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열심히 사는 대학원생의 지표..?

2023.09.10

10

4437


공대생 기준 열심히 하는 대학원생을 측정할 수 잇는 경험적 지표가 있을까요?

논문 갯수야 진리의 전공바이전공이지만,
박사과정 고년차(통합 4-5년차)라고 가정할 때 열심히 사는 대학원생이라면

1. 어느 정도의 퍼포먼스를 내고(갯수, IF..)
2. 어떤 마음가짐, 미래 계획을 세우며
3. 실질적인 일상(출퇴근 시간이나 주말 시간 보내는 방법)은 어떤가요?

* 제1저자 저널이 mdpi, plos one라면 이건 어떤가요?

저는 이공계는 아니라 비교는 불가하겟지만
저의 전공 기준으로는 열심히 사는 고년차(4년차)라면

1. 국내 논문 4-6개, 해외 저널 리뷰 단계
2. 학계에 남고 싶다면 포닥도 생각. 그게 아니라면 실적 더 내서 연구원 취직
3. 평일은 물론 주말까지 온전히 연구에 할애.

너무 추상적인 질문이긴 한데.
중요한 문제라서...!! 답변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3.09.1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주변에서 왜이렇게/어떻게 그렇게 열심히 하냐 라고 몇번씩 들으면 열심히 하는거임

2023.09.10

내눈이 높은건가 국내논문 mdpi는 실적으로 생각도 안하는데
졸업전 Adv mater ~ ACS nano 3편정도면 열심히 한게 아닐까 싶음.. 분야마다 다르겠지만 적어도 자기가 무슨연구하는지 영어로 쓰고 발표하는건 기본이고, 피어리뷰 제대로된곳에 내봐야지.
박사때 밤낮없이 살다보니 이제는 밤에 잘못자고 아침에 못일어나는 수면장애 생겨서 힘듬.. 잘하는 친구들은 규칙적인 생활 + 틈틈히 운동 챙겨서 하더라. 일찍자고 일찍일어나고 밥잘챙겨먹고 운동하고... 진짜 기본적인건데 이게 잘 안되니 하루하루 생산성이 떨어지는거 같음

대댓글 4개

2023.09.1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이공계가 아니라고함

2023.09.10

열심히 해도 졸업전 am acsnano급 못쓰는 애들이 태반이라 열심히 지표로는 너무 가혹한거 같고
잘하는거랑 열심히 하는거랑도 다른거라 그냥 절대적인 연구량 자체가 많이 친구들이 확실히 열심히 하는 애들임
결과까지 따라주는건 진짜 똑똑하고 운좋은 친구들이고

2023.09.10

우리렙에서 AM~ACSNANO 나오면 교수님이 뽀뽀해주실듯ㅋㅋㅋ

2023.09.10

우리랩도 나 입학할때는 어드벤 하나내면 경사였는데.. 어드벤에서 리뷰하나 써달라고 초대하더니만? 그뒤로는 서밋하면 줄줄이로 리뷰는 받게 해주더라고 ㄷㄷ
랩에서 저널 한번 뚫어봣느냐 아니냐가 차이가 큰가봐.
전자소자로 잘하던 친구는 어드벤 3개 쓰고 졸업하기도 하고.. 전기화학 잘하는데 머리도좋고 노력도 하는 친구는 어드벤3개에 나노레터 앙데반데 등등에 온갖 상도 다받고.. 포닥가서는 NS본지 자매지 계속내고 교수됨....
난 그중간 어딘가에서 AM acsnano 나노에너지 뭐 이런거 몇개 내고 나와서 만년포닥중... ㅋㅋ

2023.09.10

3번에서 주말의 경우 일의 능률을 올리기 위해 쉬어가는 느낌으로 주말을 보내는 듯 합니다. :) 그리고 주말에도 일할 수 있으면 일하구요
점잖은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3.09.10

열심히 한다의 기준은 개개인마다 천차만별. 어떤사람은 하루 14시간 주말포함 일을해야 열심히한다고 느낄수도 있고, 어떤사람은 하루에 3시간만 일해도 자기가 열심히 했다고 자위함.
하지만 본인은 전자가 열심히한다고 느껴짐.

1. 논문 갯수는 PI 성격에의해 좌지우지됨. 아무리 학생이 열심히 해도 PI가 절대 작은곳 안쓰려는 성격이면 논문 없음. 본인의 경우 4년차에 1저자논문 자매지1개.

2. 어떻게 하면 현재 분야에서 challenging 한것들을 breakthrough 할 수있을지 고뇌하고 고찰하고 이행해야함. 미래계획은(반년~1년) 러프하지만 최대한 명백하게 세움. 너무 먼 미래 (졸업 후)는 불투명하기 때문에 생각하지 않는 편.

3. 대학원생이 정시 출퇴근 이라는 개념을 가지면 안된다고 생각함. 대학원은 연구 하러 오는곳이지 돈벌러 오는곳이 아님. 스스로 모티베이션이 되어서 연구를 하게되는 순간 출퇴근은 의미가 없어짐.

2023.09.11

AM, ACS Nano는 애초에 학생의 순수실력으로 낼 수있는 저널이 아닙니다. 저기는 분야에서 탑급 저널인데, 겨우 3-4년 연구경험하고 전세계 탑급 연구실적을 낸다? 연구가 만만합니까 ㅋㅋㅋㅋㅋ? 그리고 위에 MDPI를 실적으로 안친다니 ㅋㅋㅋㅋ 원래 학생들 순수실력으로는 MDPI도 제대로 못냅니다. 제발 착각좀 하지말아요 ㅋㅋㅋ

공대생 기준 열심히하는 지표는.. 객관적인 지표가 있나 싶네요. 일과시간에 딴짓안하고 연구에 열중한다. 왠만하면 출근은 오전일찍한다. 한주간/2주간 계획세워서 미팅용 실험이 아닌 진짜 연구를 완성하기위한 실험을 한다. 간혹 일이 마무리가 안되면 일과시간 외에도 나온다. 정도 될듯하네요.

대댓글 1개

2023.09.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MDPI 정도는 학생들 혼자쓰고 교수가 10분만 봐줘도 가능함. 근데 땅바닥에 버릴 돈이 있어야함.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