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서울 하위권 대학을 다니고 있는 23살 학생입니다. 전공은 신소재공학입니다. 현재 군복무중이고 진짜 마지막으로 제대로 살아보고 싶다는 마음에 고민이 듭니다. 현재 학부 2학년 1학기 과정을 마치고 군휴학을 한 상태고 만약 복학을 한다면 2학년 과정을 마치고 어학연수를 1년 정도 다녀 올 예정입니다. 그 이후에 학사를 마치고 해외 대학원에서 석사과정까지 생각 중입니다. 하지만 현재 학점도 메리트가 없고 지금 다니는 대학에서 미국 공대쪽으로 유명한 대학원에 지원을 할 수 있을 지 모르겠습니다. 또, 혹시 전공 계열 회사에서 근무한 경력이 해외 대학원 입학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까?
다른 플랜을 짜보긴 했는데.. 아예 지금부터라도 수능을 제대로 준비해서 최상위대학에 입학하는 것은 어떻게 생각합니까?그렇게 되면 25살에 입학을 하는 것입니다. 다행히 시간적으로나 금전적으로나 여유가 있는 상황입니다. 급하게 쓴 글이라 오타나 문장이 제대로 호응이 되는 지 확인할 기회가 없는 점 감안해 주시기 바랍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3.12.14
군생활하다보니 학생때 이만큼만 했더라면... 하는 미련이 계속 남아서 미치겠습니다..
2023.12.14
어학연수 갈 돈과 시간으로 4학년 학부연구생 후 휴학하고 미국 대학에 비지팅스튜던트 가서 연구경험을 쌓으세요. 유학갈거면 학부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미국 탑스쿨 가는데 연구경험 없이 학부빨 받으려면 서울대에서도 과탑해야합니다
대댓글 1개
2023.12.14
회사경력 자체보다는 무슨 경험을 했는지가 중요한데 짧게 다녀서 유학에 도움될만한 경험을 하긴 어렵죠.
2023.12.14
시간/금전적으로 여유 있으시고 영어를 잘하신다면 uk 석사후 미박도 괜찮아보이네요!
2023.12.14
학부의 네임벨류 비중보다 실질적인 연구경력을 더 쳐주는군요
2023.12.14
수능 다시봐서 서연고 이상 갈 자신 있나요?
2023.12.1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공부가 정말 맞으면 좋겠지만 아무리 열심히해도 후회는 남고 한계는 있습니다. 주어진 상황에서 노력해보시죠 편입도 좋다고 봅니다
2023.12.14
어떤 분야의 어떤 연구를 하고싶은지 구체화가 전혀 안되어 계신것 같네요. 관심분야 자대 랩실에서 학부연구생 하시거나 다른 기관에서 인턴 추천드립니다. 미국 가시려면 sci 저널 혹은 컨퍼런스 페이퍼 1개와 교수님들 혹은 박사님 추천서 3장이 필요합니다.
2023.12.14
2023.12.14
대댓글 1개
2023.12.14
2023.12.14
2023.12.14
2023.12.14
2023.12.14
2023.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