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AI 를 활용한 데이터 전처리 분야 괜찮을까요?

2023.12.02

3

899

BCI 분야를 희망하는 학부생입니다. 정확히는 뇌파 데이터를 AI 를 활용해 분석하고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분야를 희망합니다.

그러나 최근 뇌 공학과 BCI 분야에 회의적인 글을 보고 깊은 고민에 빠졌습니다 ..

저는 해외로 뜰 생각이 없으니 한국에서 어떻게든 먹고 살아야 하는데, 객관적으로 생각해보았을 때 이 분야 (뇌파 분야) 는 힘들 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선택지가 더 많은, 뇌파 뿐만 아니라 모든 시계열 데이터 분석 쪽으로 눈을 돌렸고, 여기서 더욱 미래지향적으로 생각해보았습니다.

시계열 데이터의 '전처리 단계' 를 AI 알고리즘을 통해 처리하는 분야를 하고 싶습니다.

이쪽 분야는 전망이 어떠한지, 관련된 추천해주실 만한 분야가 있는지 고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비판적인 의견 또한 감사히 듣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개

2023.12.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글쓴이가 AI가 뭔지 아직 감도 못잡았다는건 알겠네요 해외로 뜰 생각은 반드시 하고 있어야 해요 특히 생물쪽이면 더더욱

대댓글 2개

2023.12.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리고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긴 한데 뇌파 데이터를 -> AI 를 활용해 분석하는것에서 중요한건 AI가 아니라 앞에 있는거에요. 본인하는건 AI 자체를 만드는게 아니라 AI를 응용해서 쓰는건데 그건 지금은 누구나 다 해야하는 공학수학같은거에요. 시계열 데이터 처리? RNN? LSTM? ATTENTION? 망 가져다가 쓰는건 누구나 다 해요 심지어 요즘은 초등학생도 할 줄 알아요.

2023.12.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래서 선택지가 더 많은, 뇌파 뿐만 아니라 모든 시계열 데이터 분석 쪽으로 눈을 돌렸고, -> 그럼 인공지능쪽 전공을 하고 싶은건가요? 그럼 생물이 아니라 오히려 통계학과나 컴공을 가야죠. 일단 아직 감도 못잡은거 같으니까 공부 더 하고 본인이 뭘 하고 싶은지 진지하게 고민해보세요. 또 국내 생물전공자들 vlog라도 보면서 저 험난한 과정을 버틸 수 있을지 고민해보세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