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거국은 명성만 봤을때는 부경 빼고는 다 고만고만함 하지만 사실 지거국끼리 비교 자체가 별로 의미가 없는게 더 팩트 본인 국책 협업으로 부경전 다 가봤지만 수준차이 리얼 1도 없음 도찐개찐임
2023.09.29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물리는 경북대가 예전 부터 유명하고 나머지 지거국들은 bk과면 연구 인프라ㄱㅊ음 우리랑 코웍 자주하는 그룹많고
2023.09.29
부산대 경북대말고는 그닥입니다.. 충남대가 근처 연구소가 많아서 그나마 괜찮은거같고요 아마 학부 입결도 부산 경북 나머지 순서일겁니다
2023.09.30
Spk나 과학 기술원을 제외하면 랩바랩입니다. 학교 이름은 그저 껍데기일 뿐 본인 연구 주제를 교수가 얼마나 신경쓰고 밀어주느냐가 중요해요.
2023.09.30
이런 질문들 대부분의 의도는 랩이나 지도교수 명성은 모르겠고 in서울 대학원은 지리적으로나 거주비나 본인실력이 모자라니까 차선책으로 지거국 순위라도 매겨서 학위세탁 하려는 것이 90%인듯.. 학부순위가 대학원이랑 뭔상관이야 대학원 갈꺼면ㅋㅋ
2023.09.30
부산경북 전남 충남전북충북 강원경상 제주
굳이 학부생 수준으로만 따지자면 이렇지만, 대학원은 부경 제외하면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 같네요
2023.10.01
의미없어요ㅠㅠ
2023.10.02
윗분들도 많이 말했듯이 대학원 선택할때는 자신이 원하는 연구랑 지도교수랑 얼마나 핏이 맞는지가 중요해요. 그 다음 인프라, 지원, 동학들의 수준을 고려해야 하고요. 학교 명성은 중요한 기준이 아닙니다. 특정 과만 고려해달라는 것도 아니고... 그래도 대체적으로 보면 부산 경북 충남 전남 전북 충북 경상 강원 제주 순입니다. 대체로 부산이 가장 규모도 크고 그렇고요. 그렇지만 윗댓글에 달린 것처럼 물리 같은 특정과만 놓고 보면 경북이 좋은 곳도 많습니다. 충남이 전남보다 원생도 많고 교수도 많고 주변 타대도 많아서 교류도 많고 좋은 점이 많습니다. 소위 말하는 부경전충 이외엔 충북대 학생들이 수준이 좋지만 의외로 규모도 작고 열악합니다. 대신 전북에는 훌륭한 교수님들 많고요. 그치만 이것도 대략적인 이야기고 윗댓글부터 계속 언급하듯 과마다 다릅니다. 부산대는 생명시스템학, 지구환경시스템학, 화학 이런 과가 괜찮고, 경북대는 전통적인 자연과학들 생명과학, 화학, 물리학이 괜찮고, 전남대는 융합식품바이오, 충북대 생명시스템학은 부산 다음으로 괜찮고 그리고 관측천문학하러 가기도 하고, 경상대는 응용생명과학이 엄청 잘나가고, 강원대는 농대쪽, 전북대는 축산쪽, 제주대는 해양생명과학이 좋습니다.
2023.09.29
2023.09.29
대댓글 1개
2023.09.29
2023.09.29
2023.09.29
2023.09.29
2023.09.29
2023.09.29
2023.09.30
2023.09.30
2023.09.30
2023.10.01
2023.10.02
2023.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