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이 머리속으로 상상의 나래를 펼치시고 그걸로 과제 쓰자 연구하자 하시는데 막상 알아보면 현실적인 문제들로 인해서 불가능하거든요? 그런데 늘 직접 알아보시지는 않으시면서 학생들이 이런 이유들로 어려울 것 같다고 말하면 듣질 않으세요.
이런 고집 부리실 때 어떻게 설득하십니까 다들 이런 일이 반복적이니 너무 지칩니다. 아니면 제가 창의력이 부족한건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3.12.2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1. 기존 관련 연구들 논문 및 특허 최소 100개 서베이 (엑셀로 파일 공유). 2. 서베이한 내용 기반 한계점 및 현재 당신께서 소설로 생각하는 부분이 불가능한 점 설명 (이론적 또는 금전적 한계) 3. 당신의 소설까지는 아니지만 어느정도 타협가능한 솔루션 제시.
보통 이정도면 포기함.
근데 씹팔 저 짓거리 하느라 날리는 시간이 ㅈㄴ 아깝다 ㄹㅇ 하
2023.12.26
저는 시간차두고 같은 내용 여러번 다른 방법 동원해서 안된다고 계속 설득하는 편이에요. 첫번째 안된다고 해서 왜안되냐고 하면 죄송하다고 하고 다시 찾아보고 또 조심스레 이래서 안된다라고 다른 자료 찾아서 발표 최소 세번이상은 했어요. 안되는 거 설득에 지쳐 될 것 같다고 하면 나중에 책임 묻는 경우가 있어서 조심하셔야 할 것 같아요 ㅠ
2023.12.26
저는 쓸데없는(?) 감정소모하기도 싫고...쓸데없이 기운빼기도 싫고 어차피 내가 말을해도 변하지 않을 확률이 높아서 그냥 교수님보고 알아서 하라고 합니다.
2023.12.26
다른 방안 제안. 학생들이 과제할 아이디어를 안내니 교수가 그러고 있는거지.
대댓글 4개
명석한 가브리엘 마르케스*
2023.12.26
ㄴㄴ. 보통 저런경우는 고랩 박사과정생, 포닥들이 논문까지 눈앞에 들이밀면서 현실적인 방안을 제안해도 교수 혼자 망상에 빠져서 소설을 쓰고 본인말이 맞다고 우기고 있는 실정일 가능성이 큼.
2023.12.26
학생들이 평소에 신뢰를 못줬나? 아님 원래 성격이 그런가? 기초실험 까지는 해줘야지뭐. 교수가 PI인데
2023.12.27
궁금한데 과제할 아이디어를 학생이 내는게 당연한가요?
2023.12.27
당연하지는 않지만 가끔 똑똑한 학생은 가능하죠. 덜 똑똑해도 열심하는 나 같은 학생은 박사 과정되면 연구 아이디어가 나오죠 25년전에 교수 중견연구과제 하나 따주고 1년있다 졸업했습니다. 뭐 워낙 내 지도교수는 공부를 안하는 사람이긴 했지만
님이 틀렸을 가능성은 정말 없고요? 또는 교수가 하라는것은 안 되더라도 그로부터 파생될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라도 낼 수 없을까요? 교수는 그런걸 다 염두에 두고 이것저것 해보라고 하는거예요. 새로운 시도를 하지 않으면 결과는 뻔하거든요. 지금 하는거 마무리 짓고 논문 내고 끝.
2023.12.26
님이 틀릴가능성도 있음 우리 지도교수가 그랬는데 결국 나중가면 맞는경우 많았음 그게 우연이든 필연이든 님 고집이 문제일수도
2023.12.25
2023.12.26
2023.12.26
2023.12.26
대댓글 4개
2023.12.26
2023.12.26
2023.12.27
2023.12.27
2023.12.26
2023.12.26
2023.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