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기억이나 자료을 오래 가게 하는 노하우 있나요??

염세적인 비트겐슈타인*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4.01.01

6

1052

박사 5년차입니다.
1-2년차때는 장비를 배우면서 하나하나 기록하고 보관하고 했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기억해야할 일이나 지식이 많아서 놓지는게 많습니다.

시간표는 항상 세워줘서 시간은 잘 쓰는것 같으면서도, 전공지식이나 세부적인 실험 노하우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잊어버리는게 많더군요.

기억을 오래하거나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방법이 있으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게시판에 글을 거의 처음써보는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4.01.01

구글 캘린더 아니면 요즘은 notion 사용해서 해야할 일 정리하는 것도 좋더라구요.
전공 지식이나 실험 노하우는 배우는 게 많아지니 처음 배울 때 무조건 매뉴얼 만들어서 다 정리하는 편입니다. 이거는 습관으로 들여야 나중에 안까먹더라구요. 나중에 후배 인수인계할 때도 엄청 편해요.

2024.01.01

메모, 메모, 그리고 메모

2024.01.01

므네모닉(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Mnemonic)의 대표적인 테크닉은 spaced repetition(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Spaced_repetition)입니다. 저는 지속가능하거나 자연스러운 방식이 아니라 생각해서 별로 안 좋아 하지만요. (잘 쓸 일이 없어서 잊어버릴 정도의 정보라면 굳이 오랫동안 암기할 필요가 있을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소 잘 쓰지 않는 지식들을 의도적으로 암기하려면 가장 효과적인 방식입니다.

대댓글 1개

2024.01.01

더 구체적인 방안을 말하자면, spaced repetition의 개념이 적용된 암기 카드를 만들어서 주기적으로(이상적으로는 매일) 실행해서 풀어 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물리적인 카드를 만들어도 좋고, 인터넷 사이트나 스마트폰 앱을 써도 됩니다. 대부분의 카드 앱은 spaced repetition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자주 틀리는 문제 카드를 더 자주 출제합니다.

2024.01.02

기록하고 정리해야죠. 장비사용법, 프로토콜등은 문서화. 최대한 모든 디테일은 다 적어서요. 짧은 프로토콜은 믿을만한 게 못됩니다

대댓글 1개

2024.12.11

이런 프로토콜 작성한 문서들은 랩원들과 공유하시나요? 랩실 인원 중 하나가 계속해서 제 프로코톨 문서를 공유받길 원해서 여쭤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