 안된다는 철칙이 있는건지? 의학빨이네 교원수빨이네 어떻게든 정당치 못한 이유를 가져다 붙이고 싶으신건지?
Y훌 거리는데 애초에 이 사이트에서 ist를 추켜세우면서 YK랑 비비네 어쩌네하고 Y랑 P랑 논란생기면 Y개무시해오지 않았나요?
난 애초에 nature index라느니 이런거로 실적 다 보고서 Y는 ist에 비교불가이고 P랑 별 차이없는거 알고있었는데 그냥 분위기에 동조해서 무조건 Y개무시한게 여기 보편적인 여론 아니었는지?

의학빨이든 교원수빨이든 님이 말하는 빨 제일 많은건 서울대에요ㅋㅋ 서울대랑 카이스트가 교원 압도적으로 많아요ㅋㅋ (카이는 총 교원은 아니겠지만 각 과의 교원수는 개많음.) 어떻게든 Y가 P이긴거 원인을 찾으려는 당신의 노력에 눈물이 날 지경입니다ㅋㅋㅋ

2023.06.29

역시나 또! 바보같은 소리를 하시는군요!
--> 말을 좀 조심했으면 좋겠는데
연대가 건강이 28점이고 마치 님 댓글보면 Y는 의대점수빨로 점수올린건 반칙이다!
--> 반칙이라니... 반칙이 아니고 점수가 나온 배경을 이해시켜줄려는 건데 무슨 반칙이라는건지...
이러는거 같은데 있는그대로 평가를 하도록 해야죠. 공산주의처럼 P에는 의대없으니 Y도 의대빼고 점수 내라! P는 전체교원수가 적으니 Y도 전체교원수 비례로 실적 보정해라!
--> 말이 안되지요. 뭘 보정을 해요? 그게 아니고 Nature index 점수는 정량평가라고! 그리고 연세대 의대 기초교실에서 논문이 얼마나 많이 나오는데.... 의대에서 나온 논문들이 다 biological science 분야 점수도 올리는 겁니다.
그리고 계속 통계를 호도하는데, 정량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연세대가 의대에서 나온 논문으로 health science에서 점수를 더 받아서 올라간 게 맞잖아요. 그거를 사실대로 이해를 하면 되는거지. 뭘 반칙이니 바보같다느니... 참나...
그리고, 화학, 물리에서 POSTECH이 점수가 10점 정도 높은 것도 맞잖아요? 화학, 물리를 굳이 비교하는 건 먼저 님께서 화학, 물리 점수가지고 교원수가 비슷한데 연세대가 점수가 높다고 하니까 굳이 분야별 비교를 하자는거고. 님 논리대로라면 화학, 물리학과 교원수가 비슷한데 분야별 점수는 다른 학교가 더 높네? 그러면 화학, 물리 분야에서 연구 더 잘하는 거 맞죠?
물리니 화학이니 그런게 중요한게 아니고 종합적으로 Nature index는 물리, 화학, 헬스, 바이오 관계없이 논문에 contribution하는 교원수가 많으면 유리하다는 겁니다.

2023.06.29

그래서 하고싶은 말이 뭔지 명확히 해주시면 좋겠네요. 자꾸 빙둘러서 그러지말고.
연세대 의대 기초교실에서 그동안 nature index에 많은 기여를 했던가요? 타겟저널이 안맞아서 거의 기여 없는거로 압니다만.. 그리고 기여를 했으면 뭐요?
결국 님이 하는 얘기는 연대는 의대가 기여도가 크다. (115점 중에 20점이 의대쪽에서 나온건데 이게 그렇게 큰지는 모르겠음. 물 화 각각이 더 점수 큰데..)
교원수가 많으면 유리하다 (틀린말은 아닌데 단순 전체 교원수 따지는건 의미는 없음. nature index에 영향을 끼치는 교원수가 중요하지.)
그래서 결론은요? 결론은 연대는 의대빨 교원수빨이다 그런거 아닌가요?
nature index가 정량평가긴 하지만 그냥 논문편수를 따지는게 아니라 저명한 저널에 나온 논문 양을 따지는거에요. 이거랑 비슷한게 레이든의 상위 10% 논문 편수 이구요. 이 두개 지표보다 대학실적을 잘 표현하는거는 없다고보는데 남들이 납득할 수 있는 지표가 있으면 가져와보세요.
님이 계속 얘기를 하는건 P가 Y에 밀린건 교원수 때문이다 의대가 없기때문이다 그렇게 우기는거밖에 안됨. nature index가 규모작은게 불리하다는거 모르는 사람이 여기에 있을까요? 규모탓이든 무슨탓이든 상위논문의 편수로 비교했을때 밀리면 밀린거지 왜이리 혀가 깁니까. 님이 말하는거 (교원수 많으면 유리하다) 모르는 사람도 있어서 얘기하는거 아니잖아요 그걸로 물타기 하고 싶은거지. Y는 의학실적 없이도 P를 최근 5년간 4번 이겨왔으니 의학 얘기는 그만하시구요.

2023.06.29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이미 다 위에 썼으니 더 할말이 없음. 스스로 컴플렉스가 있는지 오히려 되돌아 보셨으면 좋겠네요.

2023.06.29

현재 대학 실적 평가에 있어서 제일 훌륭한 기준이 Nature index와 레이든인데 다른 좋은 기준이 있으면 직접 만드시든 가져오시든 하면 될거구요.
바보가 아닌이상 정량평가는 숫자가 많은 쪽이 유리한건 압니다.
다만 nature index에 중요한 학과의 교원수가 P가 결코 Y에 유의미하게 밀리지 않는데 계속 그걸로 얘길하시네요. 참고로 화학은 화학과와 화공과 외에는 관여하는 과가 사실상 없을텐데요.
Y화학 20
Y화공 24
P화학 28
P화공 24
P가 화학쪽에 8명이 더 많구요.
스코어는
Y 39.36
P 54.41
이네요.
교원수당 점수는
Y 0.895
P 1.046
교원수대비 P가 약 10% 넘게 더 실적이 좋구요.
다른 분야도 이런식으로 굳이 비교를 할 수는 있겠죠.
화학과가 제일 계산하기 편해서 (화학 화공 외에는 거의 고려안해도 되니까) 한거구요.

단순히 P는 교원수가 작고 Y는 교원수가 많으니 Y가 유리하다? 글쎄요. S가 유리하겠죠. S는 명백히 각 과의 교수가 많으니까요. Y는 화학과가 대표적인데 교수 숫자가 적어서 전혀 동의가 안됩니다. 쓸데없는 과까지 다 긁어모아서 전체교원으로 물타는것도 전혀 동의가 안되구요.

2023.06.29

저는 컴플렉스는 없는데요. 제 논문 뻔히 nature index에 나오구요.
P들이 핑계대는게 좀 보기 안쓰럽긴해요. 컴플렉스 없는 사람들은 평가지표 결과 나오면 그런가보다 하는데 P나 ist는 유독 Y에 밀릴때마다 규모타령 전체교원수타령 등 온갖핑계를 대는데 실상 주요과 교수숫자 따져보면 비슷해서요 (DG는 실제로 교원수가 적긴한데 실적은 더 적으니 할말이 없을것임. U나 P는 주요과의 교원수가 Y랑 비슷하므로 실질적인 차이가 별로 없음.)
어쩌다 Y에 지는 지표가 보이는족족 온갖 핑계를 대는 P가 컴플렉스가 있는건지 SKP에 각종 지표 밀려도 별 생각없는 Y가 컴플렉스가 있는건지는 스스로 생각해보세요.

2023.06.29

라이덴 랭킹으로 상위 놈누 비율로 보았을 때 서울의 y가 지방의 y에 미치지 못하는 현상. ㅎㅎㅎ

대댓글 4개

나른한 공자*

2023.06.29

또 변명
청승맞은 버지니아 울프*

2023.06.29

2023 라이덴랭킹 종합순위 (상위 10% 논문수 기준)
공동저술 논문 가중치 반영 : 서 연 성 KAIST 고 한 경희 울 경북 포 UNIST
공동저술 논문 가중치 미반영 : 서 연 고 성 KAIST 한 경희 울 세 경북 포 부 UNIST

2023.06.29

그 상위 논문 비율보면 영남대(님이 말하는 지방y겠죠)가 서울대보다 높음. 영남대>서울대라는 소리?
일부러 연세대깔려고 자꾸 헛소리하나본데ㅋㅋ
비율이 뭐가 중요함? 애초에 영남대는 논문자체가 안나와서 분모가 작은데 그중에 유명교수가 몇명있어서 상위논문비율이 높은건데ㅋㅋ
상위논문편수로하면 연대가 2등아니면 3등임.
어디서 비율같은 쓸데없는 지표로 왜곡하려드냐

2023.06.29

내가 영남대 편을 들줄이야!! 야 영남대도 그런 논문이 수천편이야. 정신차려.

2023.06.29

제말은 당연히 서울의 y가 지방의 y보다 좋겠죠. 그리고 서울의 s가 서울의 다른 s보다 좋겠죠. 그냥 재미로...

대댓글 1개

2023.06.29

님이 비율이라는걸 가져와서 헛소리하는거임.

그 상위 논문 비율보면 영남대(님이 말하는 지방y겠죠)가 서울대보다 높음. 영남대>서울대라는 소리?
일부러 연세대깔려고 자꾸 헛소리하나본데ㅋㅋ
비율이 뭐가 중요함? 애초에 영남대는 논문자체가 안나와서 분모가 작은데 그중에 유명교수가 몇명있어서 상위논문비율이 높은건데ㅋㅋ
상위논문편수로하면 연대가 2등아니면 3등임.
어디서 비율같은 쓸데없는 지표로 왜곡하려드냐

2023.06.29

근데 재미로 보는 랭킹이라도 디지스트랑 지스트는 매번 부산 경북대 보다 떨어지네. 과기원은 유니가 독보적이긴 한가 봄

대댓글 7개

2023.06.29

난 타 학교 비교는 제쳐두고.. ist 내에서 원래 유니가 규모나 인기분야 랩 수 보면 당연히 디, 지보다 훨씬 잘하지않음??

2023.06.29

U도 확실히 하향길 접어들었음.
스코어 90->75->60 매년 추락중임
U가 너무 빡세게 교수실적 들볶으니 실적 낸 다음에 다른학교로 도망가서 그럼.
다시 교수 뽑아도 예전처럼 잘하는 교수들이 점점 없는거지.

2023.06.29

유니가 독보적인건 확실한데 디지스트 지스트는 작년까지 한양대 다음이긴 했음. 올해에는 건강과학 분야를 넣었다고 그랬잖음. 갑자기 순위가 확 떨어진데에는 그게 영향이 있지 않을까? 포도 원래 국내 3위 유지하다가 갑자기 5위 됐는데..종합대 순위들 순위가 올라간건 건강과학 분야 때문인듯

2023.06.29

존필즈님 DG는 작년에도 낮았어요.
건강과학이 근데 아예 다른분야는 아닌게 바이오분야 논문이 양쪽 걸치는 경우가 많음.
내 논문도 바이오랑 건강 양쪽에서 카운트되더라고.
완전 바이오쪽 논문인데

2023.06.29

DG는 작년에도 낮았지만 부산 경북보다는 낮지 않았음. 그리고 건강과학분야는 당연히 의대를 말하는게 맞을듯 바이오를 건강과학과 자연과학으로 더블로 체크해서 평가하는 곳이 어디있음. 그것도 네이처가..더블로 체크했으면 저 순위는 완전 바이오쪽이 누가 강하냐 아님

2023.06.29

존필즈님 네이처인덱스 잘 모르나본데
같은 논문이 물리와 화학 양쪽에 모두 포함되기도 하고
생물과 건강 양쪽에 모두 포함되기도 해요.
그리고 작년 네이처인덱스에서 디지스트는 부경아래였고
그전에도 디지스트는 부산대보다 아래거나 둘다보다 아래였는데 왜자꾸 찾아보지도 않고 아무렇게나 가져다 붙이는지?

2023.06.29

유니스트가 교수들을 들볶는군요.. 그래서 다들 실적이나 논문이 좋았던건가..근데 막상 유니계신 잘하시는분들 다 이직..하시는..
쇠약한 존 케인즈*

2023.06.29

위 의견들에 추가하면 네이처 인덱스에서 주의할점은, 의대가 있고 없고 차이가 아주아주 크다.. (미국도 마찬가지..) 따라서 분과별로 Physical Science 끼리 비교하거나, 추려서 비교하는 것이 필요함~

대댓글 14개

2023.06.29

의대가 있고없고 차이가 안큼. (한국)
점수 대부분은 물리와 화학에서 나옴.
생물쪽 점수 자체가 낮음.
의대 있다고해서 한 5점 정도 올라가려나?

2023.06.29

그리고 의대가 있는것도 장점인거고
우리나라는 무슨 공산주의인가?
의대있는 학교도 있고 없는 학교도 있으니까 모든학교 의대 없는거처럼 빼자고 하질않나
규모가 학교마다 다르니까 규모작은 학교 보정을 하자고 하질 않나ㅋㅋ
Y맨날 까다가 Y가 생각보다 점수가 높으니 별의별 헛소리가 다 나오네ㅋㅋㅋ
그냥 점수 나온 그대로가 학교 스펙이지.
의대가 있는것도 스펙이고 교수 숫자가 많은것도 스펙 아니냐?
참고로 Y는 문과 예체능 포함해서 과의 종류는 ist같은 곳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지만 물화생등 메이저 과의 교수 숫자는 ist랑 비슷하고 서울대의 50~70%수준이야.

2023.06.29

톨스토이 y대학원생 왤케 극성이냐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3.06.29

박사 졸업했는데 왠 대학원생;;
이 악물고 연대까려고 댓글다는건 위의 사람들인데?ㅋㅋ
지방y(영남대)가 연대보다 상위논문 비율높다고 억까하고ㅋㅋ (연대랑 서울대랑 그 비율 거의 같아서 영남대, 세종대 등이 비율로는 서연고 다 앞지름)
한국은 의대 실적 별로 없어서 있어봤자 별 차이 없는데 의대빨인거처럼 까내리고ㅋㅋ
의대얘기하는게 결국 Y까내리는거지ㅋㅋㅋ
니들이 맨날 Y 개무시하다가 레이든이나 네이처인덱스 등 실제로 실적 비교해보니까 할말없으니 이악물고 억까하는거 너무 웃김ㅋㅋ
레이든에서 상위 논문 편수 10%는 서울대에 이어 2위, 5%와 1%는 서울대 카이스트 이어 3위,
네이처인덱스에서는 서울대 카이스트 이어 3위
P든 ist든 논문 실적 질과 양으로 비교하는 두 지표에서 탈탈 털려버림..

2023.06.29

바로 윗 분은 참으로 한이 많은 분임. 무엇이 이 분을 이렇게 까지 만들었는지 궁금함.

2023.06.29

랜덤 닉네임이 각 글마다 부여되는걸로 알고 있는데 각 글마다 톨스토이라는 닉네임은 y대변자네 ㅋㅋㅋㅋㅋㅋ

근데 의대 포함돼서 맞는거 같음. 종합대 순위가 전반적으로 높아진데에는 이번년도만 건강과학분야를 추가했다고 하니.. 종합대와 과기원 순위가 저렇게 확 바뀐거는 2022년 이후로 처음 아닐까

2023.06.29

연대가 영남대보다 좋다고 하잖아.

2023.06.29

러더퍼드님은 ist훌인지 매번 비율같은거 가져와서 이악물고 부정하는거 아닌가요?ㅋㅋ
난 네이처인덱스, 한빛사에 내 논문도 나오고 님보단 최소 실적 좋을거 같은데..
그동안 김박사넷에서 실적 알지도 못하면서 분위기 휩쓸려서 ist를 YK이상으로 올려치기하는거보고 nature index나 레이든에서 보고서 도대체 ist가 어떤점에서 올려치기되는건지 이해를 못하고 사람들하고 댓글쓰니까 많은 사람들이 이제는 ist가 별거 없는거 알아가던 중이더라. 그저 분위기로 YK 억까하고 ist올려치는 사람들이 문제인거지. 이제 네이처인덱스 갱신되고 점수 딱 나오니까 할말없으니 비율이 어쩌고저쩌고 규모가 어쩌고저쩌고 의대가 어쩌고저쩌고ㅋㅋ 예상하는 반응 나오네.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해서 이악물고 부정하는 사람들ㅋㅋ

존케인즈님 내가 착각했는데 이번에 건강 카테고리 추가되서 의대효과가 생각보다 크긴함. 그래서 의대있는 학교는 의대없는셈치라는 얘기는 아니시겠죠? 그동안엔 의대관련 저널은 카운팅 안했는데 올해부터 카운팅을 해서 의대가 있는곳이 이득본건 맞는데 의대가 없는 학교에 불공정하니 그 점수는 빼야되나요?

2023.06.29

존필즈님 근데 2년전인가 P랑 Y랑 네이처인덱스 5점이하로 차이닌적 있었어요. 그때 Y가 P이겼었구요. 애초에 P랑 Y는 건강쪽 아니어도 점수차이가 별로 없었답니다.

러더퍼드는 영남대가 연세대보다 좋다고하는 또라이니 무시하도록 하겠음ㅋㅋ 이악물고 Y깎아내리는 모습을 보니 기분이 좋아지네요ㅋㅋ 자기네학교는 어디길래ㅋㅋ
체한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3.06.29

y 진짜 자격러더퍼드가 ist를 언급한적도 없는데 왜저래

2023.06.29

건강과학 넣은게 문제될건 없는거 같음.
lancet nejm 등 저명한 곳 위주로 넣었더만.
그동안 그게 카운팅안되는게 오히려 문제 있었던거임.
앞으로는 ai관련한 저널들을 추가할지도 모르지.
지금은 너무 물화생지 위주라서.
그리고 무엇보다 건강과학저널 없을때도 연대는 포 누르고 3위 계속했었음 최근에 밀린거지.
예전 순위도 네이처인덱스에서 볼수있으니 확인하면됨

2023.06.29

톨스토이님 우리 저번 qs랭킹인가때도 같이 댓글 달지 않음?ㅋㅋㅋㅋㅋ
연대가 이공계만 따져도 DG 위에 있는건 확실하죠. 근데 이공계 연구가 포 위에 있다는건 좀 아니다 생각함.
Ist훌들 신경쓰지 마셈. 어차피 이공계있는 사람 아니면 ist알지도 못할만큼 경쟁력이 강한 학교 아님. 아무리 ist가 연대 위에있다는 지표를 가져와봤자 아는 사람은 다 안다는거.. 근데 포 위에는 좀 아니죠 spk는 spk임.

2023.06.29

네이처인덱스 국내 탑3
2023 서카연
2022 서카포
2021 서카연
2020 서카연
2019 서카연
최근 5년중 4번 연이 3등이었음

2023.06.29

네이처인덱스가 진리라는 것은 아닌데
네이처인덱스 지표에선 (특히 건강과학 넣은 이후로는)
포가 연을 이기기 힘들것임.
포가 훌륭한건 맞는데, 카가 대부분의 평가 지표에서 항상 연을 이기는것과 다르게 포는 부족한 점들이 있긴함.
논문성과 갯수가 밀린다든지 교수숫자가 부족하다든지.
그렇기에 자꾸 포가 김박사넷에서 오르내리는듯.
연이 포를 무조건 이긴다 라는 얘기를 하려는 것도 아니고
그동안 김박사넷에서 하도 Y를 개무시하고 ist에 붙이길래 실적지표로 봤을때 Y는 ist랑은 비교불가고 평가기준에 따라서는 포를 이기는 경우도 꽤 있다 (네이처인덱스, 레이든 등) 는 것을 얘기하고 싶은 것임.
ist쪽에선 인용지수, 1인당 어쩌고, 상위 x% 논문비율 등 가치없는 지표가지고 와서 본인들이 우위라는데 어이가 없었어서 진짜 제대로된 지표로 비교해보자는 얘기였음.

2023.06.29

왜 그렇게 흥분합니까? 사릴이잖아요? 각 랭킹은 저마다 보는 관점이 다른데 모든 랭킹에서 연대가 다 좋아야 하나요? 원문의 랭킹을 내가 부정했나요? 상위논문 비율로 하면 연대는 국내 10등이고. 뭐가 어떻단 말이죠?

대댓글 7개

2023.06.29

이분은 영남대 세종대 이화여대가 서울대보다 좋답니다ㅋㅋㅋㅋ 아이디도 2개쓰는 사람이네 라부아지에로 왔다가 안먹히니 다른아이디로 같은소리 하네ㅋㅋ
그 비율 서울대랑 연세대랑 같은데 의도적으로 연세대만 까는게 연세대 대학원입시 떨어지셨나봄?

2023.06.29

저도 연세대가 영남대보다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여기에 계신 어떤 분들은 지나치게 자신의 대학을 실제보다 과장하거나 남의 대학을 낮추기 위하여 혈안이 되어 있는 느낌을 자주 받습니다.

2023.06.29

다른사람들은 님이 딴지건다고 생각할걸요?
굳이 영남대가 연세대보다 상위논문 비율이 높다고하면서ㅋㅋ
서울대얘기는 왜 안하세요ㅋㅋ 서울대랑 연세대랑 비율 똑같은데요.
그동안에 김박사넷에서 연고대 개무시하던 분위기가 팽배하고 ist는 대단한곳인마냥 추켜세워왔는데 실적지표에서 연고대가 ist 압살하는게 사실이구요.
이 글은 제가 안썼지만 네이처인덱스라는 결과를 얘기하는건데 굳이 거기와서 '영남대가 연세대보다 상위논문비율 높은데요?' 이딴소리 하고있고ㅋㅋ 영남대 세종대 이화여대가 서울대보다 상위논문비율 높아요ㅋㅋ
그 비율이 대체 뭐가 중요한데요ㅋㅋ 논문자체가 안나오는대학들인데. 상위논문편수 서울대1등이고 연카가 2,3등인데. 님이야말로 무시할만한 연대가 예상외로 성과가 높으니까 어떻게든 이악물고 까내릴거 교묘하게 얘기하는거 뿐이죠.

2023.06.29

본문에는 어떤 의도가 있겠죠? 갑자기 왜 nature index를 들고 왔겠습니까? 저는 그러한 시각도 있지만 다른 시각도 있다고 예기한 것 뿐이예요. 언급된 것을 보면 서울 s대도 있는데 왜 연대만 발끈 하실까?

2023.06.29

님이 언제 서울대 얘기했음ㅋㅋ 지방y 서울y 얘기를 했으면서ㅋㅋㅋㅋ 누가봐도 연대까려고 하는거지ㅋㅋ
원글은 네이처인덱스 결과 그대로 가져온거지 아무런 의도가 없는데?
QS랭킹 그대로 가져와도 의도가 있는거라고 생각함?
본인이 피해의식있는지 아무런 메시지없는글에 반응해서 '연대따위가 3등? 말도 안돼. 아 영남대가 연세대보다 상위논문비율 높으니까 이거로 물타기 해보자.' 님이 이 의도인건데요?
상위논문비율 같은 쓸데없는 팩터 가져오는게 의도가 있는행위이지. 순위 새로 나와서 그대로 가져온게 무슨 의도가 있음?
네이처인덱스의 점수순위랑 레이든에서 상위논문편수 이 두개는 가장 실적을 잘 반영하는 지표인게 팩트임.
QS랭킹같은 쓰레기랑은 차원이 다른거임.
근데 그 순위가 본인생각하고 다르니까 억까를 하고있잖음?ㅋㅋ

2023.06.29

난 분명히 예기했어요. 연세대가 영남대보다 좋다고요. 그냥 저런 랭킹도 있다고 예기한 것 뿐이고요. "그 동안 쌓인게 많았나봐."

2023.06.29

얘기를 예기라고 알고있는 무식쟁이랑은 말 섞고싶지 않아요. 오타가 아니라 맞춤법을 잘못알고 있는게 확실하네요. 의도적으로 네이처인덱스 순위가 맘에 안든다는 이유로 아무도 관심없고 의미없는 데이터 가져와서 굳이 지방y가 서울 y를 이기는 지표가 있다 같은 헛소리하는 사람은 상대하고 싶지 않음. 앞으로는 무시할테니 수고하시구요.
순수한 제임스 맥스웰*

2023.06.29

저널이 네이처만 있는것도 아니고..ㅋㅋ 재미로 봅시다

대댓글 1개

2023.06.29

네이처꺼만 가지고 평가하는거 아닌데요;; 누구나 인정하는 저명한 저널 전부 들어가 있답니다.
jacs angewandte am prl embo 등

2023.06.29

여긴 과학한다는 사람들이 모인곳인데 말하는거보면 과학재능이 없는 사람들이 모인거 같음.
주장을 하려면 팩트체크는 기본인데 일단 자기 생각부터 얘기함.

1. 종합대 순위오른게 건강저널 추가해서 그런거다?
이 가설 검증은 간단하다. 건강저널 추가전을 보면된다.
건강저널 득을 확실히 본건 울산대다. 울산대는 의대를 제외하곤 실적이 거의 없기에 이번에 실제로 점수 및 순위가 대폭 올랐다. 연세대도 득을 보긴 했다. 이제 이전 순위를 비교해보자.
네이처인덱스 국내 top3 최근 5년
2023 서카연 (아 연대가 건강저널 득 보긴했나보네ㅋㅋㅋ)
2022 서카포 (거봐 건강저널 없을땐 연대가 포 못이기잖아)
2021 서카연 (엥?? 이때는 건강저널 없었는데..?)
2020 서카연 (???)
2019 서카연 (연대가 계속 3위였다고?)
과학을 하는 사람이면 이정도 체크하는건 기본이다. 네이처인덱스는 상위실적 편수 (실제로는 편수도 편수인데 저자 소속 비율이 중요하다. 네이처에 저자 10명이고 서울대 소속 2명 하버드 소속 3명 카이스트 소속 2명 연대 소속 1명 포공 소속 2명이면 각 대학이 0.2 0.3 0.2 0.1 0.2씩 나눠먹는다.) 로 점수 매기기에 생각보다 상위실적 편수가 딸리는 포공이 원래 3위를 한 적이 별로 없다. (SK가 1위 2위 항상 고정이었음.)

대댓글 5개

2023.06.29

2. 연대는 종합대라 교수가 많잖아ㅋㅋㅋㅋ P랑 ist는 규모가 작다구ㅋㅋㅋ

이것도 간단하다. 네이처인덱스에 영향을 주는 과의 교수 숫자 세어보면 된다. 편의를 위해 김박사넷 등록된 교수 숫자를 기준으로 한다.

물리학과 교수
서울대 50
연세대 27
고려대 26
카이스트 38
포공 29
U 24
D 21 (D는 물리와 화학과가 하나로 합쳐있는듯 하다. 각각 반절로 생각하자.)
G 18

화학과 교수
서울대 37
연세대 20
고려대 23
카이스트 28
포공 28
U 28
D 21 (D는 물리와 화학과가 하나로 합쳐있는듯 하다. 각각 반절로 생각하자.)
G 14

일단 물리와 화학과만 가져왔다. 각 대학의 점수는 보통 물리랑 화학에서 대부분 나온다. 각 카테고리 점수 다 더하면 그 대학의 점수보다 높다. 건강쪽과 바이오쪽에 동시에 점수 올라가는 논문이 (즉 겹치는 논문) 많아서 그렇다. 한국에서 바이오쪽은 점수 비중이 타 분야에 비해 낮다. (미국 제외하면 다른 나라도 그렇다.) 그래서 물리랑 화학 교수만 가져온거다. 물론 재료과나 화공과 등 해당 카테고리에 영향있는 과들도 많지만 물리나 화학과가 점수의 비중이 클 것이다. 정 필요하면 재료과나 화공과도 비교하면 되는 것이다.

연세대는 화학과 교수가 겨우 20명이다. DG를 빼면 위의 대학중 꼴등이다. 연세대는 실제로 규모가 작다. SK에 비해 교수 숫자가 압도적으로 적다. 네이처인덱스 점수에 쓸데없는 과만 더럽게 많다. (문과 예체능쪽 과 엄청나게 많다.) 근데 일부 P나 ist는 교수 숫자는 세어보지도 않고 Y는 규모가 크니까 점수가 잘 나온댄다. 각 과의 교수숫자는 차이가 별로 없다. 화학과처럼 연세대가 오히려 작은 경우도 있다. 물론 과는 더 많으니 P에는 없는 과가 있기는 하겠지만 메이저과도 아닌 과에서 얼마나 네이처인덱스에 기여를 할까? DG는 규모가 실제로 작다. 근데 실적양은 더 작다. DG는 규모탓을 하지말고 논문이나 내라.

2023.06.29

3. 연대는 영남대보다 상위논문비율 밀리더만ㅋㅋㅋㅋㅋ

이거는 솔직히 어이가 없다.
레이든 평가에서 상위논문비율을 언급하는거 자체가 ㅂㅅ인증이다 사실. 상위논문비율 전세계 1등은 록펠러대학이다. 거기가 우리가 평상시 명문대로 언급하는 대학인가?
상위논문비율은 상위논문수/전체논문수 이다. 상위논문수가 높은대학은 규모가 큰 대학이고 당연히 전체논문수도 엄청 많다. 분모에 비해 분자만 올리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근데 소규모 대학 (또는 실적을 못내는 대학)은 가능하다. 전체논문수가 매우 적기에 뛰어난 교수 한두명이 좋은논문을 내면 상위논문비율이 올라간다.
그래서 현재 SKY대학을 앞서는 대학이 영남대 세종대 이화여대이다. 그래서 그 비율이 의미가 있는가?
정상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이면 상위논문편수로 비교를 할 것이다. 상위논문편수는 서울대 연세대 카이스트 순이다. 상위논문비율은 유니스트 ... 영남대 ... 서울대 이런순서다. 뭐가 신뢰성이 가는지는 각자가 판단해보자.

2023.06.29

4 더 하고싶은 말 있는 사람?
과학을 한다는 애들이 수준이 이정도니까 우리나라 과학이 아직도 세계 8위수준인거다.. 나는 의대버리고 과학쪽 왔다만 우리나라는 머리 돌아가는 애들은 죄다 의대가버리니 원..
니는 실적 뭐냈냐 라고 하고싶은 사람은 네이처인덱스에 본인 논문 올려보기는 하고 얘기하자.

2023.06.30

근데 재료과나 화공과는 무조건 포함해야될거 같은데... AM, AFM, ACS nano, Nano letters, Nature Materials, Nature Photonics, Nature Nanotech 이런 곳들은 아마 물리나 화학 카테고리에 포함될텐데 저 분야는 화생공이나 재료과에서 훨씬 많이 쓸거 같긴함.

2023.06.30

톨스토이야 열심히 조사한듯한데 헤르만 헤세 말대로 재료, 화공은 자연과학 연구 많이하기에 포함 안하면 니 주장도 구멍 송송난 주장
못된 공자*

2023.07.01

의대를 빼고 순위를 다시 봐야. 의대 있는 학교와 없는 학교에 따라 다름. 그리고 공대는 nature index가 기준이 될수는 없음. 본인이 원하는 기준을 정하고 그걸 따르라 하는 오만한 주장하비 말길.

대댓글 2개

2023.07.01

의대 있는 학교 없는 학교 있으니 빼야된다라.
교수 숫자도 다 다르니 교수 숫자 동일하게 보정하고 다 해야겠네요ㅋㅋ
왜 학교를 있는 그대로 생각을 안하고 본인 기준대로 공산주의마냥 재단하려하는지? 님이야 말로 본인이 기준 정하고 따르라 하는데요?
네이처인덱스를 제가 만든것도 아닌데 무슨 님이 말하는 본인이 누구죠? 기준을 위에 댓글쓴 사람들이 만들었는지? 네이처인덱스에서 정한 기준이 다른 평가 기준들보다 공정해서 인정을 받는거고 그 순위를 가져온건데 님이 생각하는 순위가 아니니까 차떼고 포떼고 (님이 좋아하는 대학은 의대가 없겠죠?) 하라니요ㅋㅋㅋ 할말이 없네요
못된 공자*

2023.07.01

빼라는게 아니고 따로 분야별로 따로 계산하라는 것임. 자연과학과 공학도 분리하고. 외국인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