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만 할거면 카이스트가 나은거 같습니다. 석사취업은 결국 자기 능력입니다. 연구실 아웃풋보단
대댓글 1개
2023.12.24
고려대는 설계 분야라서 원하는 분야이고, 카이스트는 이론 물리 쪽 성질이 강해서 좀 원치 않는 분야라고 하더라도 말이죠?
2023.12.24
이게 왜 닥후죠? 학부가 고대면 그냥 고대 대학원 가는게 나을 수 있습니다. 고대 정도면 특별히 카이간다고 학교 이름으로 이득볼거 별로 없어요
2023.12.24
카이스트 가세요.
카이스트 석사면 대기업은 그냥 가니까 취업을 고민할건 아니에요. 대기업 가고 싶으면 산학 장학생 신청 하시면 됩니다.
심지어 전자쪽 전공해도 카이스면 그냥 간판만 보고 관련없는 현대차에서도 데려 갑니다.
카이스트의 경제적 지원도 무시 못하구요.
대댓글 1개
2023.12.24
카이스트 반도체쪽이면 취업은 걱정ㄴㄴ
2023.12.24
석사만 하실거면 자대가 더 낫습니다. 물론 고대나 카이스트나 둘다 석사만 하는건 별로 안좋아합니다. 카이스트가 더 조을수도 잇지만 학교를 옮기시게 되면 적응기간 등으로 인해 실제로 재댜로 대학원 생활은 1년 남짓 하시게 되니 상당히 미래가 불안해지실거에요.
2023.12.24
대학원 톡방에도 계속 물어보시던데 아직도 결정을 못하셨네요 … 결정 늦어질수록 컨택한 연구실에 정말 민폐입니다. 그만 이기적으로 생각하세요.
2023.12.24
저라면 카이갈듯. 다른 환경에서 배우는 것도 분명 있습니다.
2023.12.24
이게 왜 닥후..저라면 자대갈거같은네
대댓글 3개
2023.12.24
대학원도 물론 네임벨류빨이 있긴하죠 그러나 그건 분야나 연구실에 비하면 큰 영향을 미치지못합니다 석사만하시고 대기업 원하신다하셨죠? 그럼 자대 대학원이 조건을 충분히 만족하는데 대체 왜.. 시뮬레이션은 죄송하지만 대기업에 많이 가는 분야는 아닙니다 여기 학부생분들이 많아서 무조건 spk만 많이 따지시는 좀 철없는 생각을 많이들 가지고계시는데 판단 잘해보세요 읽고 넘어가려다 댓글들 상태가 많이 이상해서 지나칠수가 없네요
2023.12.24
제가 보기에는 spk 간판만으로 대기업가는 시대는 지났습니다..spk간판만으로 승부 보실거면 그냥 학부 스펙취업이랑 다를게 없고요 대기업 잘보내시는 자대랩에서 수련한 과정들이 석사취업에 더 도움되실거라 봅니다
2023.12.24
동감합니다. 김박사넷이 유독 spk 노래를 부르는 감이있어요. spk가 좋긴하지만 모든걸 내팽기치고 갈정도는 절대 아닙니다
2023.12.24
와 이 인간 고파스에서 물어보고 여기다가 또 물어보네 ㅋㅋ 얼른 결정하세요!! 안 가는 다른 랩은 무슨 죄야
2023.12.24
우선 본인 진로에 대한 결정인 만큼 남들에게 너무 휘둘리지 말고 신중하게 결정하길 바랍니다
카이스트가 고려대에 비해 네임벨류가 확실히 높기는 하지만 자대인 점을 고려하면 미래 진로에 있어 의미 있는 수준의 차이가 있다고는 생각되지 않습니다
고민 중이신 부분이 크게 연구실 분위기, 연구 분야, alumni, 논문 실적, 월급인 것 같습니다
우선 연구실 분위기는 무시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혼자서 진행하기 힘든 연구실 생활 특성상 구성원들과 어떻게든 인간관계를 맺을 수밖에 없는데, 김박사넷에 올라오는 게시글들을 보시면 관련 문제로 고민하는 내용이 많습니다 해당 문제로 연구실을 옮기는 경우도 많은 만큼 신중하게 판단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생각됩니다
연구 분야는 케이스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석사 졸업 후 취업을 생각하신다면 연구 분야의 제약이 크지 않다고 생각됩니다만, 학계에 남으실 예정이라면 취업보다는 비중을 두시길 바랍니다 개인적으로는 하고 싶은 연구 분야를 해야 여러 가지 어려움이 찾아오더라도 중심을 잡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1개
2023.12.24
카이스트 네임벨류면 취업에 있어서 메리트는 당연히 최고 수준입니다 하지만 alumni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개인 역량이 뛰어나시다면 개인 역량에 메리트를 업고 원하는 기업에 취업하는 데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취업에 있어 고려대 메리트도 크게 떨어지지 않으며 alumni가 꾸준히 대기업에 갔다는 것은 분명한 이유가 있습니다 즉, 대기업 취업을 희망한다면 연구실에서 선배들이 걸어간 길을 따라갔을 때보다 안정적으로 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alumni와 같이 논문 실적도 중요합니다 꾸준하게 좋은 논문 실적을 내는 연구실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물론 논문 실적이라는 게 연구 분야가 다르다면 기준점이 달라질 수 있지만 글쓴이분께서 알아서 고려하셨으리라 생각합니다 학계에 계속 남으실 생각이라면 논문 실적을 크게 고려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월급 조건은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말을 아끼겠습니다
과거 저를 보는 듯하여 말이 길어졌네요 사람마다 각 가치에 부여하는 가중치가 다릅니다 본인이 연구를 하고싶은지, 취업을 하고싶은지 고민해 보고 항목마다 신중하게 가치판단을 한 후 결정하길 바랍니다
가고싶은 분야가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다른 곳도 아니고 고대면 저라면 돈이 많이 부족한 상황아니라면 자대갈거 같습니다 연구실 분야에 따라 직장, 직무가 엄청 달라질수 있어요
2023.12.24
얘들 대학원생 맞나? 고대 연구실은 분명 연줄이 작용하고 있는 느낌인데, 석사만 할거면 닥전이고, 박사까지 할거면 후자가 더 나아보임.
대댓글 2개
2023.12.24
연줄이 작용한다는게 어떤 의미인가요?
2023.12.24
글펑해놓고 양심도 없노
2023.12.25
학벌이 아닌 본인의 전문성을 생각해서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대학원이란 레거씨가 싸여 있는 곳에서 전문 지식을 배운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실험실 분위기가 어떤지 알고 들어갈 수 있으면 좋은데 들어가기 전에는 알 수 없고, 교수님 전공이 어떤가를 보시고 결정하는 것이 맞는 판단입니다. 결국은 내 선택으로 결정 해야지요.
2023.12.2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미국은 고인물화되는거 막기 위해 학석박 모두 다른 곳에서 하는 걸 적극 권장하는 분위기인데 한국은 참 변화를 두려워 함
2023.12.24
대댓글 2개
2023.12.24
2023.12.24
2023.12.24
대댓글 1개
2023.12.24
2023.12.24
2023.12.24
2023.12.24
2023.12.24
대댓글 1개
2023.12.24
2023.12.24
2023.12.24
대댓글 1개
2023.12.24
2023.12.24
2023.12.24
2023.12.24
2023.12.24
대댓글 3개
2023.12.24
2023.12.24
2023.12.24
2023.12.24
2023.12.24
대댓글 1개
2023.12.24
2023.12.24
2023.12.24
2023.12.24
대댓글 2개
2023.12.24
2023.12.24
2023.12.25
2023.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