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처음으로 글 올립니다. 질문 하나 해도 될 까요?(핑프라고 느끼시다면 죄송합니다;;)
2023.07.27
3
1069
안녕하세요, 전 YK 에서 토목환경 4학년 1학기을 끝낸 학부생입니다. 주위에 사람이 거의 없어 여기에 대학원 입시에 관해 질문 하고자 합니다.
1. 혹시 자대생들도 학점 엄청 많이 보는지?, 편입생 차별하는지? 일단 전 환경쪽으로(환경 소재, 환경 생태 등..)정했습니다. 학교는 자대 외에는 별다른 생각 없습니다. 문제는 제가 학점이 그닥 좋지 않은데.. 이번 계절까지 반영 결과 3.74/4.3(4.5 환산 시 3.92, 등수로는 24/119)가 나옵니다.. 제가 듣기론 기본적으로 4점대가 나와야 안정권이라고 들었는데(제가 잘못 안 것일 수 있고 사실 물론 타대로 갈 경우이긴 합니다만) 혹시 자대 대학원 진학 시에도 이처럼 빡세게 보나요? 그리고 전 편입생이라(편입 전 학교는 국숭세단, 학점은 3.8/4.5이고 등수 불명) 나중에 면접 볼 때 불이익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참고로 전공 학점은 전체 학점보다 0.02정도 높습니다) 또한 1학년 부터 지금 까지 들은 과목 중 3개가 C+이 있는데(셋 다 교양이며 두 개는 전적대 대학 영어, 하나는 현재 학교에서 들은 생물 실험) 이에 대해서 많이 안 좋게 볼 까요?
2. 보통 자소서는 어떻게 쓰고 컨택을 언제부터 하는게 좋을지?
음.. 우선 이번 년도에 졸업한다고 가정 시 (이번년도에 졸업 목표지만 만약 학부 시간표가 겹치게 된다면 내년 1학기를 마치고 가려 합니다) 컨택은 7월 말~8월 초에 하는 것이 늦은 걸까요? 어느 연구실에 들어갈 지는 2군데로 좁혔습니다. 자소서 분량은 어느 정도가 좋으며 관심 있는 교수님 논문은 얼마나 참고하면 좋을까요? 그리고 자소서에 전공과 관련된 자격증도 언급하는 것이 좋을까요? 컨택이라 하는 것이 혹시 예비 구술고사(?)비슷한 건가요? 컨택 할 시 대체로 교수님께서 전공과 관련해서 테스트하고 그러진 않나요?
글을 조리있게 못 써서 죄송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개
2023.07.27
라떼는 4.0이면 손가락안에 들었는데.. 허 시대가 달라서 조언은 안되겟지만 스크리닝 프로세스에서 편입생 자대생 구분은 없을것 같네요. 이공계 대학원 진학은 자소서 보다는 실험실 진학에 관심있다 메일보내시고 어필하고.. 입시합격하면 들어와라... 하는식 입니다. 요즘엔 졸업전에 미리 인턴으로 들어가서 경험하고 정한다는데 윈윈인거 같더라고요. 관심가는 실험실 찾아보고 거기서 뭐하는지 알아보고 들어가서 어떤걸 배우고 뭘 연구하고싶은지 잘 생각해보세요
대댓글 2개
2023.07.27
자대생이든 편입이든 뭐든 연고대 4점대 근접 학생이면 대부분 교수님들은 한번 면담하러 와보라고 하지않을까 싶네요. 학점 너무 걱정마시고.. 위에 이야기한대로 연락해보고 관심잇다하고 그럼 들어와서 인턴해봐라 혹은 지원해봐라 확답 받는 절차를 컨택 이라고 말합니다. 교수입장에서도 지원자를 많이 받아보고 결정하는게 좋다보니 바로바로 확답받기는 어렵긴 합니다만.. 잘되느냐 아니냐는 연수비상황(TO)과 다른지원자들 수준에따라 변수가많으니 운의 영역이 되겟네요. 연락은 안바쁜기간에 미리미리 하는게 좋을듯하네요
2023.07.27
대댓글 2개
2023.07.27
2023.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