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학위논문을 저널에 투고할 때 저자

2024.02.17

7

1798

몇년 전 국내석사 졸업했습니다.

교수님께서 석사 학위논문 내용을 가지고 학술지에 투고하자고 하셨는데요.

논문 작성은 현재 박사과정 중인 학생(A)에게 맡기셔서 A학생이 작성한 드래프트를 얼마전에 받아보았습니다.

A학생은 제가 석사졸업 후에 입학해서 연구 아이디어 도출이나 실험 과정에 전혀 기여하지 않았고...

데이터 분석이나 결과 해석도 제가 작성한 학위논문을 영어로 번역만 해놓았습니다.

그나마 몇개 출처가 수정되어있을 뿐 제가 작성한 내용에 새롭게 추가된 해석이나 insight는 없어 보입니다.

이 경우에 저자는 어떻게 결정될까요?

만약 A학생이 1저자로 결정된다면 제가 이의제기할 수 있을까요?

SCI 논문 1저자가 한글>영어 번역만 해도 되는 거면 저도 선배들 논문 번역해서 내고 실적 챙길 걸...생각이 많아지네요.

선배, 동료 분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4.02.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공1저자로 들어가는게 베스트고,
만약 2저자로 들어가더라도 원래 본인이 낸 실적은 논문 0개이고(사실이죠),
A학생 덕분에 논문 하나 챙겼다고 생각하시는게 맞는거 같네요.

대댓글 1개

2024.02.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게 싫으면 본인이 시간내서 논문 써서 제출하셨으면 되는거고요. 졸업하고 일하면서도 그런식으로 작성해서 많이들 냅니다.

2024.02.18

2저자로 들어가셔도 할말이 없습니다

2024.02.18

몇년간 추가 액션 없이 놔두던 논문이면 2저자로 들어가셔도 뭐라 이의 제기할 순 없을거 같고요, 공 1저자가 베스트로 보이네요.

2024.02.18

공동1저자가 최선일듯 같이 논문 작업도 해주세요

2024.02.18

2저자여도 그친구 아니었으면 없을 논문이 그나마 생긴거라고 생각하는게 맞는거임

2024.02.18

몇년 전에 졸업하신 분이 왜 갑자기 숟가락 얹으시려는 거죠? A가 써주지 않았으면 낼 생각 하셨겠어요? 이의를 제기할게 아니라 A에게 도움을 줄테니 기여도를 나누는게 어떨지 교수님꺼 정중하게 여쭤보세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