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대학원생 : 연구 vs 공부

2024.02.08

12

3668

현재 석사과정 중인 인공지능쪽 대학원생입니다

저는 수학쪽이 좀 많이 쓰이는, 활용되는 연구를 하고 있고 앞으로 해나가고 싶습니다

그래서 추후 박사까지 생각하고 있습니다

흔히들 대학원은 공부하는 곳이 아니라 연구하는 곳이다라고 하는데 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일단 박사까지 생각하고 있고, 그래서 석사때는 연구 40, 공부 60정도의 시간/에너지 투자를 하고자 하는데 과연 맞는걸까요?

공부는 주로 추후 더 깊은 더 다양한 주제들의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백그라운드 공부입니다.

아, 이제 석사 2학기 들어갑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4.02.0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의 경우에는 시간을 정해두거나 비율을 따로 정하지는 않았고, 18시 까지는 실험하고 저녁 시간에 부족해 보이는 전공지식을 채우거나 논문을 꾸준히 읽었습니다. 자연스럽게 꾸준히 생활화 해보세요

대댓글 1개

2024.02.08

22222
저도 비슷하게 하고싶은 공부와 연구실 사람들이 권장하는건 연구가 안겹쳐서
연구실에서는 연구만, 집에서는 하고싶은 공부 하는듯
언짢은 공자*

2024.02.08

석사면 실험9 공부1 이지...박사가면 실험2 공부8 비율이 바껴가야합니다. 실험테크닉부터 길러야 나중에가서 10번할거 한번만에 합니다

대댓글 1개

2024.02.08

저 분은 실험하는 분야가 아니예요

2024.02.08

대학원에서 연구보다 공부한다고 할 때 공부라는 건 아마 학점 채우려고 하는 공부일 겁니다. 그건 필요한 만큼만 하면 되죠. 하지만 넓은 의미의 공부는 연구와 구분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흔히 교수는 평생 공부하는 게 직업이다라는 말을 할 때 교수가 학점 따려고 시험공부한다는 뜻으로 말하는 건 아니지요?

대댓글 1개

2024.02.08

구분 될수도 있죠. 이미 알고있는 지식에서 주제를 찾고 확장시킬지, 새로운 지식에서 주제를 찾고 확장시킬지를 구분하면 더 효율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2024.02.08

다들 감사합니다

2024.02.08

연구랑 공부가 뭐가 다른지 모르겠네요

대댓글 1개

2024.02.09

난 측도론을 연구하겠어 (X)
난 확미방을 연구하겠어 (X)
난 확미방을 나중에 내 연구주제의 이론적 분석의 도구로 써보겠어 그러니까 지금 공부해봐야지
다정한 로버트 보일*

2024.02.08

공부를 안하고 연구를 어떻게하죠....; 님이 말씀하시는 공부는 코스웤 말씀하시는거 같네요. 코스웤 보단 연구가 맞죠.

2024.02.11

공부를 위한 연구가 아니라, 연구를 위한 공부를 하는 것입니다. 모든 것을 이해하고 연구하면 좋겠지만, 그러지 못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연구를 하면서 틈틈히 공부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2024.06.12

분야마다 달라서 분야의 목표에 따라서 본인이 알아서 해야할듯요.
분야에서 인정해주는게 어떤 실적을 원하는지 잘파악하고 그 부분을 극대화 시킬수있는 부분을 공부하거나 실험을 해야합니다.
그런 실적이 아닌 실험이나 공부 해봤자 시간 낭비고
시간 지나면 다 까먹어요
특히 공부같은경우 그래요 할때 또 찾고 또 찾아보기때문에 괜히 쓸데없는거 넓게 공부하면 진짜 최악의 시간 낭비일겁니다. 뭐실험도 비슷할거구요.
경험은 눈에 보이질 않으니 사회 나가서 증명할때 매우 곤란해요.
결국에 남는건 실적뿐입니다.
잘 판단 하시길..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