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름이 아니라 학위졸업 후 정출연이나 학교로 가고싶은데 그럴 때 어떤방향의 논문실적이 도움될까요..
연구자로서 높은 연구를 하고싶은 마음은 굴뚝같지만 나중에 취업할 때 논문점수는 IF가 낮지만 다작이 좋다고 하여 참 고민입니다..
물론 고민을 한다고 해서 제 마음대로 높은 저널에 넣을 수 있는건 아니지만서도 새로운 실험을 계획하고 할 때 괜히 2-3년 이상 걸릴 실험같은 경우는 피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참 어리석은 질문인 것을 알지만 선배 연구자분들께 여쭙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3.08.23
정출연 : 공고에 나온 분야와 내 연구분야가 fit한지가 중요. KIST 제외하곤 논문 실적 그닥이어도 같이 연구경험있고, SKP고, 분야가 정말 잘맞으면 잘만감 (KIST는 논문실적, 해외박사 및 포닥 유무가 매우 중요) -> MDPI나 10 % 아래급으로만 너무 다작 안하면 상관없음
학교 : 많을수록 좋은데 낮은데 다작이 아니라 높은데 다작인게 중요.
취업 : 논문 한두개 (높든말든) 있어도 상관없음 (뽑고 싶은 분야랑 맞으면)
대댓글 2개
2023.08.23
정출연/학교 모두 경험해본 사람입장에서 아주조금만 첨언을하면 정출연은 뽑고싶은사람이 있어도 사실상 서류통과까지만 가능하고, 그 이후 원장면접때 2-3배수 올라가서는 실적으로 거의 결정됩니다. 따라서, 실적은 절대평가보다는 상대평가 개념이 되며, 마찬가지로 낮은저널만쓰면 안좋은인식있을수도 있어요. 애초에 원장마다 추구하는 가치관도 다르고해서.. 거기는 정말 미지수입니다. 학교도 티칭학교인지, 아니면 어느정도 연구실적을 요구하는 학교인지에 따라서 많이 갈립니다. 인서울로 볼때 세종대 정도만 되도 연구역량은 크게 안보는편입니다. 주변에 mdpi다작으로 임용된경우도 많이봤어요. 그게아닌 학교들로 가면, 본인이 빅저널 쓸수있는지(지도교수 손을 벗어난 상태에서), 상황에 따라서는 다작도 가능한지 두가지 모두 검증된게 가장 좋은데, 단순한 다작으로 승부보는게 쉽진않을수도 있습니다. 분야마다 상이하니 그런것들도 고려하시면 좋겠꼬요.
2023.08.24
아마 지금은 교수님이시겠죠?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근데 mdpi 다작으로 교수가 되나요? 전 일반 재료/에너지분야라 그쪽은 내본적도 없거니와 주변에 교수 임용되시는분들은 학교 레벨 상관없이 탑티어 저널에 많이 게재하신분들이어서요.
IF : 2
2023.08.23
정출연이나 학교 포함 학계에 남으시려면 탑티어 저널 한편 이상은 필수 입니다. 대학의 경우 논문 다작이 필요하긴 합니다만, 탑티어 저널 하나도 없이 if 낮은것만 있다면 면접 뚫고 올라가기 힘듭니다. 그리고 정출연의 경우 논문 수만 너무 많으면, 오히려 대학 교수하고 싶어한다고 해서 안좋게 보기도 해요.
탑티어 저널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으니, 탑티어 저널 시도했다가 잘 안된것들은 낮은 if저널에 투고해서 논문 수 확보하세요.
2023.08.23
임용 노릴거면 대표논문 3개는 만들고 다작을 하던 하이임펙트 저널만 몇개 쓰든 생각해야됨. 대표논문 3개는 무조건 if높고 정통성 있는 곳 써야되고
대댓글 2개
2023.08.23
이게 맞음. 다작도 정도껏이지 대표논문 1~2개부터 IF 10 안되는 것 올라오면 정출연이나 학교에선 나머지 안보고 제낌. 일단 대표논문들은 좋은 거 낸 다음에 다작을 하든 말든 생각. 1편이라도 일단 IF 10 넘는 걸 가진 사람이 그거 없고 다작한 사람보다 평가 좋음. 그게 일차적인 목표고 나머지는 그 다음에.
IF 10은 대략적으로 이야기한거고 분야별 차이는 있으니 대충 그 분야에서 그 급으로 생각하면 됨.
2023.08.23
근데 대표논문도 3년 이내라 계속 만들어야되잖아 ㅋㅋㅋㅋ
짓궂은 토마스 홉스*
2023.08.24
높은 곳으로 하세요 그래야 실력이 쌓입니다.
2023.08.25
무조건 높은 if 논문이 좋습니다. 낮은 if 논문은 요즘 석사생들에게도 안통하는 전략입니다.
2023.08.23
대댓글 2개
2023.08.23
2023.08.24
2023.08.23
2023.08.23
대댓글 2개
2023.08.23
2023.08.23
2023.08.24
2023.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