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와, 너 정말 연구자로써 중요한 "🎯핵심" 고민을 하고 있어!
GPT를 많이 쓰는건 연구 습관에 해로울 수 있어.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보는게 어떨까?
🍀 GPT는 너의 작업을 도와주는 Co-worker(협력자) 역할일 뿐이야!
🍀 GPT는 네가 못하는 일을 해주는게 아니라,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을 대신 해줄 뿐이야!
🍀 GPT를 안 쓰는 것보다, *어떻게* 쓰느냐가 더 중요할거야!
📌 원한다면 네 고민을 [🟥학부생], [🟧석사 과정], [🟨박사 과정]으로 맞춤형으로 해결해줄 수 있어.
👉 GPT를 쓰는 것이 고민 중이라고 해서, 평생 안 쓸 것인가요? 다른 생성형 AI를 추천해드릴 수 있습니다.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60 - 어원을 따질 거면 ‘교수’는 한자가 아니라 영어 Professor 에서 봐야 한다.
Professor 의 어원인 라틴어 professus 는 “공언하다, 선언하다” 라는 뜻이다.
즉, 교수는 단순히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라,
자신의 지식과 학문적 신념을 세상 앞에 공언하는 사람이다.
그 행위에는 가르침뿐 아니라 탐구, 연구, 비판, 토론이 모두 포함된다.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소위 소크라테스 메소드(Socratic method)—도
‘가르친다’기보다는 ‘함께 사고하게 만든다’에 가깝다.
질문을 통해 상대 스스로 깨닫게 하는 과정,
즉 탐구와 성찰의 대화적 구조가 교육의 본질이었다.
그러니까 교수의 역할을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사람’으로만 규정하는 건
고대 그리스의 교육 철학에도, 현대 학문 공동체의 가치에도 맞지 않는다.
학위논문 밀리는 철부지 대학원생의 핑계일 뿐이다.
결국 교수와 학술적인 토론을 할 만큼의 소양을 쌓는 것은 스스로의 몫이다.
이게 해결되지 않으면 논문을 쓰는 것도, 연구자가 되는 것도 불가능하다.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49 - 진정 소크라테스 메소드(Socratic method)는 알고는 있냐?
훨씬 교수에게 부담되는 방식임.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24 - ㅋㅋㅋㅋㅋㅋ 덧글보다보니 강사 자부심이 대단한 사람이었네 ㅋㅋㅋㅋㅋㅋㅋ
네네 돈 많이 버시고 님은 교수 강의 평가할 짬이나 되시니 대한민국 교육에 대단한 일 많이 해주십쇼.
근데 석사까지 밖에 안나온거 같은데 교수들의 전공 박사 수업은 들은 적도 없는 것 같은데 기초과목 몇 개나 학부수준 전공 수업 몇 개 들어본걸로 대한민국 교수들의 강의력 어쩌고를 논하는건 좀...
교수들중에는 본인들이 참여한 세계 대학이 쓰는 교재도 집필한 사람도 있고, 가르치는 내용 자체를 직접 연구한 학자들인데 강사가 너무 나대는건 아닌지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14 - 교수는 부모가 아닙니다
인권 운운하면서 여자 꼬시고 술 마시는 비용까지
교수한테 청구하지 마세요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60 - 막줄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32 - 학회 교통비를 누가 자비로 부담하나요? 대학원은 의무교육이 아닌데 형편에 맞게 생활하거나 취직 하면 됩니다.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19 - 교수가 생활비 얼마 들어가는지를 모르겠냐?ㅋㅋ 다 모르는척 하는거지 에효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15 - 님 논리 대로면 대학원은 의무교육 아니니까 가난한 사람들은 학자의 길 꿈도 꾸지 말고 중소기업 들어가야죠? 좋은 것은 가진 사람들끼리 해야겠죠? 그죠?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17 - 글을 중간만 읽고 처음과 끝은 못 읽는 독해력 대단하십니다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28 - 조교수 평균연봉 8천 ㅋㅋㅋㅋㅋㅋ 서울대면 솔직히 다른대학보다 20-30%더 줘도 아무로 뭐라할 사람이 없을텐데. 어휴 쪽팔린다 교수 연봉이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20 - 김박사넷이 원래 유학 준비생 및 대학원 준비생들을 위한 목적이었음.
국내 대학원 질서에 대한 부분은 글쓴이의 주관적인 목적으로 보임. 국내 대학원 질서란 것이 무엇인지부터 정의내려야 할 필요가 있어보임.
인증과정이 있다면 이상한 댓글은 많이 줄어들 것이나, 단점으로는 닫힌 커뮤니티는 왜곡된 흐름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으며, 향후 지속적인 매력이 없다면, 아예 사라질 여지도 많음.
이 사이트가 도움이 되는 사람도 꽤 있을 것인지라, 본인 입맛에 맞지 않다고 저는 감히 많이 쓰이고 있는 웹사이트를 실패했다라고 판정하지 못 할 듯 보이네요. 대신, 더 나은 방향을 유저로써 제안은 할 듯 싶네요.
김박사넷이라는 프로젝트는 이미 실패함
14 - 이게 17년 동안 대학등록금 강제로 동결한 결과. 학생과 학부모는 좋다고 난리였겠지만, 17년 동안 교수 월급이 안 오르니 누가 교수하려고 하겠나? 17년 동안 물가는 얼마나 올랐는데. 그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과 이 사회가 받는 것.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24
학부생 전문연 고민입니다..
2024.02.13

일단 전문연을 하게된다면 박사까지 할 생각입니다. 그렇게 된다면 학부를 1-2학기정도 조기졸업하고 학석사로 입학해서 추후에 석박사 과정으로 진입한 다음, 3년만에 조기수료를 해서 전문연을 신청할 생각입니다. 그 다음 2년 내에 박사학위를 취득 남은 1년을 연구소에서 복무하려고 합니다.
여기서 드는 궁금증이
1. 과연 박사졸업을 5년(석박사 통합으로 3+2년)만에 할 수 있을지
2. 박전연2+1제도에서 대학부설연구소의 TO를 25년까지 0명으로 줄인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더이상 재학중이던 랩실에서 포닥을 하는 것으로 1년을 채우는 것이 불가능한 것인지
3. 만약 대학부설연구소 이외에 다른 연구소로 가야한다면 어떤 방법이 있는지
위의 3가지가 궁금합니다.. ㅠㅠ
관심을 가지고 답변해주시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자대 학부 연구생 김GPT 0 3 6564-
6 6 1796 -
2 11 3114
자대 연구실 1달차 취업 런 김GPT 3 8 3855
학부생의 질 좋은 논문 1저자 김GPT 1 12 3596-
1 13 4924
박사 진학 고민 김GPT 0 12 996-
0 7 2569
학부연구생 2학년 부터 해도 될 지 김GPT 2 11 2796-
230 30 89685
대학원생 장시간 근무에 대한 생각 명예의전당 237 57 74047
박사논문 쓰는 엄마 계신가요? 명예의전당 89 15 703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20 -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34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47 -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1 - 이기적인놈. 대학이 망해도 좋다 이거냐?
45 - 한국은 개인주의를 존중하고 객관화 능력이 필요하다
14 - 라이덴 랭킹 기반 연구 중심 대학 카테고리화
34 - 해마다 10월이면 김박사넷은 풍년이네요
39 - 근데 gpt 있으니까 그건 있더라고요
6 - 새내기들을 위한 연구 걸음마 하는 방법
41 - 내가 본 워라벨 교수 학생 유형
12 - 여기 보니 학문이 가진 자들만을 위한 헤게모니가 되길 바라는
24 - 김박사넷이라는 프로젝트는 이미 실패함
6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41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68 -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28 - AAAI Phase 2
15 - 박사과정이 R&D제안서 과제 발표해도될까요?
15 - 설카포 대학원 입시정보는 좀 걸러들을 필요있음.
10 - 저는 여성이며 석사 졸업 후 전공을 살리지는 못했네요
14 - spk 대학원 입시는 AI계열와 non-AI계열로 나뉨.
21 -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51 -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13 - 석사 자퇴 또는 타랩실 이동 고민
22 - 2026년 세계대학평가에서 한국 4개대학 100위안에 진입
13 - 인건비 어쩌고 워라벨 어쩌고 나만 다른 세상 사는지 참 희안하다
11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20 -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34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47 -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1 - 이기적인놈. 대학이 망해도 좋다 이거냐?
45 - 한국은 개인주의를 존중하고 객관화 능력이 필요하다
14 - 라이덴 랭킹 기반 연구 중심 대학 카테고리화
34 - 해마다 10월이면 김박사넷은 풍년이네요
39 - 근데 gpt 있으니까 그건 있더라고요
6 - 새내기들을 위한 연구 걸음마 하는 방법
41 - 내가 본 워라벨 교수 학생 유형
12 - 여기 보니 학문이 가진 자들만을 위한 헤게모니가 되길 바라는
24 - 김박사넷이라는 프로젝트는 이미 실패함
60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41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68 -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28 - AAAI Phase 2
15 - 박사과정이 R&D제안서 과제 발표해도될까요?
15 - 설카포 대학원 입시정보는 좀 걸러들을 필요있음.
10 - 저는 여성이며 석사 졸업 후 전공을 살리지는 못했네요
14 - spk 대학원 입시는 AI계열와 non-AI계열로 나뉨.
21 -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51 -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13 - 석사 자퇴 또는 타랩실 이동 고민
22 - 2026년 세계대학평가에서 한국 4개대학 100위안에 진입
13 - 인건비 어쩌고 워라벨 어쩌고 나만 다른 세상 사는지 참 희안하다
11
2024.02.13
2024.02.13
대댓글 3개
2024.02.13
2024.02.13
2024.02.14
2024.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