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독일 박사 정보 몇 가지

허기진 아담 스미스

IF : 1

2023.10.19

12

10746

조금 이 곳에서의 생활도 익숙해졌겠다, 주변에서 질문도 많아서 한번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위주로 써봅니다.
분야는 전기전자이며, 한국 대학교에서 석사까지 마치고 진학하였습니다.

1. 대학 박사? 연구소 박사?

유럽에서는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는 종류지만, 한국에서 처음 보면 상당히 혼동되는 개념입니다. 독일에서는 한국/미국식 도제처럼 대학교에 소속되어 TA등을 하면서 연구활동을 할 수 있기도 하지만, 반대로 막스플랑크 등 여러 협회 (Society) 연구소에서도 박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사실 그냥 연구원으로 근무하며 연구하다가, 디펜스 후 학위만 대학교에서 받는 형식입니다. 코스웍이나 수업도 일절 없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KIST 학연 모델이 독일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때 박사 학위를 수여하는 대학교는 근처에 있는 연계대학 또는 디렉터의 소속 여부에 따라 다르고 (디렉터가 교수 직함을 겸할 때), 이러한 사정을 아는 사람들은 사실 어디 대학교인지는 전혀 신경쓰지 않습니다. 한국에서 독일 출신 유명인사가 본인 학력을 '막스플랑크에서 박사했다'라고 퉁치는 것과 동일한 맥락입니다. 사실은 연구소에서 박사 학위를 수여할 수 없기 때문에 막스플랑크 박사라는 말은 없습니다.

2. 연봉 및 대우

석사 과정을 마쳤다고 가정할 때, 대부분의 대학교/연구소 박사 과정은 TVoD E13이라는 독일 내 공무원 연봉 테이블을 따르게 됩니다. 최근 과도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공무원 연봉 협상 줄다리기 끝에 내년부터 약 10% 대규모 인상을 타결했습니다. 이 테이블은 검색해보시면 그냥 나오는데 내년 (2024) 기준 신입이라면 100% 계약 기준 월 세전 4600유로, 싱글 기준 세후 2800유로 정도를 받게 되네요.

다만 이것도 전기전자나 CS의 경우 대부분, 특히 연구소라면 100% 계약이지만 일부 다른 전공이나 대학교 박사과정들 중 랩 펀딩 상황에 따라 75%, 66%, 50% 등의 계약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세전 금액이기 때문에 실수령 차이는 저만큼 크진 않습니다만.. 아무래도 돈이 되는 전공에 따라 차등이 있는 듯 합니다.

현재 제 연차에서는 대도시 싱글 기준 월세와 생활비를 제하면 한 달에 1800-2000유로 (현재 환율로 250-280만원) 정도 저축하는 것 같습니다. EU가 다 그렇듯 장바구니 물가는 싸고, 외식은 비쌉니다.

3. 생활

연구소 내의 공식 미팅은 100% 영어로 이루어지고 다른 모든 사항도 대부분 영어친화적으로 마련되어 있습니다. 타 EU 국가 출신들도 상당히 많이 와 있기 때문에 연구소에서도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기도 합니다. 다만 바깥으로 나간다면 베를린 같은 인터네셔널한 동네가 아니면 일상 생활에서 어느정도 독일어의 압박이 옵니다. 그래도 독일어 공부하기 싫은 사람은 계속 안하고도 살 수 있긴 한 것 같습니다. 공대 전공 박사 유학생이라면 영주권도 굉장히 관대합니다 (블루카드 소지 후 독일어 능력에 따라 21개월/33개월 후 영주권 신청 가능).

박사과정 유학생에게는 의미없어 보이지만 공무원 계약 상 주39시간/1년 30일 휴가 또한 법적으로 보장됩니다. 거의 모든 EU 국가를 저가 비행기 편도로 2시간 내에 갈 수 있으니 여행을 좋아한다면 상당한 장점이긴 하겠습니다.

이 외에 악명 높은 독일의 몇 가지 단점들은 인터넷에 널려있고, 그 글들 그대로이니 굳이 서술하진 않겠습니다.

4. 어떻게 가나?

이 부분은 따로 정답이 없지만, 간혹 링크드인이나 XING(독일의 구직사이트)에서 연구소 포지션 공고가 올라오는 경우도 많이 보았습니다. 저의 경우 컨택 메일, CV 제출과 화상 인터뷰만으로 모든 절차가 끝났고 어떠한 별도의 시험이나 공인영어점수 등등이 필요없었습니다. 이 곳 문화인지는 모르겠으나 학사 및 석사 전공일치도는 상당히 깐깐하게 따지는 듯 합니다.

가장 이상적인 것은 이미 본인 소속 랩이 해당 연구소와 친분이 있고, 지도교수님 추천을 받아 가는 것이겠지요. 다만 한국에서는 지원했다가 떨어져서 못 가는것보다는 꼭 독일어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을 잘 모르고 지레 생각조차 하지 않는 사람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3.10.19

박사과정 중이더라도 블루카드, 영주권 취득 가능한가요?

대댓글 1개

2023.10.19

케바케임.쓴이처럼 TVoD E13 100%조건으로 가면 될수도 있는데… 아마 75%만 되도 블루카드 최저임금 미달일거고 (EE CS는 100% 가 많다는데 내가 한 전공에선 박사과정이 100%받는거 본적없음) 장학금으로 가면 연금 안내기때문에 해당없음.
그리고 독일 영주권은 미국 영주권과 컨셉이 많이 달라서 그렇게 연연하지 않아도 됨

2023.10.19

독일이 좋아서 예전에 알아보다가 유럽은 박사 과정이 한국이나 미국과 달리 연구계획서를 바탕으로 시작해서 취업 같은 느낌으로 가더군요. 물론 한국/미국도 사실 일하러 가는 것이긴 합니다만 역시 코스웍도 있고 SOP나 CV가 있지만 막상 가서 어떤 일을 할지는 교수님이 주는 일에 상당히 의존하기 때문에 독일 유학은 너무 생소해 보여서 결국 미국에 왔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포닥이라도 독일에서 해보고 싶네요 ㅎㅎ 독일도 포닥은 어떠려나요?

2023.10.19

흥미롭군요. MPI에서 박사/포닥한 친구들 정말 많았는데, 첨언하면 졸업하고 나중에는 '학위만 나오는 학교'가 낮은것때문에 후회하는 경우도 봤습니다.
옆에 친구랑 나랑 똑같이 졸업했는데, 어떤애들은 ETH로 나오고, 본인은 주변 OO학교(슈투트가르트 아님)로 나왔는데, 조금 짜증난다 하더라고요.
물론 그 친구도 졸업후 마리퀴리 장학금으로 영국탑대학(캠브릿지/옥스퍼드/ICL)에서 포닥하면서 잘살고있네요.

대댓글 1개

2024.09.19

한국과는 달라서 학위주는 대학 이름보다는 지도교수가 학계에서 유명한지, 실적이 잘 나오는지가 더 중요하지 않나요? 다들 그래서인지 몰라도 이력서에 MPI라고 표시하긴 하더라구요 ..

2023.10.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좋은 정보 공유 감사드립니다. 혹시 로보틱스 관련 전공이신지요?

2023.10.23

좋은 글입니다. 독일은 페이는 좋지만 세금이 너무 셉니다. 부양가족 없는 싱글은 40% 떼입니다. 내 돈...

대댓글 1개

2023.10.23

tk나 aok 같은 의무 공보험도 엄첨 비싸요...

2023.10.27

독일은 대학에서 박사를 해도 코스웍은 없어요. 지금은 석사라는게 생겨서 석사는 수업을 받을 듯한데. 20년전에는 독일은 디플로마 랑박사만 있었어서.


근데. 막스프랑스 연구소 의 과제 책임들은 대부분? 학교에 교수들 아닌가요? 나는 그리 알고 있는데. 막스 프랑스 연구소 자체가 어떤 대학에 부설기관 처럼 존재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온화한 앙투안 라부아지에*

2023.11.26

저는 얼마전에 TU9에서 인터뷰 제안을 받았는데... 생각보다 인터뷰 약속이 빨리 잡혀서 놀랐습니다. 이력서하고 논문 실적하고 과거 직장에서 했던일을 Lebenslauf 및 Motivationsschreiben에 적어서 보냈었는데... 처음에는 약속이 빨리 잡혀서 기분이 상당히 좋았는데... 막상 인터뷰 약속이 너무 빨리 잡힌 것을 보면 진지하게 고려하지 않았고 간 보고 내칠 것 같은 생각도 들고 되게 오만생각이 다드네요... ㅜㅜ 다만 유창한 독일어는 해당 연구원장 교수님의 비서도 긍정적 포인트라고 집어주기는 하셨습니다... 처음에는 독일에 지금 있는 줄 알고 전화 인터뷰로 하자고 했었는데 한국에 있다고 하니 좀 놀라긴 하더라고요... 이 경우 애초에 독일에 있는 사람만을 후보자로 보고 있다는 생각 같기도 한데... 걱정이 많습니다 ㅜㅜ

2024.02.26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현재 한국에서 석사 과정을 막 시작했는데 독일 박사 유학에 관심이 생겨 몇가지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

1. 제 분야는 재료 쪽이긴 하나 보통 졸업을 몇년 안에 하시나요?
2. 컨택 난이도가 어느정도 일까요? 주저자 sci 논문 여러편.. 이 정도로 높은 스펙을 요구하는지 궁금합니다.
3. 막스플랑크 연구소에서 박사 후 한국 기업으로 리턴 시, 현실적인 대우가 좋을까요?

2024.04.02

컴퓨터 공학과 네트워크 쪽 전공하면서 석사 생활 하고 있고 독일로 박사 유학을 고민 중입니다.
학교로 진학하는 것 뿐만 아니라 연구소 진학도 고려중인데 프라운호퍼 연구소도 세계에서 알아주는 연구소인가요?? 박사 이후 진로를 아직 결정하지 않아서 최대한 많은 정보를 고려하고 싶은데 다들 막스플랑크는 아는데 프라운호퍼는 잘 모르는 느낌인 것 같아서 여쭤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