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와 학사의 차이는 뭔가요? 회사가서 하는 일이 다른가요? 혹은 더 오래 근속할 수 있나요? 여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지금도 갈 수 있는 회사를 석사로 갔을 때 장점이 뭐가 있을까요...? sk이노베이션이 학사를 안 뽑듯 석사 취준 시 선택의 폭이 넓어질 것이라는 건 알고 있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3.11.29
직무는 별 차이 없고, 연구소에서 뽑아갈 정말 최소한의 자격증 같은거랄까요.
석사 하면 2년 경력은 대부분 인정해줍니다만 들어가서 2년 일한 것과 대우의 차이는 없어요.
그래도 연구 찍먹 해보면서 이 분야에서 뭐가 중요하고 어려운 문제인지 자기주도적으로 공부해본 경험? 은 남을것이니까 마냥 아무 차이 없다고 하기는 어렵지요.
막 졸업한 학사보다야 당연히 말귀도 잘 알아듣고 글도 좀 써봤으니 적응도 빨리 하(해야하)고요.
대댓글 1개
옹졸한 앨런 튜링작성자*
2023.11.29
제 질문이 다소 우매한데도 친절하게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3.11.29
이번 학사 졸업예정자입니다.
석사와 학사의 차이는 뭔가요? 회사가서 하는 일이 다른가요? 혹은 더 오래 근속할 수 있나요? 여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지금도 갈 수 있는 회사를 석사로 갔을 때 장점이 뭐가 있을까요...? sk이노베이션이 학사를 안 뽑듯 석사 취준 시 선택의 폭이 넓어질 것이라는 건 알고 있습니다
-> 취준의 폭이 조금 넓어집니다. 들어간 후에 차이 없습니다. 입사할때도 학사랑 진행과정이 동일합니다. 경력 1, 2년 산정해주는 정도? 신입이 석사했다고 큰 기대 안합니다. 어차피 다시 가르쳐야 합니다. 말귀도 똑똑한 학사가 애매한 석사보다 더 잘 알아듣습니다. 윗분 말씀 처럼, 석사는 경험이 남습니다. 박사를 하고자 하는게 아니면 최대한 이것저것 많이 해보는게 좋습니다.
대댓글 1개
2023.11.30
취준의 폭이 날카롭게 연단되는거지 좁아지죠. 잘못 알고 계시는듯요.
2023.11.30
실험한 연구분야가 있고 논문이나 학회 경험 등 연구자로서 뽑을 때 학사와 구분되는 강점이 생김
2023.11.30
연구개발직으로 가려면 석사는 해야죠.
2023.11.30
동일 실험실 출신인 학사, 석사 둘 다 같이 일해봤습니다. 일은 어차피 가르쳐야 하는데 석사까지 한 연구원이 자잘한 부분에서 받아먹는 속도가 훨씬 빨라요.
2023.11.30
석사면 적어도 연구가 뭔지 기본은 알고 있다는 이야기고, 자기가 논문을 한 건이라도 작성해봤다면 적어도 연구의 발목은 안 잡을 수준이라는 것이고, 이른바 슈퍼석사면 시키는 일은 차질없이 수행이 가능하겠구나, 좀 폭넓게는 연구 과정을 알아서 효율적으로 진행하겠구나 정도의 인식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학사는...뭐...ㅎㅎㅎㅎㅎ
2023.12.01
요즘 석사과정은 연구를 빡세게 시키기때문에 꽤 많이 공부할 수 있습니다. 반면 요즘 학사들은 공부량도 적고(전공책 안보고 요약된 슬라이드만 학습한다든지), 애초에 교수들도 연구비중을 늘리고 강의비중을 줄이는 경향이 강해서 더욱 학사의 전문성, 경쟁력이 떨어집니다. 이공계같으신데 결국 이쪽은 연구개발이 한축인 측면이 있는데 학사는 연구개발쪽 참여는 사실상 어렵습니다.
2023.11.29
대댓글 1개
2023.11.29
2023.11.29
대댓글 1개
2023.11.30
2023.11.30
2023.11.30
2023.11.30
2023.11.30
2023.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