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성이 논문 지도 능력에 영향을 주기 때문임. 논문 지도는 학생이 교수랑 대화를 해서 이루어짐. 평소에 학생한테 화내고 신경질적으로 대하는 교수가 논문 지도할 때만 학생과 열띤 토론을 하지는 않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3.11.10
참 아이러니한게, 이공계에서는 본인 주장이 어느정도 강해야되는것도 중요합니다. 연구 자체도 상대방 논리의 허점을 분석하고, 그걸 파고들면서 내 논리가 맞다는걸 증명하는 과정이기도 하니까요. 그러한 연구적인 태도만 볼때, 연구는 잘하고 그에따라서 연구지도도 잘하지만, 밖에서 볼때 인품이 안좋아보이는 경우도 많아요. 학생들이 원하는 교수상은 본인이 연구주제 고민해오면, 칭찬도 해주고 본인의 문제점을 젠틀하게 지적해줘서 본인이 올바른길로 연구할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것일텐데, 교수입장에서는 이러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본인도 안그래도 여러가지 할일 많은 상태인데, 제자가 정말 말도안되는 논리의 연구주제를 갖고올때 그 논리를 차근차근 설명해주고 설득시켜주려면 참을 인자를 수없이 많이 써야됩니다. 논문지도는 학생이 교수랑 '대화'를 하면서 이루어진다고 하셨는데, 본인이 초중고 과외할때 대화하면서 가르치시는지 생각해보시는게 정확할듯하네요. 학생일때 보는 교수와, 교수가 되고 나서 보는 교수는 정말 달라요. 다들 본인관점에서만 볼뿐이죠. 저도 선칭찬, 후코맨트를 연구지도뿐 아니라 어느자리에서든 하는편인데, 학생들 지도하면서 참을인자를 정말 수없이 썼습니다.
대댓글 1개
2023.11.12
공감합니다~ 학생도 좋은 논리를 가져야 합니다. 다만, 교수가 스트레스 조절에 실패(혹은 포기)한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학생이 기가 죽고 창의적인 생각을 하기 어렵죠.
2023.11.11
인성 좋은 교수 = 논문 써 주는 교수 로 들리네요
대댓글 2개
2023.11.11
이해력에 문제가 있으신가봐요
산만한 아담 스미스*
2023.11.13
대학원이 리니지 게임도 아니고 학생들 등록금으로 고급 월급쟁이하면서 국민 세금으로 연구하는데 논문 써준다고 치더라도 결국에 본인 논문 아님?
결국 논문써오면 연구수당도 다 받아놓고 나중엔 내가 너 안뽑았으면 연구도 못했다고 가스라이팅 할 시간에 면담이나 쳐하세요
2023.11.11
인성 거지같아도 논문은 기깔나게 완성해주는 교수님들도 계십니다.
논문지도와 인성은 상관관계가 적은듯 하네요
2023.11.11
학생이 자기 돈으로 연구하는 환경에서 교수가 조언해주는 시스템이면 인정 ㅋㅋㅋ 국가세금과 교수의 개인 돈으로 연구를 하면 누구 말을 들어야 할지는 자명한 거 같은데 ㅎㅎ
2023.11.11
교수인성은 학생인성에의해 변해가는것같음. 사람은 누구나 상처를 받고 보호기능이 작용하는과정에서 새로운 인성이 정립될수있는데 어느센가 초심은 없어지고 자기보호기능만 남아 학생에게 자기가 받은 상처를 돌려주고있는것같음
2023.11.10
대댓글 1개
2023.11.12
2023.11.11
대댓글 2개
2023.11.11
2023.11.13
2023.11.11
2023.11.11
2023.11.11
2023.11.12
2023.11.12
2023.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