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에서 분명 지도 교수가 저자들 제일 뒤에 포함되어 있는데, 교신저자표시는 1저자에게만 되어 있음. 보통 지도교수가 교신저자 아님?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젊은 빌헬름 뢴트겐*
2023.09.29
지도교수가 논문에 별 관심이 없는경우 1저자가 포닥인경우 종종 등등
2023.09.29
지도교수의 지도 없이 학생이 주도적으로 쓴 논문입니다. 물론 그 반대도 많습니다. 지도교수가 연구를 대부분 진행한 경우, 1저자 및 교신을 가져가고, 그다음 학생이름 순으로 적습니다. 국내에서는 못봤는데, 미국에서는 매우 흔합니다.
2023.09.29
저희 미국 교수님은 교신저자 별로 관심 없으세요 그냥 연래 받을 사람 표시하는거라고
대댓글 1개
2023.09.29
*연락
언짢은 미셸 푸코 *
2023.09.29
미박임.
여기서 교신저자란 논문 작성 포함 저널하고 주도적으로 연락을 한 사람을 의미함.
왜 그럴까 생각해 봤더니 1저자인 학생이 교신을 가져가건 말건 그 교수 이름 하나로 그 논문 연구를 전체적으로 지도한 사람은 이 사람이구나 하고 다 공감하는 분위기. 교신저자 타이틀에 별 관심없음. 다시 말하면 1저자가 교신을 가져가든 말든 지도교수 그늘을 절대 벗어날 수 없다는 말도 됨 ㅎㅎ
2023.09.29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졸업하고 논문 억셉률 올릴려고 원래 지도교수님 이름 넣는 경우도 있고
2023.09.29
교신저자의 중요성이 덜한 외국에선 빈번한 일
교신저자의 사전적 의미는 논문관련된 연락 주고받는 사람인 거라서 아무나해도 상관없는게 맞음. 우리나라는 각종 실적이랑 연관되다보니 지도교수=교신 이 거의 철칙저럼 굳어졌는데 당사자들끼리 협의만 되면 포닥이든 학생이든 (심지어 학부생이든) 아무 문제 없음.
지도교수가 실적에 욕심이 없거나 1저자한테 뭐라도 더 밀어주고싶거나 (큰도움 안됨 이미 주저자라서..) 아니면 이 논문에 별 애착이 없거나 그냥 교신맡기가 귀찮았을수도 있음
대댓글 1개
2023.09.29
그리고 정량실적 점수따지는 경우 제외하면 굳이 교신 안붙여도 어차피 끝저자가 해당 연구의 책임자이고 지도자 역할인거 다 알고있음
2023.09.29
그게 정상적인 경우 아니까요? 논문에 대해서 누구를 연락하려면 제일 많이 기여한 제1저자에게 연락하는 것이 상식이라고 봅니다. 제1저자가 연락을 받을 수 없는 특별한 이유가 있지 않은 한 제1저자와 교신저자가 달라야 할 이유를 모르겠네요.
2023.09.30
교신저자는 이 논문에 관련하여 디펜스부터 논문 인용시 연락이 가능한 사람을 교신저자라 합니다. 지도하는 사람이나 논문자체를 전체적으로 작성한 경우
현재의 논문에 대해 정확하게 답변이 가능한 사람이다보니
꼭 지도교수만 들어가지는 않습니다.
2023.09.3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논문에 교신저자 표시가 달려있냐 아니냐는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님 지도교수가 매우 유명한 사람이면 님 지도교수가 교신으로 안되어 있어도 사람들은 다 님 지도교수한테 논문에 대해 물어볼겁니다.
2023.09.29
2023.09.29
2023.09.29
대댓글 1개
2023.09.29
2023.09.29
2023.09.29
2023.09.29
대댓글 1개
2023.09.29
2023.09.29
2023.09.30
2023.09.30
2023.09.30
2023.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