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근에 nat comm 저널에 논문을 투고해서 리뷰가 이제 와서 며칠전에 메이저리비전을 받았네요.
리뷰어가 4명인데;; 4명 모두 코멘트도 많고 일단은 대부분 부정적이네요 1명을 제외하고는..
리비전 난이도가 쉽지는 않겠으나, 제가 알기로 넷컴 저널은 리비전 받기는 커녕 데스크 리젝도 많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리비전스테이지 까지 가는경우 보통 얼마나 억셉이 되는지 궁금하네요,, 경험있는 선생님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네요
탑티어 저널들은 리비전이 절대로 형식상(?) 이루어지는 스테이지가 아니기 때문에 일단은 최선을 다해보려고는 합니다..
졸업근처에 탑티어 저널 한편 가볼수있나하는 행복회로를 돌리게되네요 ㅎㅎ..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3개
2023.12.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리비전 두번 후에 억셉되었습니다. 리비전이 성실히 임하시면 좋은 결과 얻을 것 같습니다.
2023.12.02
넷컴 억셉 경험 있습니다. 분야에 따라 다르지만, 전 바이오였고 2 round 이상 리비전 진행했습니다.
질문하신 억셉 퍼센티지는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ㅠㅠ 다만 특히 리비전에서 요구하는 실험과 논리는 모두 정성들여 제출하셔야 합니다. 전 특히 에디터가 꼭 해오라는 부분은 다 했습니다. 리뷰어들이 부정적으로 보는 부분이 novelty 인지 result인지에 따라 난이도가 다르지만, 우선 최대한 다 하시길 바랍니다. 건투를 빕니다
2023.12.02
반반
2023.12.02
요즘은 개나소나 쓰는데
대댓글 1개
2024.06.19
매너가 너무 없으시네요..
긍정적인 블레즈 파스칼*
2023.12.02
넷컴의 경우 peer review 파일을 다 제공하니 넷컴에서 동일분야 논문들 로그를 읽어보시면 감이 조금 오실거에요 (물론 억셉 된 논문들만 보는거긴 하지만) 분야마다 다르겠지만 요즘에는 체감상 리뷰어들도 좀 많이 순해져서 일단 메이저리비전이라도 성실히 하면 부정적이던 리뷰어들도 1-2라운드 후에 퍼블리케이션 추천하기로 생각 바꿨다 어쩌고 하는 경우 많은 것 같아요
깐깐한 호르헤 보르헤스작성자*
2023.12.03
다들 좋은 댓글 감사드립니다. 좋은 케이스만 말씀해주셨지만, 분명 힘든 케이스들도 많겠죠. 최대한 열성을 다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세심한 유클리드*
2023.12.03
제출 논문 기준 억셉률은 약 8%정도 입니다. 리비전 논문 기준 억셉률은 모르겠네요.
Nature Communications started in the year 2010 and has been growing ever since. Nature Communications doesn’t have a fixed publishing frequency.
Their publishing frequency is continuous and upon acceptance. They have a very strict acceptance rate of 7.7%. They get over 50,000+ submissions every year.
Nat Comm을 위한 자료는 아니고 일반적인 Nature계열 저널 통계인데, 80% 데스크 리젝 당하고 20% 심사가 이루어진다고 되어있으니 Nat Comm 최종 억셉률이 8%인걸 고려하면 심사되는 논문 중 40%정도가 억셉된다고 러프하게 생각하면 되겠네요
세심한 유클리드*
2023.12.03
아 Nat Comm은 60% 데스크 리젝 당하고 40% 심사가 이루어지네요. 그럼 심사되는 논문중 20%만 최종 억셉되겠네요
2023.12.03
네컴 에디터가 발표하는 세미나 참여했었는데요, 거기서 설명하기로는 (정확한 수치는 기억 안 나지만) 리비전 들어가면은 최종 억셉률 50프로정도로 한다고 했었습니다. 윗 댓글 수치들과도 얼추 비슷해 보이네요.
2023.12.03
에디터의 의중이 중요합니당. 일년동안 3번 리비전을 리뷰어 추가초청까지 해서 냈었어요.
깐깐한 호르헤 보르헤스작성자*
2023.12.03
댓글 감사합니다~
2023.12.03
반반인걸로 들었습니다
2023.12.03
네이처계열 다수 가지고 있는 연구중심대학 교수입니다. 넷컴의 경우 보통 에디터가 75프로 선으로 리뷰를 보내지 않고 데스크 리젝을하고 리뷰받은 25프로의 1/3인 7-8프로가 최종 억셉됩니다. 리비전을 받았으면 억셉확률이 80프로는 됩니다. 끝까지 최선을 다하세요
2023.12.03
Scirev 라는 사이트에 각종 후기들 있습니다
대댓글 1개
깐깐한 호르헤 보르헤스작성자*
2024.01.17
감사합니다 rejected 가 역시나 상당히 많네요.
2023.12.04
저의 경우는 조금 특이할 수 있는데 4명의 리뷰어가 선정되었고 4명다 메이저 리뷰를 줬습니다. 심지어 due date도 니가 알아서 하시오.. 라는 느낌으로 길게 주더라구요. 저는 1달 준비해서 답변을 했고 한명빼고는 1차 리비전 후 만족시켰습니다. 나머지 한명이 방법도 제시하지 않고 무한 억까를 시전하는 바람에 리뷰어랑 싸움까지 번지면서 결국 리젝을 놓더군요.
억울한 마음에 그간 오간 리비전 내용 및 나의 답변 그리고 마지막 요청을 충족시킬 수 없는 이유를 정성스레 적어서 에디터에게 보냈더니 에디터 권한으로 패스 시켜줬습니다. 리비전까지 들어가셨다면 분명 에디터가 보았을 때 Nat. Comm에 들어오기에 기본 자질을 갖추었다고 보기에 올렸을 것입니다. 고민마시고 충실히 이행하시면 잘 되시리라 믿습니다.
2023.12.04
축하드립니다!
대댓글 1개
깐깐한 호르헤 보르헤스작성자*
2023.12.04
아닙니다.. 이제 다시시작이라는 마음으로 임하려구요
2023.12.04
리비전 포함하면 반이나 붙여줘?;;
대댓글 1개
깐깐한 호르헤 보르헤스작성자*
2023.12.04
그렇다기보다는, 데스크리젝도 많겠지만 리뷰어들에게 리뷰코멘트 받고난후 에디터리젝 하는 경우도 꽤 많지 않을까 싶네요..
2023.12.02
2023.12.02
2023.12.02
2023.12.02
대댓글 1개
2024.06.19
2023.12.02
2023.12.03
2023.12.03
대댓글 2개
2023.12.03
2023.12.03
2023.12.03
2023.12.03
2023.12.03
2023.12.03
2023.12.03
2023.12.03
대댓글 1개
2024.01.17
2023.12.04
2023.12.04
대댓글 1개
2023.12.04
2023.12.04
대댓글 1개
2023.12.04
2023.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