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애인생기면 자위 안 하겠죠?
SKP학생인데, 왜들 그러고 사는지
10 - 교수님, 옮길 수 있을 때 옮기세요. 밤 늦게까지 불켜놓고 유튜브나 게임하거나 노가리나 까고 있겠죠. 아무리 가르치고 조언해도 학생들이 받아들이질 않으니 답이 없습니다. 가르침도 준비된 사람만 받을 자격이 되는구나 하는걸 깨달았습니다. 성인이고 무려 대학원씩이나 다니는 고학력자(?)들에게 무언가를 강제로 시킬 수도 없고요. 당근만 받아먹고 채찍은 그냥 피해버리면 그만이더라고요. 그렇다고 인건비를 줄이거나 안 주면 당연히 대학원 진학 자체를 안 할테고요. 노답입니다 교수님. 옮길 수 있을 때 옮기세요.
내가 꼰대가 되고 있는 건지, 아니면 내 학생들이 못난 것인지
19 - 되겠냐??
박사 3년만에 졸업
13 - 학계에서 이야기할땐 대학원을
일반 사람들에게 이야기할땐 학부를 얘기하죠
학교 어디 나오셨어요? 라고 물어보면 뭐라 답하나요?
8 - 당연히 교수들은 넴밸류 비슷하면 애 키우기 좋은 서울 가지 교수얘기가 왜 나옴..
ist 대학원 수준?
14 - 물론 교수님은 내심 싫었을수도 있었겠지만
「큰 실수」 「아주 무례한」 「불쾌한」 하고 난리칠 정도의 큰 일도 아닐듯...ㅋ
교수님께 큰 실수를 하였습니다,, 어떡하죠
7 - 편애를 하면 좋지 않죠. 좋지 않은데…
일단 연구과제 B는 그 학생이 제안서를 쓴 게 맞다면 그 학생이 하는 걸 딱히 편애라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뭐, 이미 따놓은 당상과도 같았으면 모를까 심지어 열심히 하지 않는 학생 때문에 곤란한 상황이었는 걸요.
원글자가 나서서 제안서를 쓰지 않은 이유는 뭔가요?
이미 하고 있는 과제가 있어서?
아니면 이미 하고 있는 동기가 있어서?
하고 있는 과제의 자료가 그 학생처럼 논문 4개 정도 쓸 정도로 쌓이지 않은 건 과제가 별로여서일까요?
아니면 운이 없어서?
과제 C까지 가져 가는 것 때문에 더 ‘편애’라고 생각하는 것 같은데 이건 교수님께서 이미 B랑 C를 묶는다고 마름을 먹은 지 좀 되신 것 같네요.
이게 사실 맥락도 중요한데 연구실에서 진행하는 연구 토픽, 또는 과제가 4-5개 정도인지, 10개 정도인지, 그도 아니면 20개 정도인지, 이런 상황도 나름 의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
한 20개 되는데 중요하게 미는 과제가 덜렁 세 개라면, 뭐, 정말? 그럴까 싶긴 합니다.
다른 랩실도 특정 학생 편애하는 하는 경우가 대다수인가요?
7 - 개같이 굴리려면 젊은 사람이 들어와야 함.
하브넷 - 국립대 교수 채용 경력 점수 의문점 ㅋㅋㅋㅋ
8 - 그리고 교수들 이직 얘기도 곁들이는데 학생들이 학업 이외의 여건을 따지는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한게 교수 이직입니다.
본인의 선호에 더해서 가족의 선호까지 더해야죠. 여기에 덧붙여 결정타는 자녀 초중등 교육. 연구 환경, 학생 수준, 경제적 조건만으로 결정되는 게 아니란 얘깁니다.
ist 대학원 수준?
11 - -----------정리--------------
학부 입결: y k s h u s g d
연구력/대학랭킹: y s k h u g d
인지도: y k s h s u g d
교수 정주여건: y k s h s u g d
ist 대학원 수준?
8 - 네 대체로 유니스트를 좀 더 위로 봅니다
ist도 다 같은 라인이 아닌건가요?
8 - 고등학생 입시 사이트도 아니고 이런글 올라오는 것도 어이가 없고 그 와중에 유니훌리들이 후다닥 유니가 더 좋다고 주장하는 것도 어이가 없고
ist도 다 같은 라인이 아닌건가요?
11 - ist 셋 다 도토리 키재기 비슷한 수준이에요. 세 학교간에 급간따지는건 처음 보네요. 성대 한양대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봅니다.
ist도 다 같은 라인이 아닌건가요?
8
대학원 진학을 원하는 학부생입니다.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2023.10.19

현재 학점은 전체 3.6/4.5 , 전공 3.8/4.5 입니다.(군 전역 후 학점 관리를 시작해 많이 낮습니다...)
얼마전 데이터과학 수업을 듣다 관심이 생겨 이쪽 분야로 진출을 하고 싶어졌습니다. 여러모로 서치를 해보니 석사 과정을 밟아야겠다는 생각을 했고 대학원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현재 관심있는 분야는 빅데이터 혹은 인공지능 쪽 입니다.
이제 곧 4학년이고 쌓아온 스펙 하나 없는데 인서울 대학원에 가고 싶다는 마음이 있습니다. 이제부터라도 조금씩 스펙 쌓고 관련 분야 공부 열심히 하고 하면 가능성이 보이긴 할까요?.. 아니면 일찌감치 포기하고 취업 도전하는 것이 맞을까요?..
대학원 업그레이드 김GPT 3 13 1906-
5 29 6702
대학원 진학 스펙 고민 김GPT 2 8 5192-
0 6 836
지거국에서 상위대학원 지원 힘들까요? 김GPT 1 23 1860-
1 7 2361 -
1 2 4654
대학원 유학 고민 김GPT 1 8 1470
대학원 어느라인까지 가능할까요 김GPT 5 12 1605
요즘 글 올라오는 꼬라지보니 개혁이 필요하다 명예의전당 123 12 14254-
166 33 47481 -
70 6 741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와 명예회손급 레전드 한줄평 떴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 - 꿈을 찾아 결국 대학원 때려쳤습니다
57 -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1188 - 논문 1저자 투고 후 아예 제명 당했습니다.
147 - 교수님이 뒷담 하시는거 흔한가요?
22 - 실적 관련 현타오는점
4 - 내가 꼰대가 되고 있는 건지, 아니면 내 학생들이 못난 것인지
22 - 여자가 약자였다면 지금은 남자가 약자인 시대 남자의 경쟁력은 30대에 있어요
9 - 카이스트 QS 관련 업데이트 있나요?
2 - 하브넷 - 국립대 교수 채용 경력 점수 의문점 ㅋㅋㅋㅋ
8 - 젊은 석사/박사생 교수에게 휘둘리지 않길..
9 - ai, data 분야 연구실 추천받아요
4 - 사사 누락
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ist 대학원 수준?
39 - 박사 3년만에 졸업
15 - 학교 어디 나오셨어요? 라고 물어보면 뭐라 답하나요?
10 - CS 박사 실적 평가 부탁드립니다ㅠ
11 - 나 참 살다살다 논문 게재료가지고 눈치주네요
5 - 학과 사무실에 신청서를 제출하고 신청을 했으나 졸업시험 신청이 되지 않아 시험을 못 쳤습니다
6 - 교수님께 큰 실수를 하였습니다,, 어떡하죠
15 - 인재절벽 내몰린 이공계: 석·박사 미달 사태…무너지는 연구 생태계
11 - 대학원생 업무 정당한지 불합리한건지...
8 - 연구능력 향상을 위한 초간단 알리올리오 레시피
6 - 학부연구생 처음인데 퇴근할 때 인사 해야하나요?
5 - ist도 다 같은 라인이 아닌건가요?
8 - 교수님이 논문 초안 수정해준다더니 GPT 떡칠을 했습니다.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와 명예회손급 레전드 한줄평 떴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 - 꿈을 찾아 결국 대학원 때려쳤습니다
57 -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1188 - 논문 1저자 투고 후 아예 제명 당했습니다.
147 - 교수님이 뒷담 하시는거 흔한가요?
22 - 실적 관련 현타오는점
4 - 내가 꼰대가 되고 있는 건지, 아니면 내 학생들이 못난 것인지
22 - 여자가 약자였다면 지금은 남자가 약자인 시대 남자의 경쟁력은 30대에 있어요
9 - 카이스트 QS 관련 업데이트 있나요?
2 - 하브넷 - 국립대 교수 채용 경력 점수 의문점 ㅋㅋㅋㅋ
8 - 젊은 석사/박사생 교수에게 휘둘리지 않길..
9 - ai, data 분야 연구실 추천받아요
4 - 사사 누락
2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ist 대학원 수준?
39 - 박사 3년만에 졸업
15 - CS 박사 실적 평가 부탁드립니다ㅠ
11 - 교수님께 큰 실수를 하였습니다,, 어떡하죠
15 - 인재절벽 내몰린 이공계: 석·박사 미달 사태…무너지는 연구 생태계
11 - 대학원생 업무 정당한지 불합리한건지...
8 - ist도 다 같은 라인이 아닌건가요?
8 - 교수님이 논문 초안 수정해준다더니 GPT 떡칠을 했습니다.
9 - 성공적인 미국 대학원 유학, 그 첫번째 교육인 [김박사넷 유학교육 밋업]에 초대합니다
13 -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 UCLA 교수 무료 세미나
80 - 석졸 미박 고민입니다.
7 - Top 20, Top50
13 - 미국 다이렉트 박사과정
7
2023.10.19
2023.10.20
2023.10.20
2023.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