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석사 전문연 후 진로 관련 (로봇틱스, 컴퓨터비전 등)

2023.10.09

12

1343

내용 제거.
댓글 달아주신 모든 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3.10.0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ㅎㅇ T5 로보틱스 대학원생임.
1. 실적 없으면 원래 있던곳 말고는 가기 힘든건 맞는데, 석사때 열심히 해서 지도교수가 추천서 잘 써줄 수 있으면(걍써주는거 말고요) 실적 없어도 상관 없을듯? 쓰다보니 걍 원래 있던 랩실로 박사 가시는건 준비도 별로 필요 없으실텐데 분야 바꾸시는 것도 아니고요
2. ㅇㅇ 무조건 2티어라도 퍼블리케이션 할 수 있으면 무조건 좋고, 뭐 프로젝트 리딩햇다 이런건 아시다시피 외국에선 걍 다 쓰는거라 가치 0이요. (방학 인턴들도 링크드인에 뭐 주도적으로 뭐 했다 어쨋다 쓰잖아요)
3. 연구실에서 필요로하는 스킬셋이랑 일치하면 좋죠.
4. 전문연으로는 경력이 연차도 부족하고 신체멀쩡하시면 중소기업이니 회사 네임도 그렇고 좋은 곳 가기 힘들텐데요. 또한 박사과정과 MBA는 추구하는 삶이 너무 달라서 이건 본인이 고민하셔야 할듯요?

결론은 본인이 하고싶은게 MBA인지 PhD인지 생각해보고 PhD면 원래 랩실로 진학, 다른곳 진학해야하는 이유가 있다면 석사논문 지도교수님께 안부메일과 함께 상담.

대댓글 2개

2023.10.09

안녕하세요. 늦은 연휴밤, 정성스런 답변 감사합니다.

1. 석사 논문을 진행한, 원래 있던 랩실은 Applied Machine Learning (Computer Vision) 쪽에 초점이 맞춰져있던 랩실이라 제가 박사를 추구하고 싶은 로봇틱스와는 조금 거리가 있어, 다시 돌아가긴 힘들 것 같습니다 ㅠㅠ. 유럽 대학 두 곳에서 학/석사를 하고, 미국쪽으로 박사를 가는 것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2. 이해합니다. 조언 감사드립니다. 회사일에 100% 집중을 해서 실적이 나오면 강점이 될 거라고 생각했는데, 논문이 더 영향력이 있나보군요.

감사합니다!

2023.10.1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 연휴엿구나... 여긴 아직 낮이네요 ㅋㅋ ETH 나오셧나 보네요 근데 로보틱스면 ETH보다 좋은 곳이 있나요? 없을거 같은데

2023.10.09

저도 윗분과 비슷하게 동의합니다. 저는 spk 로보틱스로 학석박 받았고, T4-5위하는곳(버클리/MIT/스탠 아랫급)에서 조금 연구분야를 틀어서 CS기반의 머신러닝/로보틱스 분야로 2년즈음 포닥했습니다.
제가 포닥을 원래부터 알던 잘하던 젊은조교수한테 갔어서, 사실상 준PI급으로 학생들이랑 일을 많이했는데, 박사로 입학한 친구들은 대체로 GPA는 좋지만 뚜렷한 실적은 없었습니다. 그중 유학생은 중국인/한국인 한명씩이 칭화대/spk에서 학석 밟고왔는데 이친구들은 탑컨퍼가 있었네요. 여튼 경험상, 미국에서 학교나오셨으면(혹은 준하는 좋은학교에서) 동대학에서 학석 하셨으면 좋은추천서 + 석전연을 통한 경험이면 충분히 입학하실수 있다 생각합니다.
다만 "공대면 대부분 아실법한 학교에서 학사/석사/"라는말이 조금 애매하네요. 공대 대학원이 강한 주립대신가요? 아니면 학부도 괜찮은 사립대신가요? 아니면 유럽탑대학이신지, NUS/칭화 등과 같은 아시아권 좋은대학이신지요.. 그리고 목표를 국내로 하시는지, 해외로 하시는지, 해외면 학/석과 동일한나라신지 등등 불확실한 질문요소가 크네요. MBA면 솔직히 아예 결이 다르기에 제가 답변드리긴 어려울듯하고요.

대댓글 5개

2023.10.09

안녕하세요. 늦은 밤,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1. 저는 학사/석사 유럽 대학들이고, 각각 전세계에서 Top 15, Top5 안에 들어가는 학교였습니다. 유럽 탑대학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국내에도 박사를 하기에 훌륭한 랩실들이 많은 걸 알지만, 일단은 해외 대학에서 박사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유럽보다도 더 큰 나라이고, 기회가 많을 것 같아 미국으로 일단 목표하고 있습니다. 석사 논문을 진행한 랩실이 로봇틱스보다는 컴퓨터비전에 초점이 맞춰졌던 랩실이라서 이 랩실로 돌아가는 건 조금 힘들 것 같습니다.

2023.10.09

혹시 질문 하나 더 남겨도 될까요?

추천서를 받는 부분에 있어서,,
보통 대학에서 추천서를 2-3개를 요구를 하던데,
제가 석사 논문 진행한 교수님께 받는 거 하나, 현재 전문연 진행하고 있는 회사 매니저분께 (C-level) 하나 생각 중인데,
박사 추천서에 있어서 회사 매니저분께 받는 거는 마이너스인가요? 가장 최근 활동을 대변해주실 수 있는 분이라 괜찮을 것 같은데,
박사 과정은 어쨌든 학회관련 인물이 영향력이 클 수 밖에 없으니깐요..

2023.10.1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3개 요구 시 2개는 Academic으로 해야 되고 마지막 하나는 회사 상사 해도 됨.
회사 상사가 PhD 이고 연구 principal investigator 역할 가능한 사람(박사취득후 연구경력자)이면 마이너스 없음.

2023.10.10

교수마다 다르게 생각할것같은데, 저라면 비슷한 학계에 있는 사람위주로 추천서를 받을것 같긴합니다. 같이 일하고있는 회사매니저는 서브로 받는개념이더 좋다 보고요. (없는것보단 분명 더 좋을테니요)
저도 당시 ethz 와 고민했는데, 대충 옥스퍼드/캠브릿지/ICL/epfl/ethz/뮌헨공대/델프트공대 등등 유럽 좋은대학은 어딜가서든 대우받습니다. 우리나라 학계가 미국이 아니면 조금 경직돼있을뿐이죠..
굳이 미국으로 안가실거면 저보다 잘 아시겟지만 마리퀴리 장학금 잘 사용하시는것도 좋아보입니다. 최근 후배가 영국으로 갓는데, non eu라서 빼냐 넣냐 말이많아보이더라고요. MPI를 포함해서 유럽탑대학 가시는것도 충분히 추천드립니다.
물론 말씀하신것처럼 (저도 같은이유로 미국을 선택했고) 미국에 잡도 더 다양하고 네트워킹도 유리한 장점은 있습니다. 제가 유럽경험은 없지만.. 저도 스위스에서 굳이 고생안하고, 언어문제없는 미국갓던걸 상당히 좋은선택이였다ㅜ생각하고있습니다.
로보틱스+비전으로 하면 사실 제 분야는 아니라서 잘은 모르겠네요.. ICRA IROS에서 비전으로 종종 오는 연구실이 있었는데, 어딘지 기억은 가물가물하네요..

2023.10.10

위에 두분 다 귀한 시간 내서 새로운 관점과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인생 선배님께서 이렇게 귀중한 관점을 말씀해주시니 우선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김박사넷이 개인쪽지나 이런게 불가능하다보디 더욱 자세한 내용은 여쭈어볼 수 없는게 아쉽습니다.

2023.10.10

석사때 RA를 못했다는 소리같은데. 집안에서 좀 싸포트가 되는 것 같군요. 해외 박사를 나가실려는지 국내 박사를 하려는지 모르겠는데. 논문이던 실무던 한가지 명확한 결과는 만들어야 할것 같네여.

대댓글 1개

2023.10.10

답변 감사합니다. RA 는 코로나가 터지는 바람에 취소가 되어서 아쉽게 되었네요.
실무라는 건, 그 분야 관련해서 지식이 됬건, 코딩 실력이 됬건 이런 스킬셋을 말씀하시는거겠죠?
그럼 현 회사에서 하는 일에서 실무 능력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리고 나오는 것도 하나의 방도가 되긴 하겠네요.

2023.10.11

모두들 답변 감사합니다! 게시글은 곧 지우겠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