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논문 리딩 능력과 학부 학업수행능력 간 차이점

2023.12.02

12

2821

선배님들 안녕하세요.

대학원 진학을 꿈꾸는 KY 컴공 학부생입니다.

학부 저학년때는 논문을 읽을 기회가 없었는데 고학년이 되어 수업시간에 추천해주는

논문을 Abstract부터 Conclusion까지 full로 읽고 있습니다.

또한 DL/ML 수업에서 2-3년 전 publish된 것들은 교과서에 실려있지는 않다면서 참고문헌으로 제시해주곤 하셨습니다.

저는 논문도 함께 읽었기 때문에 사실상 강의자료에 있는 내용이랑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기존 교과서에서 다루는 내용들도 강의자료에 함께 있는데 이해 혹은 학습하는데 이질감을 느끼지는 못했습니다.

사실상 교과서에 실린 것들도 주요 논문들에서 나왔기 때문에 그런 것 같은데요.

그렇다면 궁금한 것이, 논문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사실상 학부 과정에서 기른 역량과 같을까요?

이전에 저는 대학원에 가면 논문을 많이 읽어서 해당 능력을 길러야한다고 본 커뮤니티에서 접한 바 있습니다.

그래서 '나도 대학원 입학 전에 논문을 많이 읽어서 기초 체력을 길러나와지'라고 생각했었는데

사실상 논문 읽는 능력이 뭐 특별하게 다른 게 아닌 것이었나요?



다들 주말 잘 보내시구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3.12.02

아주 바른 자세를 가지고 계시네요! 논문은 많이 읽어두면 무조건 좋습니다. 그리고 내용을 잘 이해한다는 것도 좋은 일이구요.
대학원에 가서 논문을 읽으면 조금은 다르게 읽게 될거예요. 보통 단순히 논문을 읽는 데서 그치는 게 아니라 깊이 파거나, 관련 연구들을 찾아서 흐름을 이해하려고 하거나, 혹은 그 연구가 제대로 되었는지를 생각해야 하는 경우들이 많거든요. 그리고 많은 경우에 혼자 읽는 게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같이 읽고 디스커션을 하면 또 자신이 그냥 책 읽듯이 읽을 때와는 다르게 배우는 것들이 또 많을거예요.
제 생각에 텍스트북과 논문의 가장 큰 차이 중 하나는 논문은 틀릴 가능성도 꽤 있고 헛점도 여러 군데 있을 수 있어서 비판적으로 읽는 게 필요하다는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튼, 잘 하고 계신 것 같아요. 홧팅입니다.

대댓글 1개

2023.12.02

아 이게 좋은 자세이군요! 저는 그냥 교수님께서 수업때 굵직한 논문들을 추천해주셔서 읽었을 뿐인데 이를 꾸준히 잘 이어가겠습니다. 말씀해주신 것처럼 지금은 비판적으로 읽기보다는 이해하고 수용하는데 초점이 맞춰져있는데 여기서 숙련도가 높아지면 비판적인 눈으로 논문을 읽고 그로부터 제 아이디어를 접목시킬 수 있겠네요! ㅎㅎ

2023.12.02

참, 첫 질문에 답을 하자면 학부 과정에서 기른 공부 역량과 논문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완전히 같지는 않지만 상관관계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2023.12.02

ㄹㅇ 참 연구자네

대댓글 1개

2023.12.02

어.. 저는 그냥 수업시간에 추천해준 논문들 읽었을 뿐인데... 감사합니다 ㅋㅋ큐ㅠㅠ

2023.12.02

이미 강의자료로 정리된 것들을 논문으로 봤기 때문에 이해가 훨씬 쉽지 않았을까 생각이 들긴 하는데 아주 좋은 습관으로 잘 배워나가고 계신 것 같습니다. 본인이 논문을 직접 찾아보는 것도 중요한 역략이니 한 번 직접 읽고 싶은 논문을 찾아서 혼자 읽어보는 연습을 하시면 앞으로 더 훌륭한 연구자가 되실 것 같습니다. 응원합니다!!

대댓글 1개

2023.12.02

AI 세부분야 관련해서도 읽을 논문 추천해주는 사이트도 보고 있고, 논문 읽다보면 Related Works부분이나 인용 논문들 있던데 시간적 여유가 있는 이번 겨울방학에 직접 찾아보기도 하겠습니다

2023.12.02

정말 좋은 태도네요.. 저 다닐때는 생각지도 못했는데...
훌륭한 연구자가 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실상은 다를 수 있다는 점 항상 명시하세요....!!!

대댓글 1개

2023.12.02

어쩌면 제가 유학을 준비하고 있고, 이제 4학년을 남겨둔 상황이라 발등에 불 붙어서(?) 혹은 얼마 안남은 시간에 가능한 많이 성장하고 싶어서 적극적으로 열심히 하는 것 같습니다. 제가 아직 경험해보지 않은 대학원 생활의 현실이 이상과 많이 다를 수 있음을 각오하고 있겠습니다.

2023.12.02

AI 분야 특수성 때문에 그러긴 합니다.
아직 학부에서 가르치는 것과 연구가 크게 갭이 안벌어져 있는 거죠.

다른 분야는 보통 교과서 들이 최소 10-20년 된것들이라(cs라고 하더라도 기초과목들) 교과서는 옛날것 또는 기본 소양정도고 실제 논문들은 해당 주제는 올드 토픽으로 연구가 끝났기 때문에 최신 트렌드를 따라가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2023.12.02

DL/ML 논뮨들이라 그럼

2023.12.02

이런 응애 친구들도 이렇게나 열심히 하다니… 지나가는 석사 2기 할머니는 반성해요 ㅠ,,,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