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 학부생입니다. 현재 수강중인 과목 중 한 과목의 내용이 너무 어렵기도 하고 교수님께서 수업을 이해가 잘 되게 해주시는분은 아니셔서 수학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꾸역꾸역 이해해보려고 노력하며 버텨나가는 중입니다..) 저처럼 학부생때 수업의 내용을 받아들이는데 어려움을 겪거나 전공지식이 부족한 사람은 연구를 하는데 있어서 적합성이 떨어지는지 알고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3.10.01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정도로밖에 말씀드릴수가 없겠군요. 학생 가르치는 입장에서는 똘똘한 아이들이 연구면에서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짧아서 좋아요.
하지만 애티튜드도 그만큼 중요합니다. 대학원에서 어느정도의 성취까지를 목표로 하고계신지 더 고민해보시길.
정직한 프리모 레비*
2023.10.01
개떡같이 가르치면 독학해야하는 곳이 대학원 입니다 착한 선배,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는 교수는 드뭅니다 경험담이니 학부 공부 잘하면 좋겠죠 좋은 교수 만나서 잘 이해하면 좋겠죠 근데 대학원은 다르더라구요 모르면 스스로 찾아봐야 되요 어쩧게 보면 참 이상해요 선배 스승이 이해 안 되는 걸 설명은 안해줘도 실마리는 줘야되는데 그것도 혼자해야 되요
2023.10.01
별로 상관 없어요 학부수업 완벽하게 이해했다고 해서 연구 꼭 잘 하는거 아니고 학부 때 죽쉈다고 꼭 연구 못하는거 아니에요.
2023.10.01
이해안되면 그냥 다 외워요. 어느날 이해가 되게됨 ㅋㅋ 뇌를 가스라이팅 해버렷
못된 칼 세이건*
2023.10.01
한과목만 문제라는 거잖아요. 그 한 과목 분야 및 가까운 분야 세부전공 랩실만 안가면 됩니다.
2023.10.01
상관계수로 치면 0.2도 안됨 연구는 진짜 수업듣는거랑 별개임
2023.10.01
확실히 학부성적이 좋은 애가 대학원에서 수월성도 높습니다. 아마 성실성이나 이해력의 영향이 있겠죠. 근데 분야마다 권장되는 사고방식이 있는데 이를 잘 나타내는 기저과목이 있습니다. 그 과목만 잘하면 되지 나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대학원에서 잘하고 싶으시면 교수나 선배의 사고방식을 빨리 배우는게 좋아요. 물론 그 둘다 별로면 어서 도망가야하고요.
2023.10.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분야에 따라 다릅니다. 응용분야는 복잡한 전공지식이 별로 필요없고, 기초과학분야 (특히 이론)는 전공지식이 없으면 연구 시작조차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글쓴이님이 학과를 안 밝히셔서 드릴 말씀이 없네요.
대댓글 1개
2023.10.01
이게 맞는거 같아요.
학부 내용들을 잘 알고 잘 이해하는 능력이 중요한 분야가 있고, 그게 덜 중요한 분야가 있죠.
제 전공에서는 세부분야에 따라 거의 필요없거나, 최소 석사 수준 코스웍은 빠삭하게 알아야하거나 다양하네요.
2023.10.01
2023.10.01
2023.10.01
2023.10.01
2023.10.01
2023.10.01
2023.10.01
2023.10.01
대댓글 1개
2023.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