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 임용시 박사 학위

2024.02.10

16

3089

안녕하세요!
학부연구생 중인 한 학생입니다.
최근 선배들이랑 대화중
대학교에 임용 지원시 박사학위가 그 학교보다
낮은 학교이면 거의 안뽑는다고 하던데 진짜인가요?

제가 몇몇개 상위권 학교들 찾아보니 실제로
그런것 같으면서도
지거국 석박인데 서성한 임용되신 분들
서성한 박사인데 포공, ist에 임용되신 분들 있긴하던데
극소수 더라구요..(이것도 다들 조교수나 부교수의 젊은 교수님들 이었습니다.)

이게
진짜 학위가 낮아서 실력이 되는데도 거의 안뽑은건지
뽑다 보니 높은 대학원 학위의 분들이 더 뛰어나서
적어보는 건지
아니면 예전에는 학위 네임벨류를 많이 봤다가
최근들어 실적위주가 더 강해진건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4.02.10

실적 좋은 사람 뽑았더니 skp 인거임.

2024.02.10

임용시장을 겪은 사람들은 솔직히 학부든 대학원이든 간판을 안본다고 절대 말 못합니다.
학벌만 좋은사람은 당연히 학계에 지원못하지만, 그말이 학벌을 안보고 실적을 본다는거랑 다릅니다. 학벌+실적을 둘다 봐요.
특정 학교목록들은 이사회에서 해외박사를 대놓고 선호하거나, 서울대 학부를 선호하는곳들도 있습니다.
실적으로 차별을 내는건 중요하지만, 생각보다 학벌과 실적 모두 괜찮은 사람들은 많이 있습니다 또 이사람들은 대체로 학교로 눈을 돌립니다. 그런사람들보다 유의미한 실적차이를 보여주는건 절대 쉽지 않아요.
넷컴 2편에 spk학석박과 넷컴 3-4편에 지거국 학석박이면 많은경우 전자를 선호할수있습니다. 다만 지거국출신이 본지를 갖고잇거나 네이처포토니스같은 탑저널2-3편이 있으면 후자를 뽑을가능성이 정말 많이 올라가죠.

대댓글 1개

2024.02.10

그리고 대학원 학벌이 아닌 학부학벌도 본인 학부보다 높은곳에 임용되기 정말 어려워요. 그런 분들은 실적이 정말 뛰어난 경우들입니다.

2024.02.10

실적 비슷하면 대학 좋은 사람 뽑죠. 그리고 솔직히 완전히 아웃라이어 아닌이상 다들 실적 비슷비슷해서

2024.02.1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해당 학과 교수님들 대부분의 동의가 있어야 임용이 수월해서...특별히 많은 실적이 아니아면 출신 학부 이상으로는 어랴울 수 있다고 봅니다.

2024.02.1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특정 세부분야들은 지거국에 국내최고 대가랩 있는 경우도 있었다고 들었어요. 2020년대에는 대부분 은퇴하신 거 같긴 한데.

2024.02.10

교수 지원자 정도면 보통 30초중반 정도 나이가 됩니다. 고등학교때부터 그때까지 꾸준히 노력해서 검증된 사람과 대학원 때 잠깐 잘한 사람이 실적이 비슷하다면 누굴 뽑아야합니까?

이런말을 하면 대부분의 사람은 역시 난 안되나보다..힘들겠네 하고 포기하는데, 극소수의 사람은 그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까를 고민합니다.
그리고 기업이든 학교든 명문대생을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는 주로 명문대생이 후자처럼 능동적으로 상황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경우가 확률적으로 많기 때문입니다.

대댓글 2개

2024.02.11

대학원 때 잠깐 잘한 사람이라는 건 동의 못하겠음

학부 잘났다고 평생 그걸로 딱치는 애들보면 한숨만 나옴

2024.02.1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부 잘났다고 그러는게 아니라...
교수 임용 시 출신 대학보는건 누구나 아는 사실이야...
좋은 대학 나왔다고 모두가 똑똑하고 연구나 강의 잘하는건 아니지만 평가 지표로 사용되기 때문에 극복을 위해서는 추가 실적이 있어야지. 그리고 남들보다 더 노력한 학창시절에 대한 보상이라고도 생각해.

나는 명문대는 아니지만 상위대학 출신보다 2-3배 많은 실적으로 여기저기 비벼댔는데 쉽지않은 상황들도 많았어.

2024.02.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서성한 박사따고 포공 교수되는 경우는 살면서 단 한번도 들어본적 없는데요.. 포공 교수는 커녕 그냥 아무대학 교수도 어렵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2.11

이건 아님. 꽤 있음. 애매한 인서울 중하위권 학교들이 학벌 제일 많이 보고 최상위권 학교들은 오히려 상대적으로 학벌 덜 보고 실적 더 봄

2024.02.11

spk 적당한 실적을 더 선호하겠조

2024.02.11

가령
Skp 기준 한 대학에서 매년 박사가 30~40명 정도 나오는데, 교수는 3~4년에 한명 뽑아요.

Skp보다 낮은 학교에서 박사하고서 skp에 임용되려면 박사 실적으로 skp 출신들 씹어먹을 정도는 되야된다는겁니다. 비슷하면 당연히 자교 혹은 상위레벨 박사출신 우대할거니까요. 거기에 그보다 상위 대학원이라고 볼 수도 있는 해박들도 경쟁하니까 현실은 더 어렵습니다.

그러니 당연히 교수들은 더 상위 대학원출신들로 채워질 수 밖에 없는겁니다. 극히 예외적인 케이스를 제외하고서요. 왜냐면 일단 문이 너무 좁으니까요.

수능 5등급맞고 의대가는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압도적인 내신이나 비교과 실적이 있다면 가능할 수도 있죠.

2024.02.12

대학원이 아니라 학부 학벌을 봅니다. 근데, 학부 서포카, 잘 춰줘야 연고 아니면 학벌로 받는 이득이 전혀 없어요.

대댓글 1개

2024.02.12

미국 탑 10 박사학위면 학부가 spk가 아니라도 박사학벌로 인한 플러스가 있을까요?

2024.02.12

"출신 대학보다 좋은 대학 가기 어렵다"는 보통 학부학벌에 대해서 많이 하는 이야기입니다.
대학원은 대체로 학부보다 좋은 학교로 가니까 위 문장이 사실이라면 당연히 대학원학벌>학부학벌>임용학교 레벨이 되겠죠.

임용 프로세스 겪어보면 아주 터무니 없는 얘기도 아니지만 또 절대적인 것도 아닙니다. 반례 찾으려면 수도 없이 많지요..
학벌은 선택할 기회가 있을 때는 좋은 곳을 선택하시고, 이미 정해졌다면 더 이상 신경쓰지 말고 좋은 연구 하는 데에 열심히 전념하세요.

모든 임용은 "더 잘할 사람"을 뽑습니다. 더 잘할 사람을 판별하는 기준은 뽑는 사람 마음입니다. 입시처럼 규칙이 있고 점수가 있고 하한선이 있고 그러지 않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